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및 취업전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144 - 152  

한영인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및 취업전략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28일까지 B시와 G시 소재 4년 간호대학생 107명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평균값은 핵심역량은 3.57점, 간호전문직관 4.22점, 취업전략 3.69점이었다.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r=.401, p<.001), 핵심역량과 취업전략(r=.559, p<.001),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r=.465, p<.001)는 양의(+) 상관관계이었다.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핵심역량(${\beta}=.43$, p<.001)와 간호전문직관(${\beta}=.28$, p=.001), 학교성적(${\beta}=-.19$, p=.011)이었으며 취업전략의 약 42%를 설명하였다(F=24,82, p<.001).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과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간호전문직관과 취업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연구, 프로그램개발과 교육과정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ports a descriptive correla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ore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28, 2014. A structural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107 nursing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취업전략이라 함은 취업과 전략의 합성어로서 전략의 사전적 의미를 파악해볼 때, 취업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준비, 계획, 동원, 조직 등의 방략과 승부를 위한 전반적이고 세부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11]. 대학생의 취업전략은 취업을 위한 계획단계부터 시작하여 취업성공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취업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취업과 관련한 일련의 행위를 말하고[12], 기본적인 지식과 소양과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 구체적인 직업관 등 종합적인 사고체계와 전반적인 활동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취업전략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간호학생들이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간호전문직관를 확립하며 취업을 위한 전략을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간호전문직관 및 취업전략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간호전문직관, 취업전략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간호학생들이 핵심역량을 배양하고, 간호전문직관를 확립하며 취업을 위한 전략을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간호교육 평가원에서 제시한 실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간호사 핵심역량 7가지는 무엇인가?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실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간호사 핵심역량으로 ‘전인간호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대상자 건강개선을 위한 전문분야간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간호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 간호전문직발전을 위한 법적․윤리적 책임인식 능력, 간호목표달성을 위한리더십 능력,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연구수행 능력, 글로벌 보건의료 정책 변화 대응 능력’ 등의 7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1]. 간호핵심역량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간호역량 중에서 모든 간호사에게 반드시 필요로 하는 중요한 역량으로 전문직 간호사임을 입증하는 역량을 말하는 것으로[2],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로 정의하였다[3].
간호에 대한 본질, 간호 핵심역량,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 간호전문직업 등에 대한 내실을 추구할 시점이라고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간호전공은 4년제 대학에서 정규직 취업률 1위로 86,48%(8,332명)이며, 전문대학은 정규직 취업률이 82,3%(5,831명)이고[7], 졸업직후에는 임상간호사로 근무하기를 희망하지만 그 후에는 지역사회간호사, 공무원, 해외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경우도 다수였다고 한다[8]. 간호대학생이 구체적인 간호전문직관이 확립되지 않으면 졸업 후 간호직업에 대한 갈등과 정체성이 발생할 수 있고, 직무만족감이 떨어져서 이직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2009년 35개 종합병원의 간호사의 이직률은 15.
간호핵심역량은 무엇인가? 국내외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실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간호사 핵심역량으로 ‘전인간호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대상자 건강개선을 위한 전문분야간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간호 문제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 간호전문직발전을 위한 법적․윤리적 책임인식 능력, 간호목표달성을 위한리더십 능력,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연구수행 능력, 글로벌 보건의료 정책 변화 대응 능력’ 등의 7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1]. 간호핵심역량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간호역량 중에서 모든 간호사에게 반드시 필요로 하는 중요한 역량으로 전문직 간호사임을 입증하는 역량을 말하는 것으로[2],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로 정의하였다[3]. 특히 간호사 핵심역량 중에서 ‘전인간호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대상자 건강개선을 위한 전문분야 간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간호전문직발전을 위한 법적․윤리적 책임인식 능력, 간호목표달성을 위한 리더십 능력’ 등은 간호전문직관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성 있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es Core Competencies and Nursing Education Learning Outcomes, 2012.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 21127132143.pdf (accessed Nov, 1, 2014) 

  2. Tanner, C. A.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e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2006. 

  3. K. W. Lee, et al. "A Study on Developing a Key Competence in the Primary/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 II".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8. 

  4. E. J. Yoon, Y.M. Kwon, O.H. An.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6), 1091-1100. 2005. 

  5. S. H. Ko, B. Y. Chu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3), 335-343. 2004. 

  6. Adams, D., & Miller, B. K.,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2001. DOI: http://dx.doi.org/10.1053/jpnu.2001.25913 

  7.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Employment Statistics Yearbook DB connection", Ministry of education, SM 2015-01, ISSN 2287-7657. 56-84, 2015. 

  8. K. S. Bang, et al.,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nursing and future care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22-31, 2009.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1.022 

  9. I. O. Moon & G. W. Lee.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83-91,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1.083 

  10. Y. M. Yun, K. S. Sung, E. J. Kim.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on Adaptation of the Major, Career Identity and Career Search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22(1), 98-108, June, 2015. 

  11. H. J.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ability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on Employment Strategies",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Kyongi University. 2013. 

  12. J. S. Yi,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2. 

  1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4. Pijl-Zieber, E. M., Barton, S., Konkin, J., Awosoga, O., Caine, V. "Competence and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Finding our way through the issues", Nurse Education Today, 34(5), 676-678. 2014.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3.09.007 

  15. E. J. Yeun, Y. M. Kwon, O. H. Ahn.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 1100. 2005. 

  16. M. H.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ung Hee University, 2008. 

  17. S. Y. Choi.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rategy Based on Work Value Subtypes of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2014. 

  18. J. S. Yi.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1. 

  19. H. H. Park, Y. S. Kim, I. O. Oh.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re Competency of Hospital Nurses with Nursing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 (1), 531-544, 2015. 

  20. S. D. Kim.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Nursing Core Competency of Nurses & Nurse Managers in a Commun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844-2851,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844 

  21. H. J.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ability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on Employment Strategies",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Kyongi University, 2013. 

  22. J. W. Park, M. S. Yoo, E. J. Seo, H. R. Park.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Core Competency Focus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2269-2282, 2015. 

  23. K. Y. Ji, I.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62-70,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62 

  24. Y. S. Ham.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