$\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 아프리카 TV와 유튜브를 중심으로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3 no.4, 2016년, pp.56 - 63  

윤영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현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 방송에 대한 관심이 폭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대표적인 개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 TV와 유튜브의 콘텐츠-시청자 매칭 기술과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 전송 기술을 중심으로 알아 본다. 개인 방송 플랫폼은 UGC(User Generated Contents)의 생산과 소비의 접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개인 방송의 가장 큰 문제는 부적합한 콘텐츠의 무분별한 노출과 확산이다. 개인 방송 콘텐츠 생산자와 콘텐츠에 대한 정제 기술이 요구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개인 방송 플랫폼은 콘텐츠-시청자 매칭과 효율적 콘텐츠 전송을 핵심기능으로 한다<그림 2>.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기능에 대한 아프리카 TV와 유튜브의 접근을 살펴보고 기술하였다.
  • 다양한 사업자들이 개인 방송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꾀하고 있다. 본고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개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아프리카 TV와 유튜브의 플랫폼 구조, 시청자 콘텐츠 매칭 방법,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의 효율적 전송 방법을 살펴보았다.
  • 본고에서는 국내외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기술 전략을 알아본다.
  • <그림 1>은 개인 방송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네 가지 요인을 도식화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네 가지 성장 동인 중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에서는 크게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TV와 유튜브의 접근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용자 관점에서 아프리카 TV 화면의 구성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용자 관점에서의 아프리카 TV 화면은 일반적으로 <그림 3>과 같이 시청화면, 채팅화면, 메타정보로 구성된다. 시청화면은 BJ가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가 화면에 나타나는 화면이다.
개인 방송 시장의 성장 동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개인 방송 시장의 성장 동인은 크게 디지털컨버젼스, 네트워크 성능 향상, 참여/개방/협력의 시대적 조류,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의 도래로 요약될 수 있다. 디지털 컨버젼스의 진전으로 방송 시청이 가능한 단말의 종류가 점차 확대되고 있고, 네트워크의 성능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고품질 방송 컨텐츠의 전송이 가능케 되었다.
아프리카 TV 플랫폼에서 그리드 기능을 탐재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그리드 기능을 탑재한 이유는 대용량 콘텐츠 전송을 위한 서버 부하 현상을 완화시켜 시청자들에게 고품질 방송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아프리카 TV 플랫폼은 방송 콘텐츠의 전달이라는 특성상 실시간 대용량 스트리밍 데이터의 처리, 전달을 만족시켜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갑호, "Company report (아프리카 TV): 트래픽만 증가하면 된다.," 교보증권2015. 

  2. 미래창조과학부 and 방송통신위원회, "2015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2015. 

  3. 아프리카TV. (2015, 1월 16일). 아프리카TV 주요 연혁. Available: http://corp.afreecatv.com/company/history.html 

  4. 아프리카TV. (2016, 1월 16일). 아프리카TV 방송매뉴얼. Available: http://www.afreeca.com/infodesk/afbroad_manual.htm 

  5. Y. Young Seog and Z. Hangjung, "The business model and platform strategy of social TV: A case stud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CTC),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4, pp. 839-840. 

  6. 최규민. (2014, 1.21). (온라인 세미나) 아프리카 TV 라이브 추천 시스템. Available: (온라인 세미나) 아프리카 TV 라이브 추천 시스템 

  7. 공개소프트웨어포털. (2013, 1월 24일).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83] 아프리카TV - 공개SW 활용한 실시간 대용량 처리 플랫폼 구축. Available: http://www.oss.kr/oss_ repository10/82761 

  8. "YouTube Partners With ABC News To Offer Its First-Ever Live Stream Of The U.S. Presidential Debates," in http://techcrunch.com/, ed, 2012. 

  9. 임민철, "플래시 버린 유튜브, 구글이 노리는 것은?," in ZDNet Korea, ed, 2015. 

  10. 양수열 and 손장우. (2013, 1월 22일). 모바일 단말에서 YouTube Live TV 스트리밍 방식 분석 - HLS & Adaptive. Available: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5867/google-hls-http-adaptivestreaming-mobile-iptv-video-streaming-youtube/analysis-on-youtube-mobile-live-tv-streaminghls-adaptive 

  11. 양수열 and 손장우. (2013). YouTube의 비디오 전달 방식 변경 (1): Progressive Download의 종말. Available: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5819/google-http-adaptive-streaming-httpprogressive-download-video-streaming-youtube/youtube-switched-to-chunking-and-adaptivestreaming 

  12. 김재섭, "네이버.다음이 유튜브에 밀리는 이유, 차별 때문?," in 한겨레, ed, 2014. 

  13. J. Davidson, B. Liebald, J. Liu, P. Nandy, T. V. Vleet, U. Gargi, et al., "The YouTube video recommendation system,"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fourth ACM conference on Recommender systems, Barcelona, Spain, 2010. 

  14. Kakao TV. (2015). 친구와 함께보는 카카오TV. Available: http://www.kakao.com/tv 

  15. 권혜미, "[IT열쇳말] 개인 방송 생중계 서비스," in 블로터, ed, 2015. 

  16. 박정현, "[CEO 2030] 유스트림, 6000만이 함께보는 실시간 방송국," in 조선일보, ed, 2013. 

  17. Ustream. (2013). 2013 Ustream. Available: https://www.ustream.tv/2013 

  18. 정연, "IS 모집 영상에 기업 광고 논란...업계 '골칫거리'," in SBS, ed, 2015. 

  19. 고정애, "IS, 미국 기자 참수 ... 오바마 '이라크 수렁' 빠지나," in 중앙일보, ed, 2014. 

  20. 아프리카TV. (2016, 2월 2일). [안내] 방송 3사(KBS/MBC/SBS) 및 저작권 방송 모니터링 강화. Available: http://afwbbs1.afreeca.com:8081/app/index.php?boardnotice&b_no4357&controlview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