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 운영현황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urrent State of the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in College of Education: Focused on J College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1, 2016년, pp.187 - 216  

배성중 (전주교육대학교)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장준갑 (전북대학교 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대학교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와 기록물철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차후 기록관리기준표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대학의 기록물분류체계를 파악하였으며,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공개청구 및 인터뷰를 통해 각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체계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업무의 중복 및 보존기간 책정문제 등 기록물분류 기준표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대학기록물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transaction and records folder analysis. For thes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Moreov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기록관리의 법적 근거가 되는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의 개정에 따라 변화된 기록물분류체계를 업무에 반영하기 위하여 기록물분류기준표 및 기록관리 기준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특수목적 대학교인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교육대학교에 도입된 업무분류체계인 기록물분류기준표를 분석하여 그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 분석결과 명확한 원칙과 기준이 없어 서로 상이한 단위과제 명칭을 사용하였고, 단위과제의 실제 활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존기간 또한 지역별 보존기간 적용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개선방안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록관리기준표의 운영상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기록관리기준표 도입을 위하여 우선 기록물분류기준표를 분석함으로써, 기관의 업무에 적합한 단위과제를 신설할 수 있도록 기존 단위업무 및 기록물철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앞으로는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현행 분류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향후에 후속연구로써 교육대학교의 기록관리기준표를 설계 및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개선된 교육대학교의 기록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기본적인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J교육대학교의 처리과 중에서도 부서별 업무생산능력이 높으며 비교적 단위업무가 잘 부여된 교무과, 학생과, 기획실, 총무과를 주요 대상으로 국가기록원의 ‘대학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에 준거하여 단위업무 및 기록물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에 교육대학교에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기록물분류체계를 도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기록관리기준표 개발의 사전 작업으로 전국 교육대학교 중에서 RMS가 정착된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각 교육대학교별 기록 관리 및 조직 현황을 살펴보고, 조직상 유사처리과 및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단위업무와 기록물철상의 문제점을 도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J교육대학교의 처리과 중에서도 교무과, 학생과, 기획실, 총무과를 중심으로 국가기록원의 ‘대학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에 준거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록물분류기준표상에 유사 단위업무가 많고 기록물철들이 전문성 없이 생성 되어 운영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 특별시 및 광역시·도에 소재한 교육대학교는 초등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대학으로서 교육기구, 행정지원, 부속 및 부설기관 등 단순 조직 구조형태를 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교육대학교의 조직도를 비교하여 조직 업무단위에 대한 하위 구조로서 각 교육대학교별 처리과 유사형태를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나 국가기록원의 지침으로 인하여 대학은 보존기간 30년 이상의 기록물을 이관하지 않고 자체 보존해야 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기준표의 정립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에서 기록관리기준표로의 전환을 위하여, 먼저 선행적으로 국내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 활용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육대학교 기록 관리기준표 개발의 사전 작업으로서 10개의 전국 교육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직 및 기록물분류 기준표 현황을 조사한 후에, 2004년 이후 교육 대학교 중 유일하게 기록관리시스템(RMS)이 정착화 되어있는 J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개선방안을 고찰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대학교의 의무는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국·공립대학교는 국가 인재양성의 목표를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관련 기록물을 생산하여 국가적 자산으로써 대학기록물에 역사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국·공립대학교 중에서도 초등교육의 산실인 교육대학교는 공공 교육기관으로서 교육․문화 기록물이 생산 및 보존,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초등교육기관의 의무를 부여받고 있다. 즉, 교육대학교에서 생산되는 기록물들은 초등교육의 과거와 역사성 확보를 위한 귀중한 증거이며, 대학의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김정하 2007; 배현숙 1999; 이혁재, 김유승 2009; 박효숙 2003).
각 교육대학의 처리과명이 유사 처리과명으로 명시되는 이유는? <표 2>를 살펴보면 교육기구, 대학본부, 부속 및 부설기관의 각 처리과가 대부분 교육대학교의 기본적인 조직 구성으로서 편재되어 있다. 각 교육대학별 공통 처리과명 이외에 일부 대학에서는 처리과명을 상이하게 처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업무 내용은 동일하기 때문에 유사 처리과명으로 명시된다. 특히 서울 및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광주교육대, 서울교육대, 부산교육대는 부속 및 부설기관의 처리과명이 각 교육 대학교의 기본 처리과명과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편재되어 있다.
교육대학교 기록 관리기준표 개발의 사전 작업으로서 10개의 전국 교육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직 및 기록물분류 기준표 현황을 조사한 후에, 2004년 이후 교육 대학교 중 유일하게 기록관리시스템(RMS)이 정착화 되어있는 J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개선방안을 고찰하게 된 이유는? 특히나 국가기록원의 지침으로 인하여 대학은 보존기간 30년 이상의 기록물을 이관하지 않고 자체 보존해야 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기준표의 정립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에서 기록관리기준표로의 전환을 위하여, 먼저 선행적으로 국내 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 활용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육대학교 기록 관리기준표 개발의 사전 작업으로서 10개의 전국 교육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직 및 기록물분류 기준표 현황을 조사한 후에, 2004년 이후 교육 대학교 중 유일하게 기록관리시스템(RMS)이 정착화 되어있는 J교육대학교의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개선방안을 고찰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경인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인천: 경인교육대학교. (Kyeongin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Incheon: Kyeongin College of Education.) 

  2. 공주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공주: 공주교육대학교. (Ko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Kongju: Kongju College of Education.) 

  3. 곽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4: 153-190. (Kwag, Jeong. 2006. "Analysis of Reform Model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Public Institution: From Reform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2006." Archival Science, 14: 153-190.) 

  4. 광주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광주: 광주교육대학교. (Gwa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Gwangju: Gwangju College of Education.) 

  5. 국가기록원. 2008.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실무".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8. Working of the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6. 국가기록원. 2012. "대학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 대전: 국가기록원. 

  7. 국가기록원. 2015a. "대학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a. Appraisal Standard Guidelines of University Records Reservation Period.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8. 국가기록원. 2015b. "2014년 대학기록물 관리 실태조사서".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b. Procedures of Task Transaction for Records Management.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9. 김미경. 2011. "공공기관의 기록관리기준표에 관한 연구: D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Kim, Mi Kyoung. 2011. A Study on the Record Schedule for Public Institution: Focused on the D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10. 김정남. 2006.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 분석: 국공립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43-63. (Kim, Jung Nam. 2006. "An Analysis of the Records Schedule's Transactions: Focused on National & Public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1): 43-63.) 

  11. 김정하. 2007. 우리나라의 국가기록물관리를 위한 제연. "국제지역연구", 11(3): 187-212. (Kim, Jung Ha. 2007. "The Suggestion for National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1(3): 187-212.) 

  12. 김진희. 2007. "지방 기록물분류기준표 제도의 변화방향 연구: 대전광역시 5개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Kim, Jin Hee. 2007. A Study on the Changes of Local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Focused on Five Distric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13. 대구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대구: 대구교육대학교. (Daegu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Daehu: Daegu College of Education.) 

  14. 대덕구청. 2008. "문답식으로 쉽게 풀어보는 기록물관리 업무편람". 대덕: 대덕구청. (Daedeok District Office. 2008. Business Guide of the Records Management. Daedeok: Daedeok District Office.) 

  15. 문선호. 2014.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도입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Mun, Sun Ho. 2014.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Introduction of Problem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16. 박효숙. 2003. "대학 공공기록물의 관리 실태 및 발전방안: 국립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Park, Hyo Sook. 2003. A Study on Public Records Archives Management of University: Focused on the Kongju National Universit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17. 배순자. 2005. 국내 대학기록물 관리의 현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2(3): 55-70. (Bae, Soon Ja. 2005. "An Analysis of the Current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55-70.) 

  18. 배현숙. 1999. 공공기록물관리에 대한 오늘의 과제. "도서관문화", 40(4): 210-217. (Bae, Hyeon Suk. 1999. "A Study o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KLA Journal, 40(4): 210-217.) 

  19. 부산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부산: 부산교육대학교. (Pusan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Pusan: Pusan College of Education.) 

  20. 서울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Seoul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Seoul: Seoul College of Education.) 

  21. 안미리. 2009. "단위 학교기록물의 기록관리기준표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Ahn, Mi Lee. 2009. The Table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Development for School Record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Hanshin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22. 오대관. 2012.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Oh, Dae Kwan. 2012. A Study on the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Write Records Management Criteria.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po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23. 이혁재, 김유승. 2009. 정부기관 웹 기록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33-46. (Lee, Hyuk Jae and You Seung Kim. 2009. "A Study on the Web Based Records Management Policy for Government Agenc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3): 33-46.) 

  24. 전상식. 2014. "기록관리기준표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6대광역시의 대기능 '문화재보존정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협동과정. (Jeon, Sang Sik. 2014.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Focused on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of the Large Function in 6 Metropolitan Citi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25. 전주교육대학교. 2015a. "2015-2016 대학요람". 전주: 전주교육대학교.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015a. A College Catalog of 2015-2016. Jeonju: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6. 전주교육대학교. 2015b. "기록물분류기준표". 전주: 전주교육대학교.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015b.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Jeonju: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7. 전주교육대학교. 2015c. "기록물철". 전주: 전주교육대학교.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015c. Records Folder. Jeonju: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8. 진주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진주: 진주교육대학교. (Jinju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Jinju: Jinju College of Education.) 

  29. 청주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청주: 청주교육대학교. (Cheo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Cheongju: Cheongju College of Education.) 

  30. 춘전교육대학교. 2015. "기록물분류기준표". 춘천: 춘천교육대학교. (Chuncheon College of Education. 2015.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Chuncheon: Chuncheon College of Education.) 

  31. 한성산. 2010. "경기도 기록관의 기록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물관리학과. (Han, Seong San. 2010. The Present condi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ment plan in GyeongGi-Do Archiv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32. 한초우. 2008. "공공기관의 기록관리기준 작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Han, Cho Woo. 200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in Public Institution.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33. 황난희. 2010. "지방의회 회의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Hwang, Nan Hee. 2010. Research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Local Council Assembly Record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 of Archives Management.) 

  34. Carvalho, Cristina. 2001. "Appraisal based on Organic Functional Analysis: A Case Study in an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Records Management Journal, 11(3): 175-205. 

  35. Gibbons, P. and C. Shenton. 2003. "Implementing A Records Management Strategy for the UK Parliament: The Experience of Using Keyword AAA." Journal of the Society Archivists, 24(2): 141-157. 

  36. Kim, D. S. and Y. Noh. 2014. "A Study of Public Library Patrons' Understanding of Library Records and Data Privac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4(1): 53-78. 

  37. Lee, S. H., H. M. Kim, and H. S. Choe. 2012. "A Preliminary Study on the Multiple Mapping Structure of Classification Systems for Heterogeneous Datab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2(1): 51-65. 

  38. Lee, S. H., S. Y. Jeong, and K. Y. Kim. 2013. "Inter-Journal Knowledge Map using Citation Information and Subject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3(2): 95-112. 

  39. Sabourin, P. 2001. "Constructing a Function-Based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Business Activity Structure Classification System (BASCS)." Achivaria, 51(Spring): 137-154. 

  40. 경인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Kyeongin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1. 국가기록원 [online]. [cited 2015.7.5]. .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 [online]. [cited 2015.7.5]. .) 

  42. 공주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Ko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3. 광주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Gwa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4. 대구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Daeg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5. 부산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Pasan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6. 서울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Seoul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7. 전주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Jeonj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8. 진주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Jinj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49. 청주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Cheongju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50. 춘천교육대학교 [online]. [cited 2015.7.6]. . (Chuncheon College of Education. 2015. [online]. [cited 2015.7.6]. .) 

  5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5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5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54. "사무관리규정" 

  55. "정부기능의 분류 및 관리에 관한 규정"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