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인구집단과 일반인구집단간의 흡연율 비교: 성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하여
Comparing the smoking rate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1, 2016년, pp.61 - 70  

최민혁 (부산대학교병원 권역호흡기센터) ,  최진혁 (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t has been well documented that people on the lower socioeconomic position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moke cigarett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dentify a potential difference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b) to compare a smoking rat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의 건강상태를 조사목적으로 하거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국가적인 자료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의 분류, 건강행태 문항의 일치성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부득이 하게 상이한 두 자료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하지만 흡연과 같은 대표적인 건강행태 문항은 두 조사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비교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 뿐만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흡연율에 미치는 변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의 구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사회경제적 변수를 고려하였을 때, 장애인집단과 일반인구집단간의 가장 대표적인 건강행태인 흡연율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장애인 고용노동패널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행태를 비교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이를 통해 장애를 가지는 것에 의한 흡연율 차를 규명하고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의 구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도출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흡연과 관련되어 알려진 성, 연령 등 인구학적 변수와 혼인상태, 고용형태, 월평균가구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등 사회경제학적 변수를 포함하여 1:1 nearest neighborhood matching 을 이용한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하여 비장애인과 장애인간의 흡연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모든 통계적 과정은 STATA 14.
  • , 2014). 본 연구의 1차적 목적은 장애인 집단내에서의 건강행태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행태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우울감 경험 등 기타 요인과 관련된 변수가 연구에 사용한 자료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에서 이 주제를 더 심층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im과 Jeong (2005)은 학령기의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자료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흡연 실태와 흡연 여부에 따른 요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차이 그리고 흡연 여부에 따른 학교와 가정에서의 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시각장애 고등학생의 흡연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별(여학생에 비해 높은 남학생의 흡연율), 가정의 사회적경제수준(가정의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흡연율), 부모의 학력(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높은 흡연율) 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장애인 고용노동패널조사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행태를 비교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이를 통해 장애를 가지는 것에 의한 흡연율 차를 규명하고 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의 구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도출하고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의 요약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세계 흡연인구의 비율과 이로 인한 사망자 수는 몇명인가? 오늘날 전세계 성인의 1/3에 달하는 13억명이 흡연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500만명 이상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있다(WHO, 2004). 흡연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U.
장애인과 일반인구집단간의 흡연과 같은 건강행태의 통계적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이유는? 장애인과 일반인구집단간의 흡연과 같은 건강행태의 통계적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장애인의 건강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의 국가적 조사가 없는 이유가 큰 것으로 보인다. 제한적으로 장애인의 건강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국가적 자료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하는 장애인실태조사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주관하는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등이 있다.
흡연과 관련 있는 질병은 무엇인가? 오늘날 전세계 성인의 1/3에 달하는 13억명이 흡연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500만명 이상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있다(WHO, 2004). 흡연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U.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n, G. H., & Cho, H. J. (1996). Prevalence of smoking among psychiatric inpatients-A preliminary study for non-smoking in psychiatric wards in Korea (2).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5(1), 70-76. 

  2. Becker, S. O., & Ichino, A. (2002). Estimation of average treatment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s. The Stata Journal, 2(4), 358-377. 

  3. Bobak, M., Jarvis, M. J., Skodova, Z., & Marmot, M. (2000). Smoke intake among smokers is higher in lower socioeconomic groups. Tobacco Control, 9, 310-312. 

  4. Cavelaars, A. E., Kunst, A. E., Geurts, J. J., Crialesi, R., Grotvedt, L., Helmert, U., & Mackenbach, J. P. (2000). Educational differences in smoking: international comparison. British Medical Journal, 320(7242), 1102-1107. 

  5. Cho, H. J., Khang, Y. H., & Yun, S. C. (2006). Occupational differential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Finding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39(4), 365-370. 

  6. Fernandez, E., Schiaffino, A., Garcia, M., & Borras, J. M. (2001). Widening social inequalities in smoking cessation in Spain. 1987-1997.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10), 729-730. 

  7. Galobardes, B., Shaw, M., Lawlor, D. A., Lynch, J. W., & Davey, S. G. (2006). Indicators of socioeconomic position (Part 1).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1), 7-12. 

  8. Hughes, J. R., Hatsukami, D. K., Mitchell, J. E., & Dahlgren, L. A. (1986). Prevalence of smoking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3(8), 993-997. 

  9. Jarrett, T., & Pignataro, R. M. (2013). Cigarette smoking amo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II, fall 2008-spring 2009.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6(3), 204-212. 

  10. Jones, G. C., & Bell, K. (2004). Adverse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conditions in working-age women with disabilities. Family & Community Health, 27(1), 22-36. 

  11. Kalyva, E. (2007). Prevalence and influences on self-reported smoking among adolescents with mild learning disabiliti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11(3), 267-279. 

  12. Kaufman, J. S., Kaufman, S., & Poole, C. (2003). Causal inference from randomized trials in social epidemiolog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7(12), 2397-2409. 

  13. Khang, Y. H., & Cho, H. J. (2006). Socioeconomic inequality in cigarette smoking: Trends by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South Korea. Preventive Medicine, 42(6), 415-422. 

  14. Khang, Y. H., Lynch, J. W., Jung-Choi, K. H., & Cho, H. J. (2008). Explaining age specific inequalities in mortality from all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chaemic heart disease among South Korean male public servants: relative and absolute perspectives. Heart, 94(1), 75-82. 

  15. Kim, C. Y. (2004).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92, 18-25. 

  16. Kim, H. R. (2007).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1998-2005.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7(2), 25-43. 

  17. Kim, H. R., Khang, Y. H., Park, E. J., Choi, J. S., Lee, Y. H., & Kim, Y. S. (2006). Socioeconomic, behavioral, nutrition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of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utilization in South Korea: Analysis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linked data. Seoul,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8. Kim, J. H., & Jeung, H. R. (2005). A Study on the ADL of the visually impaired in high school: Smoking and relevant factor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2), 25-51. 

  19. Korean Association on Smoking or Health (2005). Smoking and statistics. Korea states for smoking. Seoul, South Korea: Korean Association on Smoking or Health. 

  2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2014 actual survey on the reality of Korean disabled people. Seoul,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 Kunst, A. E., Giskes, K., & Mackenbach, J. P. (2004).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in the European Union: Applying an equity lens to tobacco control policies. Rotterdam, Netherlands: Erasmus Medical Center. 

  22. Lee, J., Park, J., Kim, H., & Shin, H. (2014). Smoking behavior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7(2), 236-241. 

  23. Lyon, E. R. (1999). A review of the effects of nicotine on schizophrenia and antipsychotic medications. Psychiatry Service, 50, 1346-1350.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10th survey on the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report. Seoul, South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 Korea national he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HES VI-1). Seoul, South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08-2014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report. Seoul, South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7. Moon, Y. S., Kim, D. H., Oh, B. H., Lee, H. S., Namkoong, K., & Yoo, K. J. (1998). Smoking status in psychiatric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9(1), 82-90. 

  28. Newhouse, J. P., & McClellan, M. (1998). Econometrics in outcomes research: The use of instrumental variabl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9, 17-34. 

  29. Normand, S. T., Landrum, M. B., Guadagnoli, E., Ayanian, J. Z., Ryan, T. J., Cleary, P. D., & McNeil, B. J. (2001). Validating recommendations for coronary angiography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elderly: A matched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4(4), 387-398. 

  30.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OECD factbook 2014 :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31. Park, Y. M., & Chung, M. S. (2007).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mentally disordered smokers residing in an institu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4), 887-904. 

  32. Rosenbaum, P. R., &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1), 41-55. 

  33. Statistics Korea (2014).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outh Korea: Statistics Korea. 

  34.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50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Building blocks for tobacco control.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