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내용요소 분석과 새롭게 구성되는 피지컬 컴퓨팅 영역에 대한 접근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내용의 탐구적 경향은 Romey 분석을 사용하였고, 파일럿 스터디는 로봇을 활용하여 H/W와 S/W의 조화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 중에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움에 적합한 교과서는 한 권이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영역의 경우 탐구적 수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구성에서 활동을 중시하는 형태의 집필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Textbook is a tool that helps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ill be constructed newly because revised curriculum 2015 was announced. The aim at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ication of the textbook writ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textbook of informatics currently being used in middle schools and to derive the direction of access to the newly configured physical computing unit.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was used Romey. The pilot studied makes lesson harmonized with H/W and S/W by utilizing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is one textbook among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that is suitable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and in the case of physical computing unit, inquiry instruction showed positive results. This study suggestions necessity of writing types that sets importance on activities in the form of textbook.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W 본연의 교육과 H/W와 S/W의 조화로운 교육에서 먼저 탐구적 경향을 띄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컴퓨팅 시스템’ 영역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단원에서 탐구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H/W 중심의 단원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H/W와 S/W가 조화를 이루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컴퓨팅 시스템’ 영역 또한 탐구적으로 집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도 새로운 교과서 집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S/W 교육이 강조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교과는 S/W와 H/W의 조화를 고려한 피지컬컴퓨팅의 내용을 ‘컴퓨팅 시스템’ 단원에 새롭게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단원에서 탐구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H/W 중심의 단원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정보 기기’ 영역을 Romey 분석하였고,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탐구적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기존 정보 교과서 연구는 Romey 분석 방법에 따라, 본문 내용 분석, 학습 자료 분석, 활동 지수 분석, 장의 평가 및 종합 부분 분석으로 구분하여 표로 표현하여 탐구성을 보고하였다[13-19]. 본 연구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에 따라 향후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추가된 내용 표현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기준으로 탐구적 경향을 조사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