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플로우와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s Flow and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in Social Network Services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5 no.1, 2016년, pp.211 - 226  

고준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  이성준 (주식회사 나래에스앤아이) ,  누립국 (전남대학교 전자상거래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SNS users argue that they feel techno-stress or digital fatigue when they use SNS. As the relationships in the SNS expand, users may feel work overload, digital fatigue, and techno-stress which are caused by the time and effort for the retaining the existing relationships established v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구성은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SNS 스트레스 구성요인을 파악하며,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포함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실증분석 부분에서 연구방법론과 가설검증 결과를 토의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결론 및 시사점에서는 연구결과 요약과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SNS 스트레스에 대한 구성요인을 좀 더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플로우의 선행변수로 알려져온 도전감, 숙련도, 상호작용 등이 SNS 맥락에서도 플로우에 대한 유의한 영향변수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SNS와 삶의 질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SNS 스트레스와 SNS 플로우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통합적 연구모형을 제시코자 한다.
  • 각각의 선행연구에서 규정하는 피로감 또는 스트레스의 개념적 정의나 구성요인에 대한 정의도 명확하게 합의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SNS 스트레스에 대한 구성요인을 좀 더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플로우의 선행변수로 알려져온 도전감, 숙련도, 상호작용 등이 SNS 맥락에서도 플로우에 대한 유의한 영향변수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SNS 플로우의 선행변수로서 도전감, 숙련도, 상호작용을 고려하였고, SNS 스트레스의 구성요인으로는 원하지 않는 사회적 관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기회비용, 평판인식을 설정하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은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로 접근하였다. 또한 앞서 선행연구 고찰에서 논의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의 변수들 간 영향 관계에서 SNS 사용량이 부정적,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감안하여 SNS 사용량을 대변하는 SNS 평균접속 횟수를 통제변수로 고려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연구모형은 다음의 [Figure 1]에 제시되어 있다.
  • Kim and Lee(2012) 또한 도전감, 숙련도, 상호작용성이 플로우의 영향요인임을 주장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SNS 플로우의 선행변수로서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 우선 SNS 플로우와 선행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제시한다.
  • 본 연구의 가장 근원적인 동기는 SNS의 사용이 대중화된 현실에서 SNS가 과연 우리들의 삶에 긍정적인지 또는 부정적 측면이 많은지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함이다. 즉, 본 연구는 과연 SNS가 사용자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SNS 플로우에 주요한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일이었다. 이에 대해 사용자의 도전감, 숙련도, 상호작용을 고려하였는데 실증분석 결과, 도전감과 상호작용은 SNS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반면, 숙련도는 SNS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마지막 목적은 ‘SNS가 과연 사용자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SNS 스트레스, SNS 플로우, 삶의 질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모형의 개발과 제시였다.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SNS 스트레스 요인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논의와 검토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SNS 스트레스 구성요인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사회적 관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기회비용, 평판인식, 정보과부하 등의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으나, 실증분석에서 원하지 않는 사회적 관계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요인분석에서 이 두 요인이 함께 묶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이렇듯 SNS 사용에 따른 결과로 긍정적인 측면과 아울러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SNS 사용에 대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함께 조명하기 위해 SNS 사용에 따른 긍정적 측면으로 SNS 플로우(flow), 부정적 측면으로 SNS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 셋째, SNS와 삶의 질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SNS 스트레스와 SNS 플로우 및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통합적 연구모형을 제시코자 한다. 즉, SNS 스트레스와 SNS 플로우를 통합하여, SNS 사용자의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도전감은 SNS 플로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0 : 정보과부하는 부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숙련도는 SNS 플로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상호작용은 SNS 플로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SNS 플로우는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SNS 플로우는 긍정적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원하지 않는 사회적 관계는 부정적 정서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부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 기회비용은 부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 평판인식은 부정적 정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스트레스 구성요인의 재정립이다. 현재 SNS 피로감 또는 SNS 스트레스에 대한 약간의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아직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od, C., Technostress : The Human Cost of the Computer Revolution, Addison-Wesley, 1984. 

  2. Burke, P.J., "Identity Processes and Social Str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6, No. 6, 1991, 836-849. 

  3. Cho, E.K., "Psychology of Quality of Life : Emo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Symposium Report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 23-43. (조은경, "삶의 질의 심리학 : 정서적 균형과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자료집, 1995, 23-43.) 

  4. Csiksczentmihalyi, M.,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 Harper and Row, 1990. 

  5. Diener, E.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1984, 542-575. 

  6. e-Today, "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Does SNS Make People Tired?", 2013, Available at URL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25770(Accessed January 19. 2016.) (이투데이 인터넷신문 기사, "과유불급, SNS가 사람을 피곤하게 만든다?", 2013, URL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25770.) 

  7. Hoffman, D.L. and T.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3, 1996, 50-68. 

  8. Kim, K.D., H.J. Kim, and Y. Bae, "Exploring the Concept and Determinant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Fatigue", Information and Society, No.26, 2013, 102-129. (김경달, 김현주, 배 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피로감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와 사회, No. 26, 2013, 102-129.) 

  9. Kim, M.S. and D.J. Lee, "The Role of Digital Fatigue and Flow in SNS Usage", e-Business Studies, Vol.13, No.1, 2012, 67-87. (김명수, 이동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디지털 피로감과 플로우의 역할",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1호, 2012, 67-87.) 

  10. Kim, S.H. and H.S. Park, "Empirical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sers' Fatigue on S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Habi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4, No.4, 2015, 137-157. (김상현, 박현선, "SNS에서의 사용자 피로감의 선행 및 결과 요인과 습관의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4권, 제4호, 2015, 137-157.) 

  11.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 Analytical Framework for Measurement of Citizen's Quality of Lif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11. (한국사회학회, "국민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분석틀", 한국사회학회, 2011.) 

  12. Kwahk, K.Y. and H.J. Kim,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tress on Social Media Switching Intention",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Administration, Summer, 2011, 83-114. (곽기영, 김효준, "소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소셜미디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하계발표논문집, 2011, 83-114.) 

  13. Kwon, S.J., "The Exploratory Analysis of Subjective Well-being in Internet Continuance to Us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8, No.4, 2009, 1-16. (권순재, "인터넷의 지속적 상용의도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8권, 제4호, 2009, 1-16.) 

  14. Kwon, G.Y. and D.G. Lee,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Smart-phone", Korean Business Review, Vol.5, No.3, 2012, 81-102. (권귀영, 이동건,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5권, 제3호, 2012, 81-102.) 

  15. Lazarus, R.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1984. 

  16. Lim, M.S., "Social Network Induced Stress on Coping Behaviors of Consumer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20, No.4, 2013, 111-136. (임명서, "소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소비자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4호, 2013, 111-136.) 

  17. Mo, H.S., M.R. Park, and D.H. H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7, No.3, 2013, 761-781. (모화숙, 박미라, 하대현, "Big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3호, 2013, 761-781.) 

  18. Naverpedia, "SNS Fatigue Syndrome", Available at UR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87181&cid472&categoryId472(Accessed January 22. 2016). (네이버지식백과, "SNS 피로증후군", Available at UR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87181&cid472&categoryId472.) 

  19. Naverpedia, "Stress", Available at UR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7264&cid40942&categoryId32310(Accessed January 22. 2016.) (네이버지식백과, "스트레스", Available at UR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7264&cid40942&categoryId32310.) 

  20. Novak, T.P., D.L. Hoffman, and Y.F. Yung,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Vol.19, No.1, 2000, 22-42. 

  21. Park, K.J. and J. Koh, "Determinants of Individual's IT Usage Intention-Focusing on the Coupling Effect in the SNS Context", Korean Management Review, Vol.43, No.6, 2014, 2155-2174. (박경자, 고 준, "정보기술 사용의도의 결정요인 : SNS에서의 커플링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3권, 제6호, 2014, 2155-2174.) 

  22. Park, K.J., J. Koh, and S.B. Park, "Why Do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Stop Using the Service? : Focusing on Perceived Costs and Coupling Effect",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15, No. 1, 2015, 1-16. (박경자, 고 준, 박승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중단의 왜 발생하는가? : 지각된 비용과 커플링 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5권, 제1권, 2015, 1-16.) 

  23. Park, S.C. and J. Koh, "Does a Smart Device Really Enhance Quality of Life(QoF)? :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ork-home Balance", Korean Management Review, Vol.43, No.5, 2014, 1707-1733. (박상철, 고 준, "조직 내 스마트기기 활용이 과연 삶의 질을 높이는가? : 테크노스트레스 조절효과와 업무-가정생활간의 균형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3권, 제5호, 2014, 1707-1733.) 

  24. Park, C., "A Critical Review of Flow Researches in Online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19, No.2, 2008, 65-92. (박 철, "온라인 소비자행동에서 플로우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제19권, 제2호, 2008, 65-92.) 

  25. Rogers, E.M., Communication Technology : The New Media in Society, New York : The Free Press, 1986. 

  26.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0 Hit Products in 2008", 2008, Available at URL : http://blog.naver.com/zzuzzury?RedirectLog&logNo70040130531(Accessed January 30. 2016). (삼성경제연구소, "2008년 10대 히트 상품", 2008, Available at URL : http://blog.naver.com/zzuzzury?RedirectLog&logNo70040130531.) 

  27. Suh, E.K. and J.S. Koo,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25, No.1, 2011, 95-113. (서은국, 구재선,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1호, 2011, 95-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