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For the Reflective Practice of Math Classes : Case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Math Teachers in a School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105 - 126  

오택근 (경기과학고등학교)

초록

수학 수업은 특정 교실의 학생과 교사의 독립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수업 전문성 신장에 관한 논의에서는 수학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사공동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관점이 확산되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는 수학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공동체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과 목표를 공유하게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과 동료의 수업에 대한 성찰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수업에 반영하여 수업 개선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 학교 안에서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교사들에게 수업을 대상화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 classes has been regarded as an independent area of a teacher and his/her students of a particular class. In Recent discussions abou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es, the point of view of that the community of teachers must work together is spreading.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가 알아야 할 CK는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CK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으로 특정 수준에서 특정 과목이나 주제를 가르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수준과 범위,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말아야 할 자료 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교사가 알아야 할 CK는 수평적인 지식과 수직적인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적 인 지식은 같은 학년의 다른 과목이나 영역의 내용과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이며, 수직적 지식은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과거에 배웠던 내용과 미래에 배울 내용을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SCK란? SCK는 교과의 특정 내용에 대한 지식은 물론 교과 내부 및 외부에서 해당 내용이 다른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어떤 논리에 의해서 그 내용들이 정당화되는지에 대한 구조적인 지식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특히, Shulman(1986, p.
PCK란 무엇을 포괄하는 개념인가? PCK는 특정한 내용에 대한 지식을 뛰어 넘어, 그것을 가르치기 위한 지식을 말한다. 즉 해당 지식을 모르고 있는 다른 사람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표현하고 공식화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PCK에 포함되는 지식으로 특정한 내용에 관한 수업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주제, 그 내용에 대한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는 유용한 형식, 그리고 해당 내용과 관련된 강력한 비유, 그림, 예시, 설명 방법 등이 있다(Shulman,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현영.고은성.김태순.조완영.이경화.이동환(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학교수학, 13(4), 633-649. 

  2. 김동원(2009). 전문성 신장 과정으로서의 한 수학교사의 성찰적 실천. 수학교육 논문집, 23(3), 735-760. 

  3. 나귀수(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73-395. 

  4. 박성선(2004).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C: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를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 초등수학교육, 8(1), 13-22. 

  5. 오영열(2006).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6(3), 251-272. 

  6.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고은성.박민선.박미미.이은정.조진우.박진형(2012).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7. 이금선.강옥기(2008).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학교수학, 10(2), 199-222. 

  8. 이동환.강현영.고은성(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1(2), 173-189. 

  9. 조영달(2005). 제도공간의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0.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1. 최수일(2009). 수업분석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학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Barab, S. A., & Duffy, T. (2000). From practice fields to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1(1), 25-55. 

  13. Breidenbach, D., Dubinsky, E., Hawks, J., & Nichols, D. (1992). Development of the process conception of fun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3(3), 247-285. 

  14. Cavanagh, M., & McMaster, H. (2015). A professional experience learning community for secondary mathematics: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7, 471-490. 

  15. Clement, J. (1982). Algebra word problem solutions: Thought processes underlying a common misconcep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0. 

  16.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72-400. 

  17. Horn, I. S. (2012). Teachers learning together: Pedagogical reasoning in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conversations. In Proceding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ICME-12) (pp. 1057-1065). 

  18. Jaworski, B. (1993).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e potential of critical reflection. British Journal of In-Service Education, 19(3), 37-42. 

  19. Jonassen, D. H., & Land, S. M. (2012). 학습자중심 학습의 연구.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김현진, 정종원, 홍선주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2000 출판). 

  20. Krainer, K. (2008). Individuals, teams, communities and networks: participants and ways of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3, 1-10. 

  21. Lave, J. (1991). Situating learning in communities of practice. Perspectives on socially shared cognition, 2, 63-82. 

  22.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NCTM.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1). 수학 수업의 현재와 미래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원저 Mathematics Teaching Today: Improving Practice, Improving Student Learning. 2007 출판). 

  26. Petraglia, J. (1998). Reality by design: The rhetoric and technology of authenticity in education. Routledge. 

  2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4-14. 

  28. Star, J. R., & Strickland, S. K. (2008). Learning to observe: using video to improv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 107-125. 

  29.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51-169. 

  30. van Es, E. A., & Sherin, M. G. (2002). Learning to notice: scaffolding new teachers' interpreta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0, 571-596. 

  31. Wenger, E. (2009). Communities of practice. Communities, 22, 57. 

  32. Wolcott, H.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