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방임 및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 탐색
Exploring Psycho-social Determinants to Child Neglect and Abuse among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1, 2016년, pp.81 - 94  

김아림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탁영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sycho-social factors regarding child neglect and abuse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 National Survey on Children and Youth. Methods: Data from a sample of 1,062 primary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영유아를 돌보는 주양육자의 심리 사회적 변인들과 학대 및 방임의 종합적인 관련성과 심리 사회적 변인들이 아동 학대 및 방임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경로로 얼마만큼의 설명력을 지니는 지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공하는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부모 역할 발달 및 실제 양육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는 심리 사회적 변인들과 아동 학대 및 방임의 가설적 경로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아동의 발달 단계가 영아기(0~2세), 유아기(3~5세)에 따라 신체, 인지, 정서 및 사회적 성숙도와 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다.
  • 특히, 아동의 발달 단계가 영아기(0~2세), 유아기(3~5세)에 따라 신체, 인지, 정서 및 사회적 성숙도와 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연령대 별 아동방임 및 학대 경로 모형 차이를 탐색하여 아동의 생애 주기별 최적의 성장 발달을 돕는 가족 지원 정책 방향과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아동방임 및 학대가 국내 사회정치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효과적인 조기 예방 중재 전략 논의와 추진이 시급한 상황이다.
  • 최근 아동방임 및 학대가 국내 사회정치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효과적인 조기 예방 중재 전략 논의와 추진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방임 및 학대 가정 고위험군 선별, 조기 중재 및 건강한 가정환경과 양육 지원을 통해 영유아의 최적의 성장 발달과 가족 건강성을 도모하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3년도 아동종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우울, 양육 스트레스, 결혼 생활 만족,부모-자녀 애착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소와 아동방임 및 학대간의 경로를 탐색하고 아동의 연령대별로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영아기(0~2세)와 유아기(3~5세)로 구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방임 및 학대를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양육 환경 혹은 가족 지원 전략을 강구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24] 자료를 2차 분석하여 영유아를 돌보는 주양육자의 아동방임 및 학대의 경로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경로분석 연구이다.
  • 따라서 아동방임 및 학대 문제는 단순히 한 세대의 가정에 국한된 문제 아니라 아동의 미래와 다음 세대의 건강한 가족 및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필히 예방되어야 하는 시급한 문제임이 틀림없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심리사회적 요소와 방임 및 학대 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성장기 아동의 최적의 성장 발달과 가족 건강성 증진을 도모하는 안전한 양육 환경 지원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양육자가 돌보는 아동의 연령대에 따라 각 변인들 간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 검증하였다. 영아기(0~2세)인 유아기(3~5세)로 집단을 구분하여 각각의 경로계수 추정치를Table 3과 Figure 3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13년도 아동종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우울, 양육 스트레스, 결혼 생활 만족,부모-자녀 애착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소와 아동방임 및 학대간의 경로를 탐색하고 아동의 연령대별로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영아기(0~2세)와 유아기(3~5세)로 구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방임 및 학대를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양육 환경 혹은 가족 지원 전략을 강구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양육자의 학대는 어떤 부작용을 낳는가? 영유아의 방임 및 학대는 뇌 발달에 치명적인 외상적 경험(traumatic experience)으로 심각한 정서, 심리, 행동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양육자의 학대는 스트레스 독성(toxic stress)으로 작용하여 뇌 화학 반응과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여 정신 및 행동 기능 문제를 유발하며, 방임의 경우 만성적으로 자극을 주지 않거나 어떠한 특정 시기에 필요한 발달 자극이 부족하게 되어 아동 발달 지연 혹은 부재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2,3]. 아동 학대와 장기적 건강 문제에 대한 체계적 고찰 결과 성적 학대 뿐 아니라 신체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 장애, 약물 중독, 자살 시도, 성병 및 무분별한 성행동 등 심각한 건강과 만성적 질병 문제 초래로 사회적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4].
영유아의 방임에는 어떤 유형의 방임이 있으며 어떤 부작용을 일으키는가? 아동 학대와 장기적 건강 문제에 대한 체계적 고찰 결과 성적 학대 뿐 아니라 신체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 장애, 약물 중독, 자살 시도, 성병 및 무분별한 성행동 등 심각한 건강과 만성적 질병 문제 초래로 사회적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4]. 자녀의 영양, 의복, 개인위생, 보호 및 건강관리와 같은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신체적 방임(physical neglect), 애정과 돌봄을 소홀히 하는 정서적 방임(emotional neglect), 교육에 대한 관심과 감독 부재인 교육적 방임(educational neglect) 등 다양한 유형의 방임은 학대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행동 문제, 자아탄력성 부족, 인지 ․ 정서적 발달 장애와 같은 단기적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고, 추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애착 형성 장애, 난폭성 증가, 비행과 가출 등 장기적인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다[5].Berthelot 등[6]은 어린 시절 방임과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자녀의 대부분이 불안정하고, 혼란형 애착을 띄는 것으로 나타나 해결되지 않은 외상(unresolved trauma)의 잔상이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애착의 세대 간 전이를 검증한 바 있다.
영유아의 방임 및 학대는 영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영유아의 방임 및 학대는 뇌 발달에 치명적인 외상적 경험(traumatic experience)으로 심각한 정서, 심리, 행동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양육자의 학대는 스트레스 독성(toxic stress)으로 작용하여 뇌 화학 반응과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여 정신 및 행동 기능 문제를 유발하며, 방임의 경우 만성적으로 자극을 주지 않거나 어떠한 특정 시기에 필요한 발달 자극이 부족하게 되어 아동 발달 지연 혹은 부재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Report on child abus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January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17_11764 

  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hildren's Bureau.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altreatment on brain development. Washington DC: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2015. 19 p. 

  3. Glaser D.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 brain-a review.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00;41(1):97-116. http://dx.doi.org/10.1111/1469-7610.00551 

  4. Norman RE, Byambaa M, De R, Butchart A, Scott J, Vos T. The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of child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Medicine. 2012;9(11):e1001349.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1001349 

  5. Stoltenborgh M, Bakermans-Kranenburg MJ, van IJzendoorn MH. The neglect of child neglect: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prevalence of neglect.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2;48(3):345-355. http://dx.doi.org/10.1007/s00127-012-0549-y 

  6. Berthelot N, Ensink K, Bernazzani O, Normandin L, Luyten P, Fonagy P.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in abused and neglected mothers: The role of trauma-specific reflective functioning.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015;36(2):200-212. http://dx.doi.org/10.1002/imhj.21499 

  7. Stith SM, Liu T, Davies LC, Boykin EL, Alder MC, Harris JM, et al. Risk factors in child maltreat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009;14(1): 13-29. http://dx.doi.org/10.1016/j.avb.2006.03.006 

  8. Lee SJ, Taylor CA, Bellamy JL. Paternal depression and risk for child neglect in father-involved families of young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2012;36(5):461-469. http://dx.doi.org/10.1016/j.chiabu.2012.04.002 

  9. Kim JH, Lee JY, Sung JH.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related factors on two-year-old infants' development: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y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3;34(6):77-96. http://dx.doi.org/10.5723/kjcs.2013.34.6.77 

  10. Gray PH, Edwards DM, O'Callaghan MJ, Cuskelly M, Gibbons K.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very preterm infantsinfluence of development, temperament and maternal depression. Early Human Development. 2013;89(9):625-629. http://dx.doi.org/10.1016/j.earlhumdev.2013.04.005 

  11. Park DY.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verbal abuse of early children mot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 (9):4368-4379. http://dx.doi.org/10.5762/kais.2013.14.9.4368 

  12. Davis RN, Davis MM, Freed GL, Clark SJ. Fathers' depression re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with 1-year-old children. Pediatrics. 2011;127(4):612-618. http://dx.doi.org/10.1542/peds.2010-1779 

  13. Kim AR, Tak Y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08-320.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308 

  14. Bowlby J.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NY: Basic Books; 1988. 224 p. 

  15. Pillhofer M, Spangler G, Bovenschen I, Kuenster AK, Gabler S, Fallon B, et al. Pilot study of a program delivered within the regular service system in Germany: Effect of a short-term attachment- based intervention on maternal sensitivity in mothers at risk for child abuse and neglect. Child Abuse & Neglect. 2015;42:163-173. http://dx.doi.org/10.1016/j.chiabu.2014.07.007 

  16. Parfitt Y, Ayers S, Pike A, Jessop DC, Ford E. A prospective study of the parent-baby bond in men and women 15 months after birth.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014;32(5):441-456. http://dx.doi.org/10.1080/02646838.2014.956301 

  17. Muzik M, Bocknek EL, Broderick A, Richardson P, Rosenblum KL, Thelen K, et al. Mother-infant bonding impairment across the first 6 months postpartum: the primacy of psychopathology in women with childhood abuse and neglect historie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13;16(1):29-38. http://dx.doi.org/10.1007/s00737-012-0312-0 

  18. Hayes LJ, Goodman SH, Carlson E. Maternal antenatal depression and infant disorganized attachment at 12 month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2013;15(2):133-153. http://dx.doi.org/10.1080/14616734.2013.743256 

  19. Han TS, Hwang HJ.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marital conflicts and parenting related variables on preschoo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30(5):99-119. http://dx.doi.org/10.18023/kjece.2010.30.5.005 

  20. Hopkins J, Gouze KR, Lavigne JV.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caregiver depression, and parenting on attachment security in preschooler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2013;15(2):155-173. http://dx.doi.org/10.1080/14616734.2013.750702 

  21.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76 

  22. Trillingsgaard T, Baucom KJW, Heyman RE. Predictors of change in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Family Relations. 2014;63(5):667-679. http://dx.doi.org/10.1111/fare.12089 

  23. Najman JM, Khatun M, Mamun A, Clavarino A, Williams GM, Scott J, et al. Does depression experienced by mothers leads to a decline in marital quality: A 21-year longitudinal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3;49(1):121-132. http://dx.doi.org/10.1007/s00127-013-0749-0 

  24. Noh JY, Hwang HS.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satisfaction on attachment formation with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21(1):27-40. http://dx.doi.org/10.5934/kjhe.2012.21.1.27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Korea national survey on children and youth. 2013. Policy Paper.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December. Report No.: 2013-92. 

  26. Straus MA, Hamby SL, Finkelhor D, Moore DW, Runyan D. Identification of child maltreatment with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data for a national sample of American parents. Child Abuse & Neglect. 1998;22(4):249-270. http://dx.doi.org/10.1016/s0145-2134(97)00174-9 

  27.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0. 432 p. 

  28. Cheung GW, Rensvold RB.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002;9(2):233-255. http://dx.doi.org/10.1207/s15328007sem0902_5 

  29. Thomason E, Volling BL, Flynn HA, McDonough SC, Marcus SM, Lopez JF, et al.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postpartum mothers: B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effec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4;37(3):406-415. http://dx.doi.org/10.1016/j.infbeh.2014.05.009 

  30. Maguire-Jack K, Negash T. Parenting stress and child maltreatment: The buffering effect of neighborhood social service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16;60:27-33. http://dx.doi.org/10.1016/j.childyouth.2015.11.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