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방법을 달리한 쥐눈이콩의 항산화력 및 이소플라본 배당체·비배당체 함량 비교
Component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Isoflavones (β-glucoside & aglycone) Contents of Small Black Bean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2, 2016년, pp.197 - 203  

신지훈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나미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small black beans (Rhynchosia nulubilis) that were produced in the Jungsun province of South Korea were selected for use in various cooking recipes because they are known to contain higher isoflavones and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as compared to any other domestic soyb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콩은 트립신 저해제가 있어 생콩으로 섭취하기보다는 조리 후에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콩이 갖는 생리 활성 물질이 조리 후에 얼마나 잔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 이후에 잔존물이 높은 조리방법을 규명하여 우수한 조리방법을 권장하고 식품 개발 및 메뉴 개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쥐눈이콩을 이용하여 볶기, 삶기, 찌기, 압력 조리로 조리법을 달리하여 조리한 후 각각의 조리법에 따른 생리활성 기능적 성분의 변화를 연구하여 조리 후 잔존하는 생리활성 물질이 많은 효과적인 조리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조리된 쥐눈이콩 시료들은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D: steamed small black bea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쥐눈이콩이란 무엇인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은 검정콩의 한 종류로 서리태보다 작고 속이 녹색인 동아시아 토착 품종이다(Yim JH 등 2009). 검은색 종피에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인 glycitein과 안토시아닌인 중에 cyanidin-3-glucoside가 노란콩 품종보다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Bae EA & Moon GS 1997).
노란 콩 품종과 비교했을 때에 쥐눈이콩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은 검정콩의 한 종류로 서리태보다 작고 속이 녹색인 동아시아 토착 품종이다(Yim JH 등 2009). 검은색 종피에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인 glycitein과 안토시아닌인 중에 cyanidin-3-glucoside가 노란콩 품종보다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Bae EA & Moon GS 1997). 정선산 쥐눈이콩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껍질에 다량의 총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며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Shin MK & Han SH 2002, Sa JH 등 2003).
콩 이소플라본은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가? 콩 이소플라본은 비배당체(aglycone) 3개와 배당체(glucoside) 9개(glucoside, acetylglucoside, malonylglucoside)등으로 된 12개의 유도체로 존재한다. 비배당체는 dadizein, genistein, glycitein으로, 배당체는 genistin, daidzin, glycitin 으로 구성되고 배당체 기본구조에 acetyl form과 malonyl form으로 각각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Kudou S 등 1991). 식품 내에는 이소플라본이 비배당체보다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고, 이들의 비율은 콩 품종에 따라 다르며 (Izumi T 등 2000, Setchell KDR 2000), 조리과정 중에서 배당체와 비배당체의 함량이 변화한다고 하였다(Moon BK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RL, Wolf WJ. 1995. Compositional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phytic acid, saponins and isoflavone related to soybean processing. J Nutr 125:581S-588S. 

  2. Bae EA, Moon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2):203-208. 

  3. Choung MG. 2004. Analysis of anthocyanins. Korean J Crop Sci 49(S):55-67. 

  4. Choung MG, Back IY, Kang ST, Han WY, Shin DC, Moon HP, Kang KH. 2001.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Agric Food Chem 49(12):5848-5851. 

  5. Day AJ, Canada FJ, Diaz JC, Kroon PA, Mclauchlan R, Faulds CB, Plumb GW, Morgan MRA, Williamson G. 2000. Dietary flavonoid and isoflavone glycosides are hydrolyzed by the lactase site of lactase phlorizin hydrolase. FEBS Letters 468(2-3):116-170. 

  6. Dong X, Xu W, Sikes RA, Wu C. 2012. Apoptotic effects of cooked and in vitro digested soy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Food Chem 135(3):1643-1652. 

  7. Du Q, Li Z, Ito Y. 2001. Preparative separation of isoflavone components in soybeans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 A 923(1):271-274. 

  8. Grun IU, Adhikari K, Li C, Li Y, Lin B, Zhang J, Fernando LN. 2001. Changes in the profile of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conjugates during thermal processing of tofu. J Agric Food Chem 49(6):2839-2843. 

  9. Hayes RE, Bookwalter GN, Bagley EB. 1977.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flour and derivatives-A review. J Food Sci 42(6):1527-1532. 

  10. Huang RY, Chou CC. 2008. Heating affects the content and distribution profile of isoflavones in steamed black soybeans and black soybean koji. J Agric Food Chem 56(18):8484-8489. 

  11. Izumi T, Piskula MK, Osawa S, Obata A, Tobe K, Saito M, Kataoka S, Kubota Y, Jikuchi M. 2000. Soy isoflavone aglycones are absorbed faster and in higher amounts than their glucosides in humans. J Nutr 130(7):1695-1699. 

  12. Jung CS, Park YJ, Kwon YC, Suh HS. 1996.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color-soybean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41(3):302-307. 

  13. Kang SA, Jang KH, Cho Y, Hong K, Suh JH, Choue R. 2003. Effects of artificial stomach fluid and digestive enzymes on the aglycone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and black bean (Rhynchosia Molubilis: Yak-Kong). Korean J Nutr 36(1):32-39. 

  14. Kim CS, Lee YS, Kim JS, Hahn YH. 2000.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 in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25-30. 

  15. Kim JH, Lee YT.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curd products containing small black soy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1431-1435. 

  16. Kudou S, Tsuizaki I, Uchida T, Okubo K. 1991.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soybean saponin hydrolase from Aspergillus oryzae KO-2. Agric Biol Chem 55(1):31-36. 

  17. Kwon HJ, Kim TM, Ryu JM, Woo KS, Kwon OC, Jeong HS, Kim DJ. 2006. Cell proliferation and cytotoxic effect by allium species (garlic and onion) extracts in human cancer cells. Lab Anim Res 22(1):71-76. 

  18. Matsuura M, Obata A, Fukushima D. 1989. Objectionable flavor of soy milk developed during the soaking of soybeans and its control. J Food Sci 54(3):602-605. 

  19. Moon BK, Jeon KS, Hwang IK.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and on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Sci 12(4):527-534. 

  20. Rostagno MA, Palma M, Barroso CG. 2005. Solid-phase extraction of soy isoflavones. J Chromatogr A 1076(1-2):110-117. 

  21.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309-315. 

  22. Setchell KDR. 2000.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soy isoflavones-from food to dietary supplements and adults to infants. J Nutr 130(3):654S-655S. 

  23. Shin MK, Han SH. 2002. Effects of black soybean extract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fed fat diet rats. Korean Soybean Dig 19:48-54. 

  24.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Bea JH, Lee HD, Choi C. 2002. Stability of blank soybean pigment 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hchnol 45(3):179-184. 

  25. Szabo M, Idi?oiu C, Chambre D, Lupea A. 2007.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ers 61(3):214-216. 

  26. Toda T, Sakamoto A, Takayanagi T, Yokotsuka K. 2000. Changes in isoflavone compositions of soybean foods during cooking process. Food Sci Technol Res 6(4):314-319. 

  27. Wang HJ, Murphy PA. 1994. Isoflavone content in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8):1666-1673. 

  28. Yim JH, Lee OH, Choi UK, Kim YC. 2009.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Glycine max (L.) Merr and Rhynchosia nulubilis seeds. Int J Mol Sci 10(11):4742-4753. 

  29. Zhang Q, Zhang J, Shen J, Silval A, Dennis DA, Colin J,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3-5):445-4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