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남성복의 감성 및 선호 스타일과 실제 착용간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Wearing Styles and Preferring Styles and the Sensibility According to Men's Fashion Styl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4, 2016년, pp.71 - 82  

임병묵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이장형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김지수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나영주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시대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 개성, 가치관 등이 다양하며 과거에 비해 남성복에 대한 기호도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남성복 시장이 증대되었고 전에 없던 새로운 스타일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활발한 여성복 감성 연구와 달리 남성복의 스타일에 따른 감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20대 남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타일을 7가지 대표 자극물로 선정하고 자극물로 제시하여 각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조사하였다. 스타일 1 (정장), 스타일 2 (라이더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3 (블루종+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4 (박시한 가디건+하프 팬츠), 스타일 5 (야전상의+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6 (루즈핏 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7 (야구점퍼+스트레이트 팬츠) 등 남성복 스타일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남성복의 선호와 실제착용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하는 스타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복은 다양하고 세분화되었고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복에 대한 감성은 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셋째, 20대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스타일과 실제로 즐겨 입는 착장스타일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일치하는 비율은 66.1% 이었고, 불일치하는 경우는 33.9% 이였다. 선호도와 실제 착용도가 가장 높은 것은 스타일 3 이었으며, 가장 선호되지 않고 착용되지 않는 것은 스타일 5 이었다. 넷째, 내향적보다 외향적 라이프 스타일을 지닐수록 더 다양한 스타일에 대하여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imes change rapidly the lifestyle, personality, and values of men have changed diversely. Not only have preferences for men's clothing changed, men's fashion market has also grown, and novel, non-preexisting styles have come into place. Also, there are many studies on sensibility of women's fa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여성복에 비해 남성복의 감성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남성들의 다양화된 남성복 스타일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중들이 직접 인식하는 혹은 느끼는 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남성복에 대한 남녀의 인식 차이와,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 그리고 선호하는(이상) 스타일과 즐겨 입는(실제 착용) 스타일의 차이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20대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한 남성복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소비자의 감성 만족을 실현을 시키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조사 기간은 2015년 5월 27일부터 2015년 6월 10일까지 2주 기간 동안 진행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20대 남녀로 한정하였다. 설문조사는 G00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20대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남성복 스타일 감성이나 선호와 실제 착용스타일 등에 대하여 가장 개방적이고, 자기표현에 적극적이며 빠르게 변하는 패션에 관심이 높은 젊은 세대의 특징적인 응답을 수집하고자 함이다.
  • 따라서 남성복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감성 차이를 인지하고 확실하게 분류, 분석을 하여 그를 바탕으로 제품의 감성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복에 대한 감성을 분석하고 남녀의 차이와 남성복의 선호와 실제를 연구하며 라이프 스타일 경향에 따른 차이 및 남성복의 감성에의 영향력, 남성복의 중요한 감성 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③ 실속 추구형 – 나의 컨셉에 맞는 제품이라면 명품과 중저가 브랜드를 가리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성복 시장에서 남성들의 의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러한 변화는 남성복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어떤 옷을 입느냐’에 중점을 두었던 남성들의 의식이 ‘옷을 어떻게 입느냐’로 전환되면서 ‘스타일링(styling시대)’이라는 남성 패션의 도래를 이끌어 내고 있다(Lee & Lee. 2009).
20대 남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7가지 스타일은? 이에 20대 남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타일을 7가지 대표 자극물로 선정하고 자극물로 제시하여 각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조사하였다. 스타일 1 (정장), 스타일 2 (라이더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3 (블루종+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4 (박시한 가디건+하프 팬츠), 스타일 5 (야전상의+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6 (루즈핏 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7 (야구점퍼+스트레이트 팬츠) 등 남성복 스타일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남성복의 선호와 실제착용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하는 스타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성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분류되는가? 감성은 고급감, 불쾌감, 각성감과 같이 제품이나 환경이 우리에게 주는 주관적인 이미지로 기능적 감성, 문화적 감정 그리고 감각적 감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의복에 나타나는 스타일은 이러한 감각적 감성의 외부자극의 일종이 될 수 있으며, 시각적 대상의 주체인 의복의 감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Par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S. K., Jung, S. J., & Sung, N. S. (2009). A study on sensibility image of necktie according to width and color combination of checked patter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4), 545-556. 

  2. Jeon, M. J., Oh, H. S., & Kim, J. Y. (2012). A study on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5(3), 201-208. 

  3. Jung, K. Y., & Na, Y. J. (2005). Effects of design detail types of ladies wear on sensibility and emo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2), 162-168. 

  4. Kim, C, S. & Park, M, R. (2014). A study on the appearance care behaviors, clothing selection behaviors and clothing design preference of 20-30's Korean men by the level of groom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2), 245-254. 

  5. Kim, H, J. & Kim, T. G. (2010). A study on cross sexual styles in contemporary men's wear collections.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4), 19-33. 

  6. Kim, Y. J. & Lee, K, H. (2003).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ensibility and emotion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3), 418-418. 

  7. Kim, Y. W. & Choi, J. M. (2010). Color sensibility and preferring of the black color fabric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2), 337-346. 

  8. Kwon, K. D., Kim, S. H., & Lee, S. J.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 between fashion life style & consumer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the fashion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2), 280-291. 

  9. Lee, S. H. & Lee, K. H. (2009). A study of fashion sensibility and consumer sensibility of men's casual brand's patterned woven shi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3), 444-456. 

  10. Lee, S. Y. & Park, S. J. (2015). An analysis on the 'Normcore' trend and the visual expression in magazin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511-524. 

  11. Lee, K. H. & Kim, Y. J. (2002). Process of the scale in fashion sensibility.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4(1), 33-42. 

  12. Mun, K. H. (2010). A study on lifestyle of Korean women for emotional design development of product.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1(1), 119-127. 

  13. Na, Y. J. & Kwon, O. K. (2000). Characteristics of domestic textile designs and trend sensibility for women's appare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3), 198-204. 

  14. Na, Y. J. (2011). Appearance frequency of eco-friendly emotion and sensibility words and their change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2), 207-220. 

  15. Oh, H. S. (2002). A study of consumer evaluations and preferring for men's fashion style im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1), 47-55. 

  16. Park, K. J. & Na, Y. J. (2014). Sensibility according to blouse type and their best-fit color ton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2), 123-134. 

  17. Park, Y. H. (2004). The sensibility image and preferring degree of pattern which appeared on men's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4), 113-127. 

  18. Sung, N. S. (2008). The effect on image perception of male wearer with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area-radio of stripe neckti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3), 325-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