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시대의 간호직과 성: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
Nursing Jobs and Gender in our age of convergence: Research on Male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287 - 297  

신자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서명희 (전북대학교병원 감염내과) ,  이명인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연구 현황과 동향에 대한 고찰과 양적 자료 및 질적 자료의 분석이 함께 결합되어 진행된 혼합연구설계(Mixed Method Research Design)이다. 연구대상은 J도의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 간호사 19명과 일개 간호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자간호사 29명으로 2015년 3월25일부터 4월 1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양적 자료 분석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간호사의 간호직에 대한 만족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인 전문가로 성장한다는 것'이 간호업무 수행 시 가장 만족스러움으로 나타났다. 질적 자료 분석결과 남녀 간호사가 남자간호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는 있었으나 남녀 간호사 모두에게서 남자간호사에 대하여 성고정관념을 넘어서는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aper is of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the quantitative analysis covering general data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male nurses, the qualitative analysis being used on interview transcript data. The research subjects are 19 male nurses who work at a hospital and 29 female nur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들의 연구 현황 및 동향을 고찰하고, 남자간호사에 대한 간호직의 선택 동기 및 만족정도, 간호사가 바라보는 남자간호사의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 현황 및 동향을 고찰하고, 남자간호사에 대한 양적 자료의 서술적 조사연구와 주관적 평가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한 인터뷰 내용의 질적내용분석을 함께 결합하여 진행된 혼합연구설계(Mixed Method Research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일개대학병원의 남자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수가 작다는 한계점을 갖지만 연구 참여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남자간호사의 문화와 경험 등 내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고, 임상에서만 근무하는 여자간호사 대상이 아닌 여러 분야(임상간호사, 간호관리자, 상담간호사, 대학교수, 시간강사 등)의 여자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기관 및 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융복합시대의 전문직 간호사인 남자간호사들의 연구 현황 및 동향을 고찰하고, 남자간호사에 대한 간호직 선택 동기 및 만족정도, 직무만족 등에 대해 양적 자료 분석을 통한 실증적인 연구와 남자간호사 및 여자간호사가 바라보는 남자간호사에 대한 질적 자료를 분석한 연구로서 남자간호사의 전문적이고 바람직한 간호사 이미지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질적연구에 대한 다수의 학회와 세미나에 참석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 등을 이용한 질적연구를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 1인과 일반대학원 간호학과에서 박사과정 중 질적연구 강좌를 한 학기 동안 수강하면서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관련 참고문헌들을 숙독하고 혼합연구방법 및 질적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 1인에 의하여 함께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혼합연구설계 방법을 통해 양적 및 질적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조금 더 실증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는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남자 간호사 및 여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남자간호사에 대한 관점 차이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향후 연구에서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를 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참여 대상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자의에 따라 연구 참여가 가능하며, 언제든지 철회 가능하고, 응답한 내용은 연구 목적 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의 비밀이 보장될 것이라는 내용을 설명하였다. 그 후 설문자료가 연구목적으로 이용되어지는 것에 대해 동의한 대상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당자사의 입장에서 연구되었으나, 남자간호사가 생각하는 남자간호사의 이미지 및 여자간호사가 생각하는 남자간호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을 위하여 남자간호사에 대한 연구 현황 및 동향, 남자간호사 및 여자간호사가 생각하는 남자간호사의 이미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자간호사들이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남자간호사들이 간호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취업의 용이성, 적성, 남자의 희소가치, 직업의 안정성이며[10], 남자간호사의 경우 강한 체력, 객관성, 집중력 등 남성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고 환자나 보호자의 접촉이 적은 특수부서인 마취과, 수술실, 응급실, 중환자실, 인공신장실, 정형외과, 비뇨기과, 중앙공급실 등에서[10,11,12] 47% 가량이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하지만 산부인과나 일부 환자들의 경우 남자간호사들이 간호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도 나타나 남자간호사들이 실무에 부담감을 느끼며 일하는 경우가 있다[11].
전문직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요구하게 된 배경은? 최근 의학발전과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건강 증진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직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요구하고 있으며[5], 간호전문성에 대한 인식확대 및 성 고정관념의 변화를 통하여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증가하고 있다[6]. 이러한 결과로 여성 고유의 직업으로 대표되는 간호직에도 의료환경의 변화와 간호사들의 역할변화에 따라 남성들도 진출할 수 있는 전문직으로 인식이 바뀌어 가고 있다.
남자간호사의 비율이 아직도 적은 편인 이유는? 3%만을 차지하여 사회적 현상에 비해 아직도 남자간호사의 비율은 적은 편에 속한다. 이는 간호사는 여성 직업이라는 일반적인 편견에서 나타나는 성 고정관념의 부정적인 요인이며[15,16], 간호직은 여성들의 직업이라는 생각으로 남자들이 선택하기 부담스럽고[7], 아직도 한국사회의 보수적인 사회문화로 인해 직업에 대한 남녀의 성 역할을 구별하는 전통적인 고정관념이 강하기 때문으로 보고되고 있어[17], 남자간호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존립을 위하여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간호사의 이미지 정립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성 역할 구별의 전통적인 고정관념의 변화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 H. Jeon, "A Study of the Strategical Framework for the Confusionence with Methodology of Engineering & the Humanities. Ph.D. dissertation", p.15, Hannam University, 2012. 

  2. "2015 Revised curriculum", http://goo.gl/sXLrGu (October 14, 2015) 

  3. E. H. Park, H. R. Park, H. S. Kim, "Approaches to Convergence Curriculum for Healthcare-Affiliated Students with Clinical Competence Assessmen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76-86, 2015. 

  4. G. Oh, M. Lee, "An Internship Experience to Conver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73-185, 2015. 

  5. H. K.. Yoon, J. H. Choi, E. Y. Lee, H. Y. Lee, M. J. Park,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Korean Academy Administration", Vol. 19, No. 5, pp.658-667, 2013. 

  6. E. S. An, S. K. Chu,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Korean Academy Administration", Vol. 17, No. 1, pp.22-32, 2011. 

  7. H. Wee, Y. R. Park, M. S. Song, "High School Boys' Images of Men as Nurses. Korean Acad Fundam Nurs", Vol. 20, No. 2, pp.118-128, 2013. 

  8. M. K. Ahn, M. H. Lee, H. Y. Kim, S. H. Je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Korean Academy Administration", Vol. 21, No. 2, pp.203-211, 2015. 

  9. K. J. Lee, M. Y. Kim,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6, No. 1, pp.46-57, 2014. http://dx.doi.org/10.7475/kjan.2014.26.1.46 

  10. K. H. Ahn, "Analysis of the Work Experiences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60, 2008. 

  11. E. S. Ahn.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p64, 2010. 

  12. S. Y. Lee,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 over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p86, 2004. 

  13. M. S. Youn, "The study for Nurse Image and Job Recognition about Male Nurse of Male Students in Nursing. Holistic Health Science", Vol. 12, No. 2, pp.95-106, 2012. 

  14. K. S. Chung, "Korea male nurses state" http://www.nursenews.co.kr (October 31, 2015) 

  15. E. S. An, S. K, Chu,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Korean Academy Administration", Vol. 17, No. 1, pp.14-21, 2011. 

  16. H. S. Park, H. J. Ha, M. H. Lee,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2962-2970, 201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962 

  17. Y. R. Park,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Korean Acad Fundam Nurs", Vol. 16, No. 4, pp.449-458, 2009. 

  18. Lou JH, Yu HY, Hsu HY, Dai HD, "A study of role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among male nurse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 15, No. 1, pp.43-53, 2007. 

  19. Fisher MJ, "Being a chameleon: Labour processes of male nurses performing body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5, No. 12, pp.2668-2677, 2009. 

  20. Poliafico JK, "Nursing's gender gap. RN", Vol. 61, No. 10, pp.39-42, 1998. 

  21. M. S. Youn, "The study for Nurse Image and Job Recognition about Male Nurse of Male Students in Nursing. Holistic Health Science", Vol. 12 No. 2, pp.95-106. 2012. 

  22. K. H. Ahn, J. M. Seo, S. K. Hwang,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1, No. 6, pp.652-665, 2009.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544571 

  23. J. M. Park, "Report of untapped human resources - Past and Present. The Korean Nurse", Vol. 42, No. 5, pp.16-17, 2003. 

  24. J. M. Park, "750 people 300 working activities of the licensee anesthesia, surgery, emergency room, etc. use field. The Korean Nurse", Vol. 42, No. 5, pp.10-13, 2003. 

  25. J. Evans, "Men in Nursing issues of gender segregation and hidden advantag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6, No. 2, pp.226-231, 1997. 

  26. J. K. Poliafico, "Nursing's gender gap. RN", Vol. 61, No. 10, pp.39-42, 1980. 

  27. Mclaughlin, K., Muldoon, O. T., Moutray, M., "Gender, gender roles and completion of nursing education: A longitudi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 30, pp.303-307. 

  28. J. K. Chung, "An Androgynous Approach to the Study of Sex Role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Vol. 3, pp. 132-170, 1987. 

  29. Y. H. Kim,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Identity Type and Learned Helplessness of Korean Youth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h.D. dissertation", p.140, 1989. 

  30. Y. J. Mun,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ursing, male nurses, and nursing as possible career conside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10. 

  31. S. A. Park, E. K. Jo, "Male Gender Role and Adjustment of Korean Men.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8, No. 2, pp.77-103, 2002. 

  32. Mcmillian, J., Morgan, S. A., & Ament. P., "Acceptance of male 58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38, No. 1, pp.100-106, 2006. 

  33. H. J. Kim, "Job Stress and Satisfaction among Male Nurses in Daeg. Yeungnam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69, 2010. 

  34. Fisher, M. J., "Sex role characteristics of male in nursing. A Journal for the Australian Nursing Profession", Vol. 8, No. 3, pp.65-71, 1995. 

  35. Lawler, E. E., "Satisfaction and behavior.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pp.332-345, 1983. 

  36. J. H. Choi,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master's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p.59, 2011. 

  37. M. Y. Kim, "An Exploratory Study of Masculinity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 No.2, pp.37-46. 2009. 

  38. G.G. Moon, "Mr. Nightingale, gimmyoung publisher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