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Place-based Policy and Urban Poverty: An Analysis of Employment Mismatch and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1, 2016년, pp.41 - 56  

이원호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도시빈곤 이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동시장과정으로서 일자리 및 공간적 미스매치의 실태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장소기반 노동시장적 개입이 고려해야 하는 지역노동시장의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성과로서 실업률의 변화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불균형과 다양한 근로조건에 따른 미스매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한 결정과정도 지역노동시장에 따라 차별적임을 고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도시 고용 교외화 과정 속에서 공간적 미스매치가 인적자본 요구 수준과 취업기회의 산업선택적 특성을 통해 노동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점도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 과정은 개별 지역노동시장 내에서 고유한 과정을 통해 작동하는 바, 도시빈곤과 일자리 미스매치 등 노동시장 과정을 연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노동시장적 개입을 추진함에 있어 노동시장의 장소성에 기반한 장소기반 정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loyment and spatial mismatch as a significant acting factor of deepening urban poverty and analyses the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that the more efficient place-based labor market intervention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nge of unemployment rate as a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지역노동시장별 노동력 공급 실태를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08년 이후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 활동참가율의 변화를 고찰하였다(표 2). 같은 기간 동안에 전국의 경제활동인구는 약 257만 명이 증가하면서 연평균 1.
  •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노동시장 수급 안정성을 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노동시장별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동력 수요 측면에서 본 연구는 2008년 이후 시도별 취업자 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표 1). 전국적으로 2008 년~2015년 기간 동안에 약 205만 명의 취업자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연평균 1.
  • 그렇지만 실제 개인 수준에서 공간적 미스매치에 의해 초래되는 결과에 대한 보다 엄밀한 분석이 필요한데, 이는 사실상 본 논문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생각한다. 다만 본 장에서는 통근권 확대를 초래하는 고용 교외화가 무차별적이지 않고 오히려 산업 차별적이기 때문에, 인적자본의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교외지역 취업기회가 서로 다른 집단에게 차별적인 함의를 갖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차별성은 광 역대도시별로 또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향후 노동 시장의 결과 이해 및 정책적 개입을 위한 논의는 개별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이에 반해 울산, 대전, 광주 등의 낮은 실업률은 노동시장의 수요 공급이 갖는 특징 속에서 낮은 미스매치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지역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일자리의 미스매치, 즉 수급 미스매치 정도를 고찰함으로써 지 역노동시장의 실태와 변동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한다.
  • 또한 시기적으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 변동의 거시적 트렌드인 노동시장 유연화, 경제의 지식기반화, 저성장 기조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고 노동시장 변동의 주요 분기점이 된 2008년 국제금융위기를 중시하여 그 이후의 시기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최근 심화되는 도시빈곤 현상에 주목하면서 그 이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동시장과정으로서 일자리 및 공간적 미스매치의 실태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장소기반 노동시장적 개입이 고려해야 하는 지역노동시장의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성과 측면에서 실업률의 변화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불균형과 다양한 근로조건에 따른 미스매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한 결정과정도 지역노동시장에 따라 차별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이론적 고찰에서 논의한 바대로 서구적 맥락에서 공간적 미스매치는 사회적 약자 집단이 교외지역에 존재하는 일자리에 대한 접근성 제약으로 인해 도시 내에서 빈곤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공간적 미스매치와 그에 따른 직주분리가 우리나라의 맥락에서 어떠한 노동시장적 결과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지역적으로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개인 수준의 미시적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에서 매년 제공되는 자료 중 7대 광역대도시 취업자에 해당하는 기초자료이다.
  • 총괄적인 구인배수의 변화와 함께 워크넷 자료는 성, 연령, 학력과 같은 인구특성과 고용형태 및 임금 수준 등 일자리 특성에 따라 구인인원, 구직자 수, 취업자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중 비교가 가능한 구직조건을 토대로 구인배수 고찰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의 패턴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고용형태별 구인배수를 보면, 일용직, 계약직, 상용직 순으로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용직과 계약직의 경우 구인인원 초과 현상이, 상용직의 경우 구직자 수 초과 현상이 나타났다(표 3).
  • 이때 지수 값이 1보다 작을수록 개인의 입장에서 일자리를 둘러싼 경쟁이 더 심해진다고 이해할 수 있다. 수급 미스매치를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워크넷 월별 리포트를 종합하여 분석 자료를 구축하였다. 우선 2008년 이후 구인배수는 국제경제위기를 극복하면서 점차 상승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들어 하락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그림 4).
  • 2) 본 논문의 대상을 7대 광역대도시로 국한했기 때문에, 직주 불일치의 경우는 주거지가 대도시이고 직장이 대도시 경계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그 반대의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사실상 주거지 교외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빈곤의 공간적 구성을 이해하고 장소기반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선 지역별 노동시장 결과의 특징 및 그 차이 형성과정을 고찰하며, 그 속에서 나타나는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소성의 효과적인 규명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우리나라 지역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지역 간 비교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7대 광역시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한다.
  • 특히 장하성(2015)의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노동시장의 결과가 빈곤과 소득격차의 패턴을 결정하는 경향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는 점과 함께 사실상 일자리 그 자체가 사람들의 생계와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궁극적으로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에 비추어 지역노동시장의 패턴과 동태를 검토하는 것이 도시 빈곤을 이해하는데 여전히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7대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을 대상으로 우선 이정섭(2011)의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급 불균형 및 미스매치 실태를 고찰한다.
  • 한편 본 논문은 도시빈곤, 일자리 불균등 및 미스매치,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등을 연계하기 위하여 지역단위 거시적 분석과 개인 수준의 자료를 활용한 미시적 분석을 병행한 것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장소성이 갖는 제 측면들에 대한 분석과 종합, 일자리 미스매치와 공간적 미스매치가 지역과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 전체 메커니즘에서 핵심적인 과정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다루었던 수준 이상으로 공간통계기법에 기반한 엄밀한 분석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빈곤문제에 대한 지리학적 접근의 중요한 특징은?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과 밀접한 ‘문화적 전환’과 사회적 및 학문적 보수화 경향 등에 의해 빈곤문제 연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 어진 적도 있지만, 신자유주의에 의한 일상생활의 파괴 및 빈곤의 심화는 결국 사회지리학으로 하여금 빈곤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지리학에서 빈곤을 다룸에 있어 중요한 특징은 바로 장소와의 연계 속에서 그것을 이해하고 정책도 그러한 측면, 즉 장소기반 정책을 주장한다는 점이다(Partridge and Rickman, 2008). 이것은 빈곤문제에 있어 사람기반 정책을 주장하는 경제학적 접근과 대별되는데, 생산 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정하는 신고전경제학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빈곤문제와 같은 노동시장적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균등화되기 때문에 장소기반 정책보다는 노동자 훈련을 지원 하고 가구의 이동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사람기반 정책이 더 낫다고 주장한다.
고용의 양극화는 어떠한 문제를 초래하는가?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은 외환위기 이후 급증하다가 이후 경기회복으로 점차 줄어들었고, 2008년 국제금융위기에 의해 다시 증가하였다가 점차 안정되고 있는 추세이지만(김복순· 정현상, 2015), 현재 우리나라에서 소득격차와 빈곤 심화의 핵심요인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또한 2000년대 이후 두드러진 우리나라 경제의 지식기반화에 따른 고용의 양극화는 소득의 양극화라는 보다 심화된 구조적인 사회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들어 심화되고 있는 경제의 저성장 기조도 청년실업 등 노동시장 측면에서 난맥상을 나 타내고 있다.
1997년 말 외환위기로 인해 발생한 문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1990년대 중반까지 이어진 산업화 기반 성장 동력의 힘은 급속한 경제개방과 세계화의 유동성에 의해 속절없이 무너지면서 전례 없는 국가부도사태를 맞게 된 것이다. 이후에 추진된 구조개혁은 남미 등 여타 비슷한 경험의 나라에서 나타난 모습 그대로 긴축재정과 함께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 등을 통해서 일반 시민의 삶의 질 저하 및 보다 구조적인 빈곤의 심화 등을 초래하였다. 외환위기가 초래한 빈곤 및 삶의 질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노동 시장에서의 비정규직의 확대일 것이다. 실제로 2015 년 8월 현재 임금노동자 중 비정규직은 6,271천 명으로서 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복순.정현상, 2015, 2015 KLI 비정규직 노동통계, 한국노동연구원. 

  2.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4, 분노의 숫자: 국가가 숨기는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 동녘. 

  3. 이영아, 2015, "한국의 빈곤층 밀집지역 분포 및 형성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45-56. 

  4. 이영아.정윤희, 2012, "빈곤지역 유형별 빈곤층 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1), 61-74. 

  5. 이정섭, 2011,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3), 439-453. 

  6. 이정섭.은석인, 2013,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 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2), 239-258. 

  7. 장하성, 2015, 왜 분노해야 하는가, 헤이북스. 

  8. 정수열, 2015,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1-16. 

  9. 정은희.이주미, 2015, 2015년 빈곤통계 연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최창곤, 2013,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현황과 일자리 정책," 경제연구, 31(4), 91-116. 

  11. 최창곤.이선경, 2010,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구조와 일자리," 경제연구, 28(3), 73-95. 

  12. Betti, G., Gagliardi, F., Lemmi, A. and Verma, V., 2012, Subnational indicators of poverty and deprivation in Europe: methodology and application,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5, 129-147. 

  13. Gobillon, L. and Selod, H., 2014, Spatial mismatch, poverty and vulnerable populations, in M.M. Fisher and P. Nijkamp (eds.), Handbook of Regional Science, Springer, 93-107. 

  14. Gough, J., Eisenschitz, A. and Mcculloch, A., 2006, Space of Social Exclusion, Routledge, London. 

  15. Jordan, B., 2008, The place of 'place' in theories of poverty: mobility, social capital and well-being,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115-129. 

  16. Kain, J.,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Quarter Journal of Economics, 82, 175-197. 

  17. Labao, L.M., Hooks, G. and Tickamyer, 2008, Poverty and inequality across space: sociological ref lections on the missing-middle subnational scale,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89-113. 

  18. Lhlanfeldt, K.R., 2006, A primer on spatial mismatch within urban labor markets, in Arnott, R.J. and McMillen, D.P. (eds.), A Companion to Urban Economics, Blackwell, Oxford, 404-417. 

  19. Pain, R., Barke, M., Fuller, D., Gough, J., MacFarlane, R. and Mowl, G., 2001, Introducing Social Geographies, Arnold, London. 

  20. Partridge, M.D. and Rickman, D.S., 2008, Place-based policy and rural policy: insights form the urban spatial mismatch literature,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131-1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