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치매예방 스마트폰 앱의 기대효과 및 유용성
Predictable Effect and Usabi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derly Dementia Preventio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87 - 94  

김수정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최윤진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치매예방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고 있는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진단 앱의 이용에 대한 유용성 및 그 기대효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치매진단도구를 선정하고 각 진단도구가 검증하고 있는 인지기능영역을 추출하였다. 둘째는 29개의 스마트폰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관리 앱을 선정하여 이 앱들을 이용한 이후의 기대효과를 치매진단도구에서 추출된 인지영역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거나 치매관리를 할 경우 특정 영역의 인지기능을 증진함으로써 치매예방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은 시공간을 초월한 이용의 용이성, 지속적 사용성 그리고 경제성을 통하여 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함으로써 노인의 인지능력을 증진시키고 치매를 예방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usefulness and predictable effects of the use of dementia prevention games and dementia management applications provided in smart-phones for the elderly. First, 6 dementia diagnostic tool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매예방프로그램의 실시효과를 검증하고 있는 다양한 치매진단도구의 인지기능 검증영역을 추출하고, 2. 추출된 인지영역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의 기대효과를 분석하고 3. 치매예방 앱이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해 어떠한 유용성과 한계를 가지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의 기대효과를 살펴보았고 그 유용성과 한계점 그리고 발전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동안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었던 치매예방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둘째는 이러한 치매진단도구들이 측정하고 있는 인지기능영역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인지기능영역을 기초로 각 연구대상 치매예방 앱의 사용 후 기대효과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 이상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의 기대효과와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치매예방  앱이 활발하게 이용된다면 치매발병률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막대한 사회비용의 투입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프라인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들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프로그램을 실시할 물리적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고 참여자가 직접 방문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야하며 대상자의 주거지역에서 거리가 멀거나 교통 이용이 쉽지 않은 경우는 참여가어렵고, 참여자가 지속성을 가지고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아지며, 참여자에게 신체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참여가 제한된다. 또한 참여자 수를 제한해야하고, 프로그램 운영전문가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높은 인적․물적 비용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지역사회 여건에 따라 치매관리사업의 격차가 나타나고있다[8].
노인치매의 주요 전조증상은? 또한 노인치매의 주요 전조증상은 인지기능의 약화이기 때문에 1990년대 중반부터 의료⋅간호⋅재활⋅노인복지⋅사회체육 등의 다양한 영역에 속한 전문가들과 연구자들은 병원, 복지기관, 보건소 등에서 정상노인과 치매고위험군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능력강화, 신체기능향상, 사회교류증진 그리고 치료요법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으며 현재까지 의미 있는 연구성과가 다수 산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들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7%) 순으로 응답되어 치매는 개인차원에서도 두려운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5]. 치매는 중증 질환으로서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 악화되는 질병이라는 점에서 치매당사자의 삶의 질을 해칠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의 장기적인 간병 부담을 높이고 가족 간 불화, 치매노인의 학대․실종․교통사고 유발, 장기요양시설과 간병전문인력의 투입, 의료비 및 요양비용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의 막대한 지출 등을 유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 H. Ridder, B. Stige, L. G. Qvale & C. Gold. (2013). Individual music therapy for agitation in dementia: an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ging & Mental Health, 17(6), 667-678. DOI : 10.1080/13607863.2013.790926 

  2. WHO. (2013).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1-112. 

  3. Central Dementia Center. (2018).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3rd Dementia Management Comprehensive Plan('16-'20). 1-46.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hira.or.kr. 

  6. S. J. Koh. (2016). The Social Burden and Car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ementia. 1-125.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ral Dementia Center. (2019). Dementia guidebook that helps me. 

  8. H. N. Jang. (2016). A Study on a Regional Difference of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Dementia in Local Governmen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2), 385-420. DOI : 10.15709/hswr.2016.36.2.385 

  9. H. Y. Ahn. (2016). Dementia Management Comprehensive Plan Promotion Results, 2016 National Workshop on Dementia Management 2016. 37-52. 

  10. S. M. Yun, H. S. Choi & M. G. Cho. (2014). Integration of Application Program for Dementia Diagnosis using Biometric Sensor and Oxygen Chamb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2953-2961. DOI : 10.5762/KAIS.2012.13.12.5816 

  11. J. H. Kwon & S. K. Baik. (2016). Semiotic Analysis of Smart Application-based Game Contents for Silver Gener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13(2), 307-316. DOI : 10.7583/JKGS.2019.19.4.37 

  12. S. H. Choi, M. I Joo, Y. A. Yang & H. C. Kim. (2016). Mil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and Analysis Syst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11), 2054-2060. DOI : 10.5932/JKPHN.2015.29.2.219 

  13. S. J. Oh, S. M. Seo, J. H. Lee, M. J. Song & M. S. Shin. (2017). Effects of smartphone-based memory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ing & Mental Health, 1-9. DOI : 10.17315/kjhp.2015.20.4.009 

  14. S. Y. Lee, J. M. Kim, J. A. Yoo & I. S. Shin. (2006). Screening Instruments for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Biomedical therapeutic In Psychiatry, 12(2), 131-139. 

  15. H. S. Kim, Y. J. Yi, K. H. Park, U. K. Kang & B. M. Lee. (2010). Effects of Cognition Promot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131-139. DOI : 10.5392/JKCA.2010.10.8.227 

  16. J. A. Han, J. H. Chung & D. J. Kim. (2011).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Depression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21(3), 424-434. DOI : 10.5352/JLS.2011.21.3.424 

  17. S. Y. Kang & C. M. Lee. (2016). Effects of a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on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Grasping Power in Small Group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3), 169-178. DOI : 10.5953/JMJH.2016.23.3.169 

  18. Y. H. Kim & H. J. Jang. (2011). Effect of the Anti-Aging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101-108. DOI : 10.14257/AJMAHS.2016.03.43 

  19. J. H. Park, J. H. Rhee & S. O. Choi. (2001). Prediction of Diagnosis of Dementia Using Cognitive Impairment Diagnosing Instrument(CIDI).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iIation, 40(2), 253-259. 

  20. M. S. Park, B. L. Cho, D. W. Yang & S. Y. Kim. (2002).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7-minute Screen Tes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2), 735-739. 

  21. E. J. Ji & O. S. Kim. (2014). Effect of the Laughter Therapy Combined with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6(1), 34-45. DOI : 10.7475/kjan.2014.26.1.34 

  22. H. W. Shin & Y. M. Baek. (2015).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on Memor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2(2), 263-278.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