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 for Construction Computing System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내용요소 분석과 새롭게 구성되는 피지컬 컴퓨팅 영역에 대한 접근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내용의 탐구적 경향은 Romey 분석을 사용하였고, 파일럿 스터디는 로봇을 활용하여 H/W와 S/W의 조화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 중에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움에 적합한 교과서는 한 권이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영역의 경우 탐구적 수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구성에서 활동을 중시하는 형태의 집필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extbook is a tool that helps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ill be constructed newly because revised curriculum 2015 was announced. The aim at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ication of the textbook writ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textbook of informatics currently being used in middle schools and to derive the direction of access to the newly configured physical computing unit.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was used Romey. The pilot studied makes lesson harmonized with H/W and S/W by utilizing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is one textbook among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that is suitable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and in the case of physical computing unit, inquiry instruction showed positive results. This study suggestions necessity of writing types that sets importance on activities in the form of textbook.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W 본연의 교육과 H/W와 S/W의 조화로운 교육에서 먼저 탐구적 경향을 띄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컴퓨팅 시스템’ 영역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W 본연의 교육과 H/W와 S/W의 조화로운 교육에서 먼저 탐구적 경향을 띄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컴퓨팅 시스템’ 영역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H/W 중심의 단원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단원에서 탐구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H/W 중심의 단원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H/W와 S/W가 조화를 이루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컴퓨팅 시스템’ 영역 또한 탐구적으로 집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H/W와 S/W가 조화를 이루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컴퓨팅 시스템’ 영역 또한 탐구적으로 집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도 새로운 교과서 집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단원에서 탐구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S/W 교육이 강조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교과는 S/W와 H/W의 조화를 고려한 피지컬컴퓨팅의 내용을 ‘컴퓨팅 시스템’ 단원에 새롭게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단원에서 탐구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H/W 중심의 단원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정보 기기’ 영역을 Romey 분석하였고,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탐구적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내용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정보 기기’ 영역을 Romey 분석하였고,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탐구적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에 따라 향후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추가된 내용 표현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기준으로 탐구적 경향을 조사하였다.

    기존 정보 교과서 연구는 Romey 분석 방법에 따라, 본문 내용 분석, 학습 자료 분석, 활동 지수 분석, 장의 평가 및 종합 부분 분석으로 구분하여 표로 표현하여 탐구성을 보고하였다[13-19]. 본 연구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에 따라 향후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추가된 내용 표현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를 기준으로 탐구적 경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1. Marsh, C.(1996).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London: Falmer Press. 
  2. 2. 최동근 외(1997).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3. 3. 교육부 제 2015-74호 [별책1](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4. 4. 연구자료 ORM 2015-18(2015).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공개토론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5. 강옥미(2001). 웹기반 언어학 탐구학습 개발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17(1), 37-55. 
  6. 6. Barry K. Beyer(1971). Inquiry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Strategy for teaching.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7. 7. Looi, C. (1998).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promoting inquiry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Systems, 27(1). 3-22. 
  8. 8. 강성구, 양창모(2004). 초등학교 정보 통신 기술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8(2), 213-225. 
  9. 9. 한규정(2008). 초등학교 정보통신 기술 교과서의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2(3), 347-354. 
  10. 10. 김자미, 노현아, 이원규(2011). 현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정보'교과서 '정보기기'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3), 1-12. 
  11. 11. 김자미, 심재권, 김지민, 이원규, 박두순 (2012). 중학교 '정보' 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정보처리학회. 19-A(1), 9-16. 
  12. 12. 김자미, 윤일규, 김용천, 최지영, 이원규 (2011). 2009년 검정교과서로 채택된 '정보' 교과서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5(2), 253-264. 
  13. 13. 김자미, 장윤재, 이원규(2011).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7), 3022-3029. 
  14. 14. 강오한(2014). 2009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2), 1-9. 
  15. 15. 강오한, 박정미(2013). 공업계 고등학교 '정보기술 기초' 교과서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3), 485-494. 
  16. 16. 강오한, 김병순(2012).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4), 61-69. 
  17. 17. 교육부 제 2015-74호 [별책10](2015). 정보과교육과정. 교육부. 
  18. 18. 교육부 제 2007-79호 [별책10](2007). 실과 교육과정. 교육부. 
  19. 19. 교육부 제 2011-361호 [별책10](2011). 실과 교육과정. 교육부. 
  20. 20. Barnes. D. J(2002). Teaching introductory Java through LEGO MINDSTORMS models. ACM SIGCSE Bulletin, Proceedings of the 33rd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34(1), 147-151. 
  21. 21. JaeKwoun Shim, WonGyu Lee, JaMee Kim(2014). 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Robot Simulation tool in Robot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425-433. 
  22. 22. In-Han Yoo(2009).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ogramming robots and learning of Informatics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2), 313-331. 
  23. 23. A. Cruz-Martin, J.A. Fernandez-Madrigal, C. Galindo, J. Gonzalez-Jimenez, C. Stockmans-Daou, J.L. Blanco-Claraco(2012). A LEGO Mindstorms NXT approach for teaching at Data Acquisition, Control Systems Engineering and Real-Time Systems undergraduate courses. Computers & Education. 59, 974-988. 
  24. 24. Norman. D. A(1994). 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25. 25. Ornstein, A. C.(1994). The textbook-driven curriculum.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Taylor & Francis, Ltd. 69(3). 70-85. 
  26. 26. Schmidt. M. (1983). Textbook selection criteria handbook II. WA: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1-11. 
  27. 27. Dover(1987). State policy and guidelines for selecting textbooks and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Delaware State Dept. of Public Instruction. 1-17. 
  28. 28. Huetteman. J. D. (1989). Instrument for textbook assessment. Maryland state dept. of education. Baltimore. Div. of library development and service. 1-12. 
  29. 29. Romey W. D. (김승행, 임영득 편역)(1982). 탐구적 과학지도 기술. 현대과학신서 110. 서울: 전파과학사. 
  30. 30. Marsh, colin, J.(2004).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curriculum(3rd.), New York: Routledge Falmer. 
  31. 31. Yongcheon Kim, Wongyu Lee, Jamee Kim(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for Learning Object-Oriented Concepts using Arduino and Physical Etoy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9(21), 8271-8282. 
  32. 32. YunJae Jang, WonGyu Lee and JaMee Kim(2015). Assessing the Usefulness of Object-based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rduino.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8(S1), 89-96.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이 논문과 연관된 기능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