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과 관련된 영동 해안 강수량과 해기차 및 바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and Precipitation and between Wind and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Coastal Region in Relation to the Siberian High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6 no.1, 2016년, pp.127 - 140  

송지애 (국가농림기상센터) ,  이재규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유진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AST850 and precipitation, and those between WDT and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coastal region under the direct/indirect influence of the expansion of cP (continental polar air mass) high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winter season data for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종관 기압 패턴에 따른 강수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상 기압 패턴 별로 사례를 분류한 후, 풍상측 동해상에서의 바람과 영동 해안지역의 강수량과의 상관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다양한 풍향 별로 지속시간을 같이 고려한 값과 강수량과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년간의 겨울철 자료를 이용하여, 지상 기압 패턴 별로 동해상에서의해기차와 강수량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풍상측 동해 해상에서의 바람 방향 별로 지속시간을 같이 고려한 값과 강수량 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겨울철 영동 해안지역의 지상 기압 패턴에 따른 해기차 및 동해 해상에서의 바람 방향 및 지속시간이 강수량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장에는 사례 선정 및 지상 기압 패턴 분류, 그리고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방법을 설명하였고, 3장에서는 기압 패턴 별로 해기차 및 바람에 대한 강수량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였다.
  • 영동 해안지역에 10 mm 이상의 강수 시, 특정 방향의 바람성분의 크기와 지속시간이 강수량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주로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유입될 때 강수 현상이 나타나므로 풍상측인 강원 중북부 해상인 EN 영역과 ES 영역에서의 바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Type 2는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는 가운데 영동 지역으로 약한 기압골이 형성되면서 10 mm 이상의 강수가 내린 기압 패턴이다. 따라서 약한 기압골의 영향을 받는 경우, NAST 영역에서의 AST850과 강수량과의 상관성, 그리고 EN 영역과 ES 영역에서의 WDT 와 강수량과의 상관성은 어떠한지? 그리고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만을 받는 경우(Type 1)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설의 발생과 강수량을 결정하는 주요원인은 무엇인가? , 1994; Lee and Lee, 1994; Chung, 1995; Yoo and Chung, 1996; Lee, 1999). 대설의 발생과 강수량을 결정하는 주요원인으로 Lee and Lee (1994)은 하층류의 방향과 속도, 기단의 변질효과, 지형의 높이 그리고 종관 기압배치의 지속성이라고 제시하였으며, Choi (1994)는 영동 해안 지역의 대설은 북동류에 의한 강제상승보다는 동해상의 상층 한기 남하에 따른 대기 불안정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Lee and Park (1996)은 중규모 기압골의 존재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Lee and Kim (2008, 2009)은 WRF 수치모의 실험을 통하여 태백산맥 및 북쪽 산맥군에 의한 지형효과가 영동지역 대설의 강수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북쪽 산맥군의 존재는 동해와 영동지역에서의 기류 흐름을 보다 북동 기류로 전향되게 함으로써, 영동지역 대설의 강수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지형성 강수란 무엇인가? 겨울철 강원도 영동지역에서 발생하는 강수(강설)는1) 시베리아 기단(cP, continental polar air mass)이 동해상으로 확장하거나, 2) cP 기단이 연해주 부근으로 확장하면서, 일본 열도 부근으로 저기압이 위치하여 영동지역으로 북동풍 계열의 기류가 유입되는 종관 배경에서 발생하며, 찬 공기덩이가 동해상을 통과하면서 변질되어 영동지역의 산악지형과 만나 형성되는 지형성 강수라고 하였다(Jhun et al., 1994; Lee and Lee, 1994; Chung, 1995; Yoo and Chung, 1996; Lee, 1999).
강수 현상이 겨울철 영동지역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 2014)하기 때문에, 먼저 해수면 온도와 850 hPa 의 기온 차이(이하 AST850으로 칭함)인 AST850과 강수량과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겨울철 영동지역의 강수량은 풍상측인 동해 해상에서의 하층 바람의 풍향과 풍속, 그리고 지속시간과 매우 밀접한 관련(Chung et al., 2004; Cho and Kwon, 2012)이 있다. 따라서 각 지상 기압 패턴 별로 그리고 선정된 각 지점 별로, 어느 방향의 바람성분이 강수량과 가장 잘 연관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강수 기간을 대상으로, 해상 바람(1000 hPa 고도)을 여러 특정 방향(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derson, T., and S. Nilson, 1990: Topographically induced convective snowbands over the baltic sea and their precipitation distribution. Amer. Meteor. Soc., 5, 299-312. 

  2. Carpenter, D. M., 1993: The lake effect of the great salt lake: Overview and forecast problems. Wea. Forecasting, 8, 181-193. 

  3. Cho, K.-H., and T.-Y. Kwon, 2012: Orographic and ocean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snowfall event over Yeongdong region. Atmosphere, 22, 57-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M.-K., 1994: Heavy snowfall in the Young-dong region accompanied by the southward expansion of cold air toward East Sea. Forecast Technique, 5, 1-10. 

  5. Chung, B.-O., 1995: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nowfall between Youngdong region and west seaside district at honam region in Korea. M.S. Thesis, Chosun University, 45 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g, K.-B., J.-Y. Kim, and T.-Y. Kwon, 2004: Characteristics of lower-tropospheric wind related with winter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tmosphere, 40, 369-3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ill, F. F., K. A., Browning, and M. J. Bader, 1981: Radar and rain gauge observations of orographic rain over south wales. Quart. J. Roy. Meteor. Soc., 107, 643-670. 

  8. Jhun, J.-G., D.-K. Lee, and H.-A. Lee, 1994: A study on the heavy snowfalls occurred in South Korea. Asia-Pac. J. Atmos. Sci., 30, 97-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H., 1993: Correlations between heavy snowfall in the Young-dong region and sea surface temperature. Gang-Won Weather Characteristics, 5, 21-28. 

  10. Lee, H., and T.-Y. Lee, 1994: The governing factors ofr heavy snowfalls in Youngdong area. Asia-Pac. J. Atmos. Sci., 30, 179-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 G., 1999: Synoptic structure causing the difference in observed snowfall amount at taegwallyong and Kangnung: Case study. Asia-Pac. J. Atmos. Sci., 35, 319-3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J. G., and Y. J. Kim, 2008: A numerical case study examining the orographic effect of the taebaek mountains on snowfall distribution over the Yeongdong area. Atmosphere, 18, 364-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 G., and Y. J. Kim, 2009: A numerical case study examining the orographic effect of the northern mountains complex on snowfall distribution over the Yeongdong area. Atmosphere, 19, 345-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J.-H., S.-H. Eun, B.-G. Kim, and S.-O. Han, 2012: An analysis of low-level stability in the heavy snowfall event observed in the Yeongdong region. Atmosphere, 22, 209-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T.-Y., and Y.-Y. Park, 1996: Formation of a mesoscale trough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n excursion of Siberian high. J. Meteor. Soc. Japan, 74, 299-323. 

  16. Nam, H.-G., B.-G. Kim, S.-O. Han, C. K. Lee, and S.-S. Lee, 2014: Characteristics of easterly-induced snowfall in Yeongdong and its relationship to air-sea temperature difference. Asia-Pac. J. Atmos. Sci., 50, 541-552. 

  17. Neiman, P. J., F. M. Ralph, A. B. White, D. E. Kingsmill, and P. O. G. Persson, 2002: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upslope flow and rainfall in california's coastal mountains: Observations during CALJET. Mon. Wea. Rev., 130, 1468-1492. 

  18. Song, I.-S., 1992: Understanding Statistics - including SPSS analysis methods. Hakjisa, 720 pp (in Korean). 

  19. Song, J.-A., 2015: The Study of Synoptic Patterns in Favor of Heavy Snowfall in the Yeongdong Area and Predictors for Heavy Snowfall Amounts. M.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91 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Yoo, C.-S., and B.-O. Chung, 1996: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nowfall between Youngdong region and west seaside district at honam region in Korea. Natural Sci. Res., 19, 131-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Waldstreicher, J. S., 2002: A foot of snow from a 3000-foot cloud: The ocean-effect snowstorm of 14 January 1999. Bull. Amer. Meteor. Soc., 83, 19-2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