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요인
Patterns of Diagnosis and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in Women with a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3 no.1, 2016년, pp.17 - 28  

최미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tterns of diagnosis and to explore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beyond the postpartum period in women with a previous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uch risk factors between early and late-onset (aged <45 and ${\geq}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은 2형 당뇨진단 시점에 있어서는 일반 대상자보다 이른 나이에 2형 당뇨진단을 받았고, 관련 요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2형 당뇨의 위험요인과 함께 임신성 당뇨 여성이 가지는 특이적 요인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인 2형 당뇨진단 시점과 그 양상을 일반 대상자 및 기존 임신성 당뇨 후 2형 당뇨진단을 받은 여성의 연구결과와 비교해보고, 본 연구에서 드러난 전체 및 진단시기 별 대상자의 임신 및 출산 관련 특성, 당뇨 가족력, 비만을 기존 문헌에서 제시된 요인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2형 당뇨 관련요인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제까지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를 통해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의 2형 당뇨진단이 이른 시기에 이뤄짐이 드러났고 비만과 당뇨 가족력 및 모유수유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의는, 임신과 출산 시기라는 관찰기간의 제약을 벗어나 임신성 당뇨를 경험한 후 다양한 시간이 경과한 여성들을 대상자로 그들이 가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면서 임신성 당뇨 여성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요인을 탐색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장기간의 2형 당뇨진단 양상을 조사하거나 모유수유의 영향을 고려한 연구가 제한적이었고, 본 연구가 그 서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KoGES 코호트 연구의 기초자료 중 임신성 당뇨 과거력과 2형 당뇨진단력을 가진 여성의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을 가진 여성의 2형 당뇨진단 양상은 임신성 당뇨 과거력의 유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제시된 2형 당뇨진단 양상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임신성 과거력을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2형 당뇨 진단 양상과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KoGES 도시기반 코호트 기초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서술적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빠른 2형 당뇨진단 시점을 고려하여 조기에 예방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고,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같이 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에게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비만관리나 모유수유와 같이 수정이 가능한 요인들은 적극적인 중재 전략으로 사용함으로써 2형 당뇨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생활습관도 2형 당뇨예방에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되는 바, 앞으로 생활습관 요인이 2형 당뇨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변화가 가능한 요인인 생활습관, 비만관리, 모유수유를 중재하였을 때의 2형 당뇨발생 예방 및 지연의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다.
  • 3년임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모유수유가 2형 당뇨의 위험을 낮추고 2형 당뇨진단 시점을 늦추는 장기간의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모유수유 자녀 수가 많고 모유수유 기간이 긴 대상자가 보다 늦게 2형 당뇨를 진단 받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모유수유를 임신성 당뇨 여성의 2형 당뇨예방 중재 전략으로 고려해 볼 것과 추후 모유수유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을 가진 여성은 출산 후에도 2형 당뇨의 고위험군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며 이들을 위한 2형 당뇨발생 예방 및 지연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어느 시점에 어떤 특성을 가진 대상자가 2형 당뇨로 진단되는지를 확인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 빠른 2형 당뇨진단 시점을 고려하여 조기에 예방을 위한 중재가 필요하고,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같이 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에게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비만관리나 모유수유와 같이 수정이 가능한 요인들은 적극적인 중재 전략으로 사용함으로써 2형 당뇨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출산 이후 다양한 시점에서 이미 2형 당뇨진단을 받은 여성을 후향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짧은 추적기간의 제약을 벗어나 보다 오랜 기간의 2형 당뇨 발생 양상과 관련 요인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추후 임신성 당뇨 여성의 2형 당뇨 스크리닝 활동 및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40~69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도시기반 코호트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지고 있고 2형 당뇨를 진단 받은 여성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하여 이들의 2형 당뇨진단 양상과 관련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출산 이후 다양한 시점에서 이미 2형 당뇨진단을 받은 여성을 후향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짧은 추적기간의 제약을 벗어나 보다 오랜 기간의 2형 당뇨 발생 양상과 관련 요인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가진 여성은 2형 당뇨진단의 양상이나 관련 요인에 있어 임신성 당뇨 과거력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 대상자와는 다름을 장기간의 영향을 반영하여 확인한 것이 본 연구의 핵심 결과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임신성 당뇨 여성의 산후 2형 당뇨 발생률 및 당뇨 위험요인에 관심을 가졌으나, 관찰 기간의 제약으로 인해 장기간의 2형 당뇨진단 추이와 임신과 출산 시기 외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란?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는 임신 중 발생하거나 처음 인지된 당뇨를 의미하는 것으로,1) 그 유병률이 전체 임신의 1~28%로 연구마다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2) 우리나라의 임신성 당뇨 유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어 2010년 6.
우리나라의 임신성 당뇨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는 임신 중 발생하거나 처음 인지된 당뇨를 의미하는 것으로,1) 그 유병률이 전체 임신의 1~28%로 연구마다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2) 우리나라의 임신성 당뇨 유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어 2010년 6.37%, 2011년 7.79%로 보고되었고,3) 임신성 당뇨의 진료율은 2003년 4.8%에서 2012년 25.
임신성 당뇨 여성의 2형 당뇨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시행되었는데 어떠한 연구들이 있는가? 한편 임신성 당뇨 여성의 2형 당뇨 위험요인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2형 당뇨의 위험요인은 신체계측 요인, 임신 요인, 산후 요인, 출산력, 당뇨 가족력, 생활습관 요인, 인구 사회학적 요인, 경구 피임약 사용, 생리적 요인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 요인은 유의하게 당뇨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임신성 당뇨 여성이 임신 전 비만하지 않은 경우에는 출산 8년 후 2형 당뇨 발생 위험이 2.26배였으나, 임신 전 비만한 경우에는 그 위험이 7.95배로 높아진다는 국내 보고가 있다.4) 이는 비만을 동반한 경우 2형 당뇨 발생의 위험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임신 중 인슐린 사용, 임신 중 이른 시점의 당뇨진단, 높은 당내 인성 검사결과, 임신성 당뇨의 재발, 프로게스틴 제제의 경구 피임약 사용 및 긴 사용기간 등이 2형 당뇨 발생과 관련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Inc.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3. Diabetes Care. 2013;36(Suppl 1):S11-66. http://dx.doi.org/10.2337%2Fdc13-S011 

  2. Jiwani A, Marseille E, Lohse N, Damm P, Hod M, Kahn J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esults from a survey of country prevalence and practices. J Matern Fetal Neonatal Med. 2012; 25(6):600-10. 

  3. Lim NK.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2010-2011. Public Health Wkly Rep. 2013;6(21):411-5. 

  4.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Internet]. Wonju: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ited 2014 Oct 9].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D4000 

  5. Metzger B, Gabbe S, Persson B, Buchanan T, Catalano P, Damm P, et al.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diabetes and pregnancy study groups recommendations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hyperglycemia in pregnancy. Diabetes Care. 2010;33 (3):676-82. http://dx.doi.org/10.2337/dc09-1848 

  6. Buchanan TA, Xiang AH, Page K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isks and management during and after pregnancy. Nat Rev Endocrinol. 2012;8(11):639-49. http://dx.doi.org/10.1038/nrendo.2012.96 

  7. Boney CM, Verma A, Tucker R, Vohr BR. Metabolic syndrome in childhood: association with birth weight, maternal obesity,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Pediatr [Internet]. 2005 Mar; 115(3):290-6. Available from: http://pediatrics.aappublications.org/content/115/3/e290 

  8. Bellamy L, Casas J-P, Hingorani AD, Williams D. Type 2 diabetes mellitus after gestational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2009;373(9677):1773-9. http://dx.doi.org/10.1016/S0140-6736(09)60731-5 

  9. Lee H, Jang HC, Park HK, Metzger BE, Cho NH.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among women with a previous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Res Clin Pract. 2008;81(1): 124-9. http://dx.doi.org/10.1016/j.diabres.2008.02.017 

  10. Feig DS, Zinman B, Wang X, Hux JE. Risk of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after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CMAJ. 2008;179(3):229-34. http://dx.doi.org/10.1503/cmaj.080012 

  11. Mehta Z, Cull C, STratton I, Yudkin J.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is affected by complications but not by intensive policies to improve blood glucose or blood pressure control (UKPDS 37). Diabetes Care. 1999;22(7):1125-36. 

  12. Baptiste-Roberts K, Barone BB, Gary TL, Golden SH, Wilson LM, Bass EB, et al.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mong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m J Med. 2009;122(3):207-14. http://dx.doi.org/10.1016/j.amjmed.2008.09.034 

  13. Metzger BE, Buchanan TA, Coustan DR, De Leiva A, Dunger DB, Hadden DR, et al. Summary and recommendations of the fifth international workshop-conference o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07;30(Suppl 2):S251-60. http://dx.doi.org/10.2337/dc07-s225 

  14. Ratner RE, Christophi CA, Metzger BE, Dabelea D, Bennett PH, Pi-Sunyer X, et al. Prevention of diabetes in women with a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effects of metformin and lifestyle interventions. J Clin Endocrinol Metab. 2008;93(12):4774-9. http://dx.doi.org/10.1210/jc.2008-0772 

  15. Nielsen KK, Kapur A, Damm P, de Courten M, Bygbjerg IC. From screening to postpartum follow-up-the determinants and barriers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services, a systematic review. BMC Pregnancy Childbirth. 2014;14:41. http://dx.doi.org/10.1186/1471-2393-14-41 

  16. Jang HC. Gestational diabetes in Korea: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iabetes in women with previous gestational diabetes. Diabetes Metab J. 2011;35(1):1-7. http://dx.doi.org/10.4093/dmj.2011.35.1.1 

  17. Kim YL, Cho YW, Park SW, Lee SK, Ahn IS, Na BW, et al. Antepartum characteristics predicting persistent postpartum glucose lntolerance in the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J Korean Diabetes Assoc. 2000;24(1):46-59. 

  18. Jang HC, Yim C-H, Han KO, Yoon H-K, Han I-K, Kim M-Y, et al.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prevalence and prediction of glucose intolerance at early postpartum. Diabetes Res Clin Pract. 2003;61(2):117-24. http://dx.doi.org/10.1016/S0168-8227(03)00110-4 

  19. CDC.go.kr [Internet]. Cheongju: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pdated 2016 Jan 20; cited 2014 Feb 7].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24606&viewTypeCDC&menuIdsHOME001-MNU1136-MNU1223-MNU1348 

  20.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type 2 diabetes in primary care [Internet]. Seoul: Korean Medical Guideline Information Center; [cited 2014]. Available from: http://www.guideline.or.kr/guideline/guide/guide_renew.php 

  21. Misra A, Chowbey P, Makkar B, Vikram N, Wasir J, Chadha D, et al. Consensus statement for diagnosis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for Asian Indians and recommendations for physical activity,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J Assoc Physicians India. 2009;57(2):163-70. 

  22. Diabetes.or.kr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vailable from:http://www.diabetes.or.kr/general/food/sub01.php 

  23. CDC.gov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updated 2015 Dec 1]. Available from: http://www.cdc.gov/diabetes/statistics/incidence_national.htm 

  24. Ha KH, Kim DJ. Trends in the diabetes epidemic in Korea. Endocrinol Metab. 2015;30(2):142-6. http://dx.doi.org/10.3803/EnM.2015.30.2.142 

  25. Kim C, Newton KM, Knopp RH. Gestational diabetes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2002;25(10):1862-8. http://dx.doi.org/10.2337/diacare.25.10.1862 

  26. Girgis CM, Gunton JE, Cheung NW. The influence of ethnicity o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SRN Endocrinol. 2012;2012. http://dx.doi.org/10.5402/2012/341638 

  27. Ziegler A-G, Wallner M, Kaiser I, Rossbauer M, Harsunen MH, Lachmann L, et al. Long-term protective effect of lactation o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women with recent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2012;61(12):3167-71. http://dx.doi.org/10.2337/db12-0393 

  28. Stuebe AM, Rich-Edwards JW, Willett WC, Manson JE, Michels KB. Duration of lactatio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JAMA. 2005;294(20):2601-10. http://dx.doi.org/10.1001/jama.294.20.2601 

  29. Kjos SL, Henry O, Lee RM, Buchanan TA, Mishell Jr DR. The effect of lactation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women with recent gestational diabetes. Obstet Gynecol. 1993;82(3):451-5. 

  30. Gunderson EP. Breastfeeding after gestational diabetes pregnancy subsequent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n women and their offspring. Diabetes Care. 2007;30(Suppl 2):S161-8. http://dx.doi.org/10.2337/dc07-s210 

  31. Taylor JS, Kacmar JE, Nothnagle M, Lawrence RA.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ssociating breastfeeding with type 2 diabetes and gestational diabetes. J Am Coll Nutr. 2005;24(5): 320-6. http://dx.doi.org/10.1080/07315724.2005.10719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