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돈육 및 우육 부위별 가공적성 연구
Study on Processing Quality of Different Parts of Pork and Beef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2, 2016년, pp.157 - 167  

최윤상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  구수경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  전기홍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  김현욱 (퍼듀대학교 축산학과) ,  김태경 (건국대학교 축산식품생물공학과)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기술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and beef meat according to species (pork: modern genotype pork, Korean native black pork; beef: Holstein, Korean native cattle) and cuts (pork: shoulder, ham, loin; beef: loin, tenderness, round). Method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원료육으로 활용되고 있는 돈육(개량종 및 재래종)과 우육(육우 및 한우)의 부위별 영양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의 가공특성 차이를 비교하여, 식육가공품 제조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식육 가공품의 제조시 최종 제품의 특성도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식육 가공시 원료육으로 활용되고 있는 돈육과 우육의 부위별 가공특성 차이를 비교하여, 식육가공품 제조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료육으로 활용되고 있는 개량종 및 제주 재래종 돈육과 육우(홀스타인) 및 한우 우육의 부위별 영양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파악하여, 식육 가공품 제조시의 가공특성에 따른 식육제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돈육의 경우 수분함량은 개량종이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재래종이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축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국내 축산업은 FTA(Free Trade Agreement) 등 대외 개방, 경영여건 불안정,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발전이 곤란한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Kwon OO 2014), 특히 사료 곡물 가격의 인상, 경기불황, 수입 축산물, 사육 두수의 과잉으로 인한 가격 폭락, 선호 부위와 비선호 부위간의 심각한 가격편차, 비선호 부위의 재고 축적 등으로 어려움이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Lee NK 등 2008, Choi YS 등 2015). 또한 국내 식육 산업은 그동안 식생활의 다양화 및 고도화 등에 의한 내수소비 증가를 배경으로 다른 축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순조로운 발전을 하였으나(Jeon KH 2013), 국내 사회적 여건(세월호 사건, 메르스, 구제 역, 광우병,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급격한 변화도 식육 산업의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Seong PN 등 2009, Kim MK & Koo KM 2013).
식육의 육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식육의 육질은 육즙량, 육의 최종 pH 등에 의해 결정 되며 이러한 요인들은 식육의 육즙손실, 기호성, 제품수명, 저장감량, 가공 중 보수성 및 맛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Oh HS 등 2008). 식육의 가공 중에 발생하는 보수력(WHC, water holding capacity)변화는 식육의 미세 구조 또는 도체상태나 식육의 세절 시 나타나는 수분함량의 변화 정도로 결정되며(Moon SH 등 2009), 식육의 보수력이 낮으면 육즙의 발생이 늘어나게 되며 이는 중량감 소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육즙 내 존재하는 영양성분의 용출로 인한 영양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즙성 저하로 인한 기호도 감소로 식육 가공품 제조 시 품질과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Kang SM 등 2007a).
식육을 가공할때 생기는 보수력의 가공특성은? 식육의 육질은 육즙량, 육의 최종 pH 등에 의해 결정 되며 이러한 요인들은 식육의 육즙손실, 기호성, 제품수명, 저장감량, 가공 중 보수성 및 맛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Oh HS 등 2008). 식육의 가공 중에 발생하는 보수력(WHC, water holding capacity)변화는 식육의 미세 구조 또는 도체상태나 식육의 세절 시 나타나는 수분함량의 변화 정도로 결정되며(Moon SH 등 2009), 식육의 보수력이 낮으면 육즙의 발생이 늘어나게 되며 이는 중량감 소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육즙 내 존재하는 영양성분의 용출로 인한 영양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즙성 저하로 인한 기호도 감소로 식육 가공품 제조 시 품질과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Kang SM 등 2007a). 미래의 식육 산업은 국제적으로 소비량 증가와 더불어 안전성, 품질, 신선도 등 고품질 식육 생산기술개발 구조로 발전되고, 환경오염 및 동물복지 등 새로운 생산체계가 꾸준히 요구될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Seong PN 등 2009, Lee JB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33-36. 

  2. Bourne MC, Kenny JF, Barnard J. 1978. Computer-assisted readout of data from texture profile analysis curves. J Food Texture Stud 9(4):481-494. 

  3. Choi CB, Shin HU, Lee SO, Kim SI, Jung KK, Choi CW, Baek KH, Lunt DK, Smith SB. 2008. Comparison of cholestero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 longissimus of Hanwoo, Angus and Wagyu crossbred steers. J Anim Sci Technol (Kor) 50(4):519-526. 

  4. Choi JS, Jung DS, Kang TY, Choi YI.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made with non-preferred portion of daily beef. J Agr Sci Chungbuk Nat'i Univ 27(2):93-97. 

  5. Cho SH, Seong PN, Kang GH, Choi SH, Kang SM, Park KM, Kim YC, Kwon EK, Park BY. 2013.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triploin, chuck tender, eye of round muscles from holstein steer beef slaughtered at different fattening period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3(5):633-639. 

  6. Choi YS, Jeong TJ, Hwang KE, Kim HW, Kim CJ, Sung JM, Oh NS, Kim YB. 2015. Effects of emulsion mapping in different parts of pork and beef. Korean J Food Cook Sci 31(3):241-247. 

  7. Choi YS, Park BY, Lee JM, Lee SK. 2005. Comparison of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commercial crossbred pig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3):322-327. 

  8. De Vol DL, Mckeith FK, Bechtel PJ, Novakofski J, Shanks RD, Carr TR. 1988. Variation in composition and palatability traits and relationships between muscle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in random sample of pork carcasses. J Anim Sci 66(2):385-395. 

  9. Dugan MER, Aalhus JL, Jeremiah LE, Kranner JKG, Schaefer AL. 1999. The effect of feeding conjugated linoleic acid on subsequent pork quality. Can J Anim Sci 79(1):45-51. 

  10. Grau R, Hamm R. 1953. Eine einfache methode zur bestimmung der wasserbindung im muskel. Naturwissenschaften 40(1):29-30. 

  11. Han GD, Kim DG, Kim SM, Ahn DH, Sung SK. 1996. Animal products and processing: Effects of aging on the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in the Hanwoo beef by the grade. Korean J Anim Sci 38(6):589-596. 

  12. Han GP, Han JS, Kozukue N, Yeo JS, Lee SE, Minamide T. 2003. A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native and hybrid pork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3):185-190. 

  13. Hodgson RR, Davis GW, Smith GC, Savell JW, Cross HR. 1991. Relationship between pork loin palatability trait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chops. J Anim Sci 69(12):4858-4865. 

  14. Jacobs JA, Miller JC, Sauter EA, Howes AD, Araji AA, Gregory TL, Hurst CE. 1977. Bulls versus steers. II. Palatability and retail acceptance. J Anim Sci 45(4):699-702. 

  15. Jeon KH. 2013. Current issues of animal by-products market in Korea and its solution. Bull of Food Technol 26(4):296-306. 

  16. Jin SK, Kim CW, Song YM, Jang WH, Kim YB, Yeo JS, Kim JW, Kang KH.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muscle between the Korean native pig and Landrac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2):142-148. 

  17. Kang HS, Seo KS, Kim KT, Nam KC. 2011. Comparison of po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from domesticated pig speci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6):921-927. 

  18. Kang SM, Kang CG, Lee SK. 2007a.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1):1-7. 

  19. Kang SM, Liang CY, Kang CG, Lee SK. 2007b.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Anim Sci Technol (Kor) 49(1):89-98. 

  20. Kim BK, Park CE, Lee EJ, Kim YS, Kim BS, Kim JC. 2013. Effect of quality grad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anwoo.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3(2):287-293. 

  21. Kim DG, Jung KK, Sung SK, Choi SB, Kim SG, Kim DY, Choi BJ. 1996. Effects of castration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and Holstein. Korean J Anim Sci 38(3):239-248. 

  22. Kim IS, Min JS, Lee SO, Shin DK, Lee JI, Byun JS, Lee M. 199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vacuum packaged pork ham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2):132-141. 

  23. Kim MK, Koo KM. 2013. The impact of FMD on the relationship among pork prices. Korean J Agric Manag Policy 40(3):592-614. 

  24. Kim SK, Lee MS, Lee KT, Park SK, Song KB. 2004. Changes in quality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Korean J Food Preserv 11(4):441-447. 

  25. Kwak YT, Ko BN. 2006. Pork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for non-preferred parts. Korean J Agric Manag Policy 33(2):444-455. 

  26. Kwon OO. 2014. A strategy on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livestock industry in Korea. Korean J Agric Manag Policy 41(3):574-603. 

  27. Lee JB.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livestock of livestock policy in farm animal welfare type on swine farm: Based on swine farm in Chung Nam a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pp 1-2. 

  28. Lee JH, Choi JS, Jeong JY, Choi Y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iry beef ham made with non-preferred portion of dairy beef.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28(3):143-146. 

  29. Lee NK, Lee JY, Kwak HG, Paik HD. 2008. Perspectives for the industrial use of bacteriocin in dairy and meat industr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1):1-8. 

  30. Lee SH. 2013. A study on the promotion methods for low fat parts of pork mea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p 1-14. 

  31. Lee SK, Ju MK, Kim YS, Kang SM, Choi YS. 2005. Quality comparison between Korean native black ground pork and modern genotype ground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1):71-77. 

  32. Lee YJ, Kim CJ, Kim JH, Park BY, Seong PN, Kang GH, Kim DH, Cho SH. 2010a.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h Hanwoo beef by different quality grades and cu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1):110-119. 

  33. Lee YJ, Kim CJ, Park BY, Seong PN, Kim JH, Kang GH, Kim DH, Cho SH. 2010b. Chemical composition, cholesterol, trans-fatty acids contents, pH, meat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of Hanwoo beef (Korean native cattle) quality grad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6):997-1006. 

  34. Moon JH, Sung MS, Kim JH, Kim BS, Kim YS. 2013. Quality factors of freshness and palatability of Hanwoo from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3(6):796-805. 

  35. Moon SH, Jeong JY, Kim GD, Cho IC, Jeon JT, Joo ST, Park GB.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k loin. J Anim Sci Technol (Kor) 51(4):329-336. 

  36. Oh HS, Kim HY, Yang HS, Lee JI, Joo YK, Kim CU. 2008. Comparis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rossbreed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2)171-180. 

  37. Park HG, Oh HR, Ha JW, Kang JO, Lee KT, Chin KB. 2003.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meat and meat products. Sun Jin Mun Hwa Sa, Seoul, Korea. pp 142-148. 

  38. Seong PN, Cho SH, Kim JH, Hah KH, Park BY, Lee JM, Kim DH. 2009. Meat quality of pork muscles from low-fat cu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3):364-373. 

  39. Shin KK, Park HI, Lee SK, Kim CJ. 1998. Studies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different portions in various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3):261-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