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2, 2016년, pp.183 - 200
강수경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민정 (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i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ample consisted of 248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영유아를 돌보는 교사는 전문적인 지식뿐 아니라 인성을 갖추어야하고, 유아의 말에 귀 기울이며 듣는 상호작용능력을 갖추어야한다(이경하, 석은조, 2010).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습능력과 인지 및 언어발달, 유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김현지, 2005; 박창현, 나정, 2012; Rudasill, 2011), 교사의 상호작용과 참여가 적절하고 상호작용의 질이 높을 때 유아는 주도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긍정적인 감정표현을 많이 하게 된다(서유현, 2002). | |
영유아를 돌보는 교사는 무엇을 갖추어야하는가? | 최근 취업모의 증가와 함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와 사회의 기대와 요구가 많아지고,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영유아를 돌보는 교사는 전문적인 지식뿐 아니라 인성을 갖추어야하고, 유아의 말에 귀 기울이며 듣는 상호작용능력을 갖추어야한다(이경하, 석은조, 2010).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습능력과 인지 및 언어발달, 유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김현지, 2005; 박창현, 나정, 2012; Rudasill, 2011), 교사의 상호작용과 참여가 적절하고 상호작용의 질이 높을 때 유아는 주도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긍정적인 감정표현을 많이 하게 된다(서유현, 2002). | |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정서적 특성은 왜 중요한가? |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정서적 특성, 조직특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 유아의 기질과 같은 유아 특성이 있다. 이 가운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정서적인 특성은 교사의 교수활동이나 유아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다. 유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수와 학습과정에서는 항상 정서적인 차원이 존재하고(Hargreaves, 2001), 유아교사에게는 전문적 지식 뿐 아니라 정서적 역할이 필요하다(박은혜, 고재천, 2008; 이선미, 이승미, 2013). 교사의 정서는 수업과 유아, 교사, 학부모, 동료 등 다양한 요소와 영향을 주고 받으며, 교실내의 정서적 분위기, 사회․정서적 상호작용과 연관된다(Zembylas, 2005). |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서울: 동문사.
강영숙 (2007). 학생의 교사만족도에 대한 교사의 성격 특질과 정서지능의 역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재욱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2), 271-294.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김경애 (2012).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학습전략과 그 과정에 미치는 교사조직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비교교육연구, 22(5), 223-253.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수연, 조혜진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191-213.
김시연, 오재연 (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 변인과 외적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김지영 (2010).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수지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피로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 (2007).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529-550.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 (201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및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7-146.
박은혜, 고재천 (2008). 유아교사의 부모, 원장, 동료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형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4), 139-166.
박창현, 나정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서유현 (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정아 (2010).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29-262.
손준종 (2011).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3), 93-127.
신강현, 이랑, 허창구, 김재연 (2006). 정서노동 예측시 성격 5요인과 직무환경변수의 역할: 미국 호텔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1), 105-124.
우종필 (2013).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유재령 (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동섭 (2010). 외식기업 종사원의 성격유형과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하, 석은조 (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질.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167-187.
이랑, 김완석, 신강현 (2006). 직무탈진과 직무요구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이해: 콜센터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4), 573-597.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연구, 11(1), 1-18.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연, 정혜영 (2003). 초등 초임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인식과 정서. 교육과학연구, 34(1), 125-143.
이진화 (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201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조운주, 최일선 (2004).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조혜진, 김수연 (2012).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조혜진, 박효진 (2012).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31-24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황문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shforth, B. E., & Humohery, R. H. (198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Austin, E. J., Dore, T. C. P., & O'Donovan, K. M. (2008). Associations of personality and emotinal intelligence with display rules perceptions and emotional lab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3), 679-688.
Brotheridge, C. M. (2006).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ther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predicting emotional labor relative to situational demands. Psicothema, 18(Suplemento), 139-144.
Brotheridge, C. M., & Lee, R. T.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Colley, H. (2006). Learning to labour with feeling: Class, gender and emotion in childcare education and training.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7(1), 15-29.
DeCarlo, L. T. (1997).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2(3), 292.
Gilstrap, C. M. (2005).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rom of emotion lab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University. Colorado Springs, USA.
Goleman, D. (1995). Emotion intelligence. NY: Bantam.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olitics of teaching and teacher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1(4), 315-336.
Hargreaves, A. (2001).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3(6), 1056-1080.
Hochschild, A.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Karim, J., & Weisz, R. (2011).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oderator of affectivity/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abor/psychological distress relationships. Psychological Studies, 56(4), 348-359.
Kline, R. B. (2015).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ublications.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Mayer, J. D., Salovey, P., Caruso, D. R., & Sitarenios, G.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s a standard intelligence. Emotion, 1(3), 232-242.
Mikolajczak, M., Menil, C., & Luminet, O. (2007). Explaining the protective effect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Exploration of emotional labour process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5), 1107-1117.
Oplatka, I. (2007). Managing emotions in teaching: Toward an understanding of emotion displays and caring as nonprescribed role elements. Teacher College Record, 109(6), 1374-1400.
Rudasill, K. M. (2011).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 child relationships i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2), 147-156.
Salovey, P., & Mayer, J.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s,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Sliter, M., Chen, Y., Withrow, S., & Sliter, K. (2013). Older and (emotionally) smarter?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service employees. Experimental Aging Research, 39(4), 466-479.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Yin, H. B., Lee, J. C. K., Zhang, Z. H., & Jin, Y. I. (2013).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teaching satisfa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5, 137-145.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 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935-948.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