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자동차 가속/제동시스템의 실험적 모델링
Experimental Modeling of Acceleration and Brake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5 no.4, 2016년, pp.642 - 651  

이종언 (ADAS team, e-intells Co., erae Group) ,  김영철 (Dept. of Electronics E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acceleration and brake systems of an autonomous vehicle, the dynamic models from acceleration (brake) pedal input to driving(braking) torque at the vehicle wheel are represented by a set of linear transfer func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xperimental method that can identify these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가속시스템과 제동시스템을 선형전달함수 모델로 가정하고 시험입력을 인가하여 차륜에서의 회전력을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출력모델 (input-output model)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가감속 페달에 구동장치와 속도제어기를 갖는 실제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며, 가감속 시 바퀴에서의 회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휠하중측정장치(wheel force transducer: WFT)을 이용한다.

가설 설정

  • 가속시스템은 가속페달로부터 구동축 바퀴의 회전력까지를 나타내며 제동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바퀴에서의 제동력까지로 정의하였다. 이 두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비선형성요소를 포함하지만 몇 개의 동작점(페달입력 과 주행속도)에서선형이라고 가정하고 정밀한 모델 보다는 제어기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2차이하의 저차근사모델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 식별방법으로 구형파 펄스응답으로부터 4가지 저차모델의 파라미터를 견실하게 구하는 Kim등의 모멘트정합기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프로세스의 동적특성은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 대부분의 프로세스의 동적특성(dynamics)은 4가지 저차 모델(low-order models); 1차 지연시간(first-order plus time delay:FOTD), 2차 무지연시간(second-order with delay free: SODF), 2차 지연시간(second-order plus time delay: SOTD), 2차 1영점 무지연시간(second-order plus a zero with delay free: SOZDF)로 표현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 모델을 식별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이 중에서 최근에 Kim과 Jin이 제시한 단일 펄스응답의 모멘트 정합을 이용한 연속시간 저차 모델의 식별[9]은 테스트 입력이 펄스형태여서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며, 입력 인가 후 원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데이터취득 시간을 결정하는 것도 쉽다.
자율주행차량의 속도제어기를 좋은 성능을 갖도록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모델은? 자율주행차량의 속도제어기를 좋은 성능을 갖도록 설계하려면 가속페달입력-차량속도 간 동적 모델과 브레이크페달입력-차량속도 간 동적모델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차체를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고 구동축 바퀴의 회전력을 입력으로 차량속도를 출력으로 하는 모델을 유도하여 이용하는데 이러한 모델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12, 13].
자율주행용으로 개조한 모델은 어떻게 개조되었는가? 실험을 위해 사용한 차량은 상용 SUV(투싼ix, 2000cc, 가솔린엔진, 현대자동차, 2010년식)을 자율주행용으로 개조한 모델[10]이다. 이 차량은 조향 휠(steering wheel),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오토 트랜스미션 레버 등은 각각 독립적인 구동기 (actuator)와 DSP보드로 구현된 제어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 여기에 그림 1 처럼 가감속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데이터 취득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Thrun, et al. 29, "Stanley: The Robot that Won the DARPA Grand Challenge," J. of Field Robotics, vol. 23, no.9, 2006, 661-692. 

  2. C. Urmson et al 41, "Autonomous Driving in Urban Environments: Boss and the Urban Challenge," J. of Field Robotics, vol. 25, no.8, pp.425-466, 2008. 

  3. A. Broggi, P. Medici, P. Zani, A. Coati, and M. Panciroli, "Autonomous vehicle control in the VisLab International Autonomous Challenge," Annual Reviews in Control, vol.36, pp.161-171, 2012. 

  4. R. Rajamani, "Vehicle Dynamics and Control," Springer Verlag, 2005. 

  5. J.K. Hedrick, J.C. Gerdes, D.B. Maciuca, D. Swaroop, "Brake System Modeling, Control and Integrated Brake/Throttle Switching : Phase I," Technical Report UCB-ITS-PRR-97-21, California Partners for Advanced Transit and Highways, 1997. 

  6. W.K. Lennon and K. M. Passino, "Intelligent Control for Brake Systems," IEEE Tra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7, no.2, pp.188-202, 1999. 

  7. V. Cirvic and D. Aleksendric, "Intelligent Control of Automotive Braking System," Proc. of the FISITA World Automotive Congress, pp.14-19, Munich, Germany, Sep. 2008. 

  8. S. Min and K. Yi, "Modeling of Hydraulic Brake system and Experimentation using Equipped Test Vehicle," Proc. of KSAE Annual Autumn Conference, pp.597-602, 2001. 

  9. Y.C. Kim and L.H. Jin, "Robust identification of continuous-time low-order models using moments of a single rectangular pulse response," Journal of Process Control, vol. 23, no.5, pp.682-695, 2013. 

  10. K. Min and Y.C. Kim, "An Autonomous Vehicle: CBNU-Clothoid V1," Robot and Human, vol.10, no.2, pp. 11-19, 2013. 

  11. MTS Systems Corp., SWIFT 30 Sensor Product Information, [online] http://www.mts.com 

  12. K. Min, "Three-Dimensional Full Vehicle Dynamic Modelling and Guidance Control Design,"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4. 

  13. K. Min. Y. S. Byun, Y. C. Kim, "Modeling and Validation of 16 DOF Full Vehicle Model for Guidance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Vehicle System Modelling and Testing, vol.10, no.4, pp. 392-41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