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509 - 517  

손유림 (포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변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D시와 G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의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2015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Kim 등이 수정 보완 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Lee가 개발한 안전간호활동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07, p<.001)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병원 근무 환경은 안전간호활동에 43.3%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병원근무환경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볼수 있다. 안전간호의 질 향상을 위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안전간호 지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78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in D and G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15 through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the Measure of Patient Safe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후 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종합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은 D시와 G시의 일부 지역의 종합병원 간호사만을 편의표 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과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실시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환자안전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안전간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간의 관계 및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문화란 무엇인가? 환자안전문화는 보건의료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의료오류의 예방과 오류로 야기되는 환자의 상해의제거 및 완화를 위한 개별적이고 조직적인 행동패턴이다[3,4].
환자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외 병원 내 의료인은 투약과오, 낙상, 병원감염, 근접오류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오류 등 환자안전의 중요성을 여실히 느끼고 있다[5]. 그러나 일부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에 대해서 낙상에 의한 부상, 자살과 같은 안전사고나 재해 등 매우 제한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자안전과 의료오류를 서로 다른 것으로, 의료오류는 의료사고와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근접오류는 빈번하게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간호사는 크고 작은 의료근접오류의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그때 마다 큰 물의 없이 자연스럽게 처리되므로 오류발생에 대한 경각심이나 주의경고체계 또한 모호한 상황이다.간호사에만 해당하는 일이 아니라 병원경영진과 의사들도 환자안전이나 의료오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6,7].환자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력부족과 직원배치, 업무과정 절차의 준수, 의료부서간 의사소 통의 문제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의료오류의 보고 체계 구축과 근접오류의 보고에 대한 인식이 바뀔 필요가 있다[8].
환자들에게 좋지 못한 안전관련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서비스의 전문화와 분업화는 의료인 간의 불분명한 의사소통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의료인들의 책임의식 및 안전의식 등이 저하되면서 환자들에게 좋지 못한 안전관련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병원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 중에는 의학적 치료와 직접 관련된 의료과오와 부적절한 간호활동을 인한 사고 외 전반적인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사고로 매년 입원환자의 4%에 가까운 대상자가 의료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으며, 의료사고로 인해 매년 4만명 이상이 사망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2001. 

  2. L. T. Kohn, J. M. Corrigan, M. S. Donaldso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3. J. Jeong,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case of nursing divis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4. S. S. Cho, M. H. Gang,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1, pp. 24-34, 201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24 

  5. Y. D. S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uterized patient safety program at Asan medical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006. 

  6. E. K. Kim, M. A. Kang, H. K. Kim,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321-334, 2007. 

  7. E. Y. Yu, S. J. Jung, "Analysis of doctors' cognition of patient safety at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607-261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607 

  8. H. S. Chang, G. W. Lee, “The effects of near miss an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nd the cultur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for the patient safety,”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Vol. 14, No. 2, pp. 138-144, 2010. 

  9. S. J. Ha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University, Seoul, 2001. 

  10. M. J. Kim, “The types and patterns of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2, No. 2, pp. 265-275, 2006. 

  11. S. J. Park, J. Y. Kang, Y. O. Lee,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5, No. 2, pp. 44-45, 2012. 

  12. H. Y. Kim, H. S. Kim,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413-422,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13 

  13. J. H. Yoo, K. A. Kang, “Survey of oncology nurs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Asian Oncology Nursing, Vol. 14, No. 2, pp. 119-126, 2014. DOI: http://dx.doi.org/10.5388/aon.2014.14.2.119 

  14. J. E. Kim, M. A. Kang, K. E. An, Y. H. Sung, "A survey of nurses'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Nursing, Vol. 13, No. 3, pp. 169-177, 2007. 

  15. G. O. Lee,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09. 

  16. Y. J. Lee,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11. 

  17. W. Y. Je,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hwan University, Seoul, 2007. 

  18. P. J. Pronovost, B. Weast, C. G. Holzmueller, B. J. Rosenstein, R. P. Kidwell, K. B. haller., et al., “Evaluation of the c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 12, No. 6, pp. 405-410, 2003. DOI: http://dx.doi.org/10.1136/qhc.12.6.405 

  19. H. T. Davis, S. M. Nultey, R. Mann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quality of health care,”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 9, No. 2, pp. 111-119, 2000. DOI: http://dx.doi.org/10.1136/qhc.9.2.111 

  20. X. Feng, K. Bobay, M. Weiss,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a dimensional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3, No. 3, pp. 310-31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728.x 

  21. E. Y. Yu, S. J. Jung, "Analysis of doctors' cognitions of patient safety at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670-261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607 

  22. M. H. Choi,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fluencing the factors among hospital workers,"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ty, 2009. 

  23. M. H. Nam, "The cognition level on th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