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차별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Occupational Stress of School Nurs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2, 2020년, pp.277 - 288  

현혜순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태열 (영남이공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김미향 (대구시 월배중학교) ,  김윤영 (국립안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occupational stress of school nurse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nd occupational stres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보건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어떠한지, 자아존중감이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전략이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서는 차별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건교사의 차별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차별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별인식에 대하여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선행연구에서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더욱이 국내 연구에서 근로자의 차별인식은 직무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과 직무 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Han, 2008; Yun, 2016).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부장교사 임명기준과 절차 상 일반교사와 보건교사가 구조적으로 불평등한 차이가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Kim, 2008), 수업시수 기준의 성과급 제도에 의해 수업 이외의 보건업무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지 못함으로써 일반교사와 큰 차이를 보인다(Kwon et al., 2015; Yeo, 2011).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최근 상황을 반영한 보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경력, 지각된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자아개념, 성취동기 등 다양한 요소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어(Oh et al., 2012; Kwon et al.
보건 교사는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학교보건법 제 15조 2항에 의하면, 보건교사는 보건 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보건 교사는 학교에 상근하며 학교보건을 전담하는 유일한 전문 인력으로서 의료인으로서의 건강관리와 교육자로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Im & Lee, 2014; Yi & Song, 2014). 또한,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 23조에서는 보건교사의 직무에 대해 학교보건계획의 수립을 비롯하여 환경위생,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진단과 건강관찰,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등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일부 의료행위와 이에 따른 의약품 투여 등의 학교보건 관련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 Cardo, L. M. (199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valence of ethnicity and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2(1), 49-59. https://doi.org/10.1002/j.2161-1912.1994.tb00242.x 

  3. Chang, S. J., & Koh, S. B. (2005).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3(3), 183-197. 

  4. Cho, E. (2017).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self-esteem.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24, 239-250. 

  5. Cho, H. (2014).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nd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of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si. 

  6. Choi, E. & Park, C. (2015). Influence of health teachers’ efficacy and role conflict on school organization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135-153. https://doi.org/10.14333/KJTE.2015.31.1.135 

  7. Han, S. H. (2008).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Unpublished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8. Im, M. Y., & Lee, S. Y. (2014).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Korea: based on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619-632,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619 

  9.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Journal, 11, 109-129. 

  10. Kang, I. S., Cho, S. Y., & Jeong, H. J. (2010).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school nurses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286-295. 

  11. Kim, J. H. (2012).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iency focused on school health teachers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2. Kim, J. Y. (200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M. (2013). A study on the change in health teacher placement standards and the problems in the placement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3), 133-143. 

  14. Kim, M. S. (2008). A study on the system and its management status for appointing the nursing teacher as a manager in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 

  15.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Stein, L. C., & Gregory, K. (2002).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4th ed.). New York: Delmar Publishers. 

  16. Kwon, J. O., Oh, J., Kim, E. H., & Hahn, D. D. (2015). Professional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A grounded theory approach.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1), 64-73. https://doi.org/10.4094/chnr.2015.21.1.64 

  17. Lee, J. H., & Lee, B. S. (2010). Self-rol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4), 398-408.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4.398 

  18. Lee, J. Y. (2012).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for child care teacher.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 Lee, J. H., & Lee, B. S. (2014). Role adapt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Establishing their own posi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3), 305-316. https://doi.org/10.4040/jkan.2014.44.3.305 

  20. Marsh, H. W., Craven, R. & Debus, R. (1998). Structur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lf-concepts: A multi cohort-multi occasion study. Child Development, 69(4), 1030-105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59.x 

  2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School Health Act No. 12131, 2013. 12. 30. amendment. Retrieved March 6, 2020, from http://www.law.go.kr/법령/학교보건법/(20200611,16748,20191210)/제15조의2 

  22. Oh, J., & Kwon, J. O. (2010).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41-3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3.341 

  23. Oh, K. O., Gang, M. H., & Lee, S. H. (2012).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60-71.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060 

  24. Park, H. S., & Lim, S. Y. (2018). The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3), 33-39. https://doi.org/10.17703/JCCT.2018.4.3.33 

  25. Pascoe, E. A., & Richman, L. S. (2009).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4), 531-554. https://doi.org/10.1037/a0016059 

  26. Song, H. S., & Shin, H. S. (2014). A predictive model of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 1-10. https://doi.org/10.4094/chnr.2014.20.1.1 

  27. Yeo, S. Y.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performance based pa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8. Yi, C. R., & Song, H. D. (2014). DACUM job analysis on elementary health teachers’ ro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3), 187-197.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3.187 

  29. Yun, G. H. (2016).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job satisfaction & perceived discrimination by mediation of job stress: a case of statistical researchers, non-government employees working in local offices of KOSTA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