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그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2, 2016년, pp.119 - 125  

김민희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은정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용석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pm}0.05mg/g$, $9.51{\pm}0.45mg/g$, $2.83{\pm}0.03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pm}0.56%$, $91.47{\pm}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pm}0.33\;FeSO_4\;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extracted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 were investigated.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s from P. ostreatus extracted with hot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flavonoid 함량 등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타리버섯이 건강식품으로 꾸준히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의 버섯으로 갓 표면이 회백색에서 진한밤색, 검은색 등 계절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갓의 색을 띄고 있으며, 갓이 도톰한 것일수록 선도가 좋다1). 또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유의 특유한 맛과 향이 뛰어나고, 열량은 낮아 건강식품으로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2). 느타리버섯의 약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로는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고혈압, 항당뇨 효과 등의 결과가 밝혀져 있다3,4).
느타리버섯이란 무엇인가?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의 버섯으로 갓 표면이 회백색에서 진한밤색, 검은색 등 계절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갓의 색을 띄고 있으며, 갓이 도톰한 것일수록 선도가 좋다1). 또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유의 특유한 맛과 향이 뛰어나고, 열량은 낮아 건강식품으로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2).
느타리버섯의 약리학적 효과는 무엇인가? 또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유의 특유한 맛과 향이 뛰어나고, 열량은 낮아 건강식품으로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2). 느타리버섯의 약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로는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고혈압, 항당뇨 효과 등의 결과가 밝혀져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ung K.M., An H.J.: Effects of oyster mushroom on quality of Sulgidduk and Gyeongd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94-1300 (2012). 

  2. Ryu H.S.: Enhancing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03-608 (2014). 

  3. Um S.N., Jin G.E., Park K.W., Yu1 Y.B.,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90-96 (2010). 

  4. Park M.H., Kil K.J., Lee B.W.: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1998). 

  5. Jayakumar T., Thomas A., Sheu J.R., Geraldine P.: In-vitro and in-vivo antioxidant effects of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Food Res. Intr. 44, 851-861 (2011). 

  6. Hong M.H., Jin Y.J., Pyo Y.H.: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35-1241 (2012). 

  7. Ito T., Kato M., Tsuchida H., Harada E.: Ergothioneine as an anti-oxidative/anti-inflammatory component in several edible mushrooms. Food Sci. Technol. Res. 17, 103-110 (2011). 

  8. Grundemann D., Harlfinger S., Golz S., Geerts A., Lazar A., Berkels R., Jung N., Rubbert A., Schomig E.: Discovery of the ergothioneine transporter. Proc. Natl. Acad. Sci. USA, 102, 5256-5261 (2005). 

  9. Hand C.E., Taylor N.J., Honek J.F.: Ab initio studies of the properties of intracellular thiols ergothioneine and ovothiol. Bioorg. Med. Chem. Lett. 15, 1357-1360 (2005). 

  10. Grigat S., Harlfinger S., Pal S., Striebinger R., Golz S., Geerts A., Lazar A., Schomig E., Grundemann D.: Probing the substrate specificity of the ergothioneine transporter with methimazole, hercynine, and organic cations. Biochem. Pharmacol. 74, 309-316 (2007). 

  11. Misiti F., Castagnola M., Zuppi C., Giardina B., Messana I.: Role of ergothioneine on S-nitrosoglutathione catabolism. Biochem. J. 356, 799-804 (2001). 

  12. Hartman P.E.: Ergothioneine as antioxidant. Methods in Enzymol. 186, 310-318 (1990). 

  13. Kim M.H., Kim S.Y., Ko J.M., Jeong D.Y., Kim Y.S.: B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several soybean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21, 475-483 (2012). 

  14. Lee J.N., Kim H.E., Kim Y.S.: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clad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61-667 (2014). 

  15. Kim H.E., Kim Y.S.: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using germinated soybeans and germinated black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23, 1533-1540 (2014). 

  16. Arts M.J., Haenen G.R., Voss H.P., Bast A.: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2004). 

  17. Benzie I.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8.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ver. 6.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90). 

  19. Chen S.Y., Ho K.J., Hsieh Y.J., Wang L.T., Mau J.L.: Contents of lovastatin, ${\gamma}$ -aminobutyric acid and ergothioneine in mushroom fruiting bodies and mycelia. Food Sci. Technol. 47, 274-278 (2012). 

  20. Durkee A.B., Thivierge P.A.: Ferulic acid and other phenolics in oat seeds. J. Food Sci. 42, 551-558 (1977). 

  21. Kozlowska H., Rotkiewicz D.A., Zadernowski R., Sosulski F.W.: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 Oil Chem. Soc. 60, 1119-1131 (1983). 

  22. Govindan S., Sabapathy V., Rajan B.I.S., Ponnusamy L.: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from an edible mushroom Pleurotus eous. Food Sci. Biotechnol. 21, 661-668 (2012). 

  23. Kim D.H., Park J.Y., Kim J.H., Han C.K.: Flavonoids as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s: a fluorescence quenching study. J. Agric. Food Chem. 54, 935-941 (2006). 

  24. Palacios I., Lozano M., Moro C., D'Arrigo M., Rostagno M.A., Martinez J.A., Garcia A., Guillamon E., Villars A.: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occurring in edible mushrooms. Food Chem. 128, 674-678 (2011). 

  25. Woldegiorgis A.Z., Abate D., Haki G.D., Ziegler G.R.: Antioxidant property of edible mushrooms collected from Ethiopia. Food Chem. 157, 30-36 (2014). 

  26. Wong F.C., Chai T.T., Tan S.L., Yong A.L.: Evaluation of bioactivities and phenolic content of selected edible mushrooms in Malaysia. Tropical J. Pharmaceutical, 12, 1011-1016 (2013). 

  2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6). 

  28. Cheung L.M., Cheung C.K., Ooi E.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 249-255 (2003). 

  29. Yoo K.M., Kim D.O., Lee C.Y.: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2007). 

  30. Andrzej L., Olszowy D.M.: The importance of solvent type in estimatin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by ABTS assay. Eur. Food Res. Technol. 236, 1099-1105 (2013). 

  31.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Rho J.H.: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82-1485 (2007). 

  32. Kim J.H., Jeong C.H., Choi J.G., Kwak J.K., Choi S.G., Heo H.J.: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using an in vitro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12-716 (2009). 

  33. Pornariya C., Kanok O.I.: Amino aci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sajor-caju. J. Sci. Soc. Thailand, 35, 326-331 (2009). 

  34.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