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패션제품 수용에 관한 연구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실증연구 -
A study on acceptance of smart fashion products - An empirical test of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4 no.2, 2016년, pp.263 - 272  

정소원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노정심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consumers' adoption process for smart fashion product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oward smart fashion produ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와 그 영향요인들을 확장된 기술수용모형(TAM)을 적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기술혁신성, 즐거움, 주관적 규범이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태도, 수용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 )에서의 기술 수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어왔고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패션제품이라는 새로운 혁신제품의 수용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기술혁신성, 즐거움, 주관적 규범을 고려하여 TAM을 확장 적용할 것이다.
  • 본 연구는 Davis(1989)의 기술수용모형(TAM)을 확장하여 내재적 변인들을 이용하여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확장 TAM을 기반으로 기술혁신성, 즐거움, 주관적 규범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태도, 수용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연구문제 검증에 앞서 다수문항으로 측정된 7개의 구성개념 측정항목의 신뢰도(Composite Reliability: CR) 및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CFA를 실시하였다. CFA 실시 결과 측정모델의 적합도는 χ2=534.
  • 본 연구는 편의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마케팅리서치 회사인 포커스 컴퍼니의 소비자 패널 중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포커스 컴퍼니가 온라인 설문 구축, 설문 배포, 데이터 수집을 전담하였으며, 수거된 설문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230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와 그 영향요인들을 확장된 기술수용모형(TAM)을 적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기술혁신성, 즐거움, 주관적 규범이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태도, 수용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스마트의류제품에 관한 연구에서 기존 TAM의 논리에 기반하여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스마트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며,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Kang & Jin, 2007; Park & Noh, 2012).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사용이 용이하다고 인지할수록 제품이 유용하다고 인지할 것이며, 제품의 유용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제품 태도와 수용 의도가 높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또한 기존 TAM 연구와 같이,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제품 수용의도가 높을 것이다.
  • 이에 후속 연구들은 다양한 내재적 요인을 사용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TAM)을 제시하였다(Porter & Donthu,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도 기술혁신성, 즐거움, 사회적 규범 등의 설명변수와 함께 스마트패션제품 수용의도를 이해하기 위한 확장 기술수용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태도는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기술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기술혁신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즐거움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즐거움은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주관적 규범은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또한, Chae(2010)의 센싱기능 스포츠의류에 대한 소비자 설문 결과, 기술혁신성이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 문헌의 논의를 바탕으로, 소비자가 높은 기술혁신성을 가지고 있을수록 스마트패션제품과 같은 혁신제품의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좋다고 인식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사용이 용이하다고 인지할수록 제품이 유용하다고 인지할 것이며, 제품의 유용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제품 태도와 수용 의도가 높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또한 기존 TAM 연구와 같이, 스마트패션제품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제품 수용의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각각 무엇인가? TAM은 혁신 기술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의도를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의 두 변수로 설명한다(Davis, 1989; Davis, Bagozzi,& Warchaw, 1989). 지각된 유용성은 특정 기술을 사용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주관적인 믿음의 정도,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기술을 이용하는데 있어 노력이 줄어드는 정도로 정의된다(Davis et al., 1989).
스마트패션제품의 대표적인 예로 무엇이 있는가? 의류 및 패션제품에 있어서도 IT 기술의 발달은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패션제품의 개발과 함께 소비자의 혁신적인 라이프스타일로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의류 및 패션제품의 감성적 속성에 IT 기능을 접목시킨 신개념 제품(Park & Noh, 2012)인 스마트패션제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스마트의류, 배터리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백, 심박수,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스마트밴드 등과 같은 스마트패션제품 및 액세서리를 들 수 있다. 일부 제품들이 시장에 소개되고 시판되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스마트패션제품들이 개발 중이다(Suh & Roh, 2015).
Noh & Park(2011)은 혁신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혁신은 “새로운 방식으로 해당 혁신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결합하여 기존과는 현저하게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혁신은 이미 존재하는 것과는 구별되며, 새로움이자 소비자 행동에서 현저한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다”(Noh & Park, 2011, p.35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garwal, R., & Prasad, J.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2), 204-215. doi:10.1287/isre.9.2.204 

  2.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age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doi:10.1037/0033-2909.103.3.411 

  3. Celik, H. E., & Yilmaz, V. (2011).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adoption of e-shopping by consumers in Turkey.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2(2), 152-164. 

  4. Chae, J. M. (2010). Consumers'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A comparison between perceived group and non-perceived gro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969-981. doi:10.5850/JKSCT.2010.34.6.969 

  5. Chuttur, M. Y. (2009). Over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rigins,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Working Papers on Information Systems, 9(37), 9-37. 

  6.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oi:10.2307/249008 

  7. Davis, F. D., Bagozzi, R. P., & Warc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doi:10.1287/mnsc.35.8.982 

  8.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doi:10.1111/j.1559-1816.1992.tb00945.x 

  9. Fu, F. Q., & Elliott, M. T. (2013).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product innovativeness and product knowledge on new product adoption: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21(3), 257-272. doi:10.2753/MTP1069-6679210302 

  10. Ha, S., & Stoel, L. (2009). Consumer e-shopping acceptance: Antecedents i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65-571. doi:10.1016/j.jbusres.2008.06.016 

  11. Ha, Y., & Im, H. (2014). Determinants of mobile coupon service adoption: Assessment of gender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2(5), 441-459. doi:10.1108/IJRDM-08-2012-0074 

  12.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3. Hsu, C. L., & Lu, H. P. (2004). Why do people play on-line games? An extended TAM with social influences and flow experience. Information & Management, 41(7), 853-868. doi:10.1016/j.im.2003.08.014 

  14. Kang, K. Y., & Jin, H. J. (2007). A study of consumers' clothing buying intention adopted b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11-1221. doi:10.5850/JKSCT.2007.31.8.1211 

  15. Kim, J. & Forsythe, S. (2010).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product virtualization technology for online consumer electronics shop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8(3), 190-204. doi:10.1108/09590551011027122 

  16. Ko, A. R., & Kim, S. H. (2014). A study on fashion brand's SNS market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6), 1011-1027. doi:10.7741/rjcc.2014.22.6.1011 

  17. Lee, H. M. (2009).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wearable computers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6), 1155-1172. 

  18. Noh, M. J., & Park, H. H. (2011). Acceptance of the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rend and information innov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350-363. doi:10.5392/JKCA.2011.11.11.350 

  19. Park, H. (2014, February 28). 패션디자인과 ICT 융복합 활성화를 통한 패션의류산업의 신성장 전략 [Growth strategy of fashion clothing industry by integrating fashion design and ICT convertgenc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Retrieved April 21, 2016 from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8&stateview&idx47793 

  20. Park, H. H., & Noh, M. J. (2012).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novativeness and trust on acceptance intention of sensor-based smart cloth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1), 24-36. doi:10.5805/KSCI.2012.14.1.024 

  21. Porter, C. L., & Donthu, N. (2006).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explain how attitudes determine Internet usage: The role of perceived access barriers and demographic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9), 999-1007. doi:10.1016/j.jbusres.2006.06.003 

  22. Rogers, E. M.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Y: Free Press. 

  23. Suh, S. E., & Roh, J. S. (2015). A study on smar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ren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6), 1097-1115. doi:10.7741/rjcc.2015.23.6.1097 

  24. Yang, K. (2010). Determinants of US consumer mobile shopping services adop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bile shopping servic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7(3), 262-270. doi:10.1108/07363761011038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