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nutritional information (protein and amino-acid contents) of soybeans (Baktae, Seoritae, Huktae, and Seomoktae)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Methods: Raw, boiled (in $100{\pm}15^{\circ}C$ of water for 4 hr), and fried (in a pan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콩을 활용한 조리방법 관련 연구 또한 주로 콩의 침지, 조리속도, 가열시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변화에 중점 되어져 왔다(Jung SJ 등 1991, Lee KJ 등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이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 식품인 콩을 주제로 백태, 서리태, 흑태, 서목태를 선정하여 콩의 종류별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함량을 비교하고, 조리방법에 따른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콩의 생산, 조리, 가공 등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콩의 종류(백태, 서리태, 흑태, 서목태) 및 조리방법(생것, 삶은 것, 볶은 것)에 따른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의 조성 및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했다. 콩의 종류별 단백질 함량(mg/g)은 서리태 431.
  • Tryptophan은 필수아미노산의 하나로, 체내에서 나이아신(niacin)으로 전환되어 결핍증상인 펠라그라(pellagra)를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한다(An MS 2004, Cho SH 등2010).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콩에서 모든 필수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이는 우리 콩의 우수성을 알리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콩 종류 및 조리방법별 시료의 아미노산 함량 간의 차이양상을 좀 더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의 다변량통계기법이 적용되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두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율은? ) Merr)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풀로,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 성숙자실용, 청예사료용, 녹비용 등으로 구분하며, 자실의 형태 및 색에 따라 누런 콩, 검은 콩, 푸른 콩, 갈색 콩, 얼룩이 콩, 아주까리 콩 등으로 다양하다(Wikipedia® 2016). 다른 작물 및 곡류와 비교하여 볼 때, 대두는 단백질 40%, 지방 20%, 탄수화물 35% 정도를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단백질의 대표적인 식품소재이며(Sa JH 등 2003), 그 외 식이섬유, 이소플라본, 페놀화합물, saponin, lecithin, trypsin inhibitor 등의 생리활성물질 및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Sin MK & Han SH 2001, Jeon SH 등 2005, Kim SH 등 2005, Choi YM 등 2007).
대두의 특징은? (L.) Merr)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풀로,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 성숙자실용, 청예사료용, 녹비용 등으로 구분하며, 자실의 형태 및 색에 따라 누런 콩, 검은 콩, 푸른 콩, 갈색 콩, 얼룩이 콩, 아주까리 콩 등으로 다양하다(Wikipedia® 2016). 다른 작물 및 곡류와 비교하여 볼 때, 대두는 단백질 40%, 지방 20%, 탄수화물 35% 정도를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단백질의 대표적인 식품소재이며(Sa JH 등 2003), 그 외 식이섬유, 이소플라본, 페놀화합물, saponin, lecithin, trypsin inhibitor 등의 생리활성물질 및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Sin MK & Han SH 2001, Jeon SH 등 2005, Kim SH 등 2005, Choi YM 등 2007).
콩의 조리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를 분석한 실험에서 생것에 비해 삶은 콩의 단백질 함량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05) 삶은 것, 볶은 것, 생것의 순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생것에 비해 삶은 것, 볶은 것은 각각 6.07-7.35%, 2.13-3.72% 증가하였다. Kim YO 등(1990)은 단엽콩의 삶기 조리시간이 30분일 때, 100°C에서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MS. 2004. Food science. Shin-kwang, Seoul, Korea. pp 214-260. 

  2.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82:1389-1398. 

  3. Bae EA, Moon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2):203-208. 

  4. Cho SH, Cho GR, Gang MS, Song MR, Joo NH. 2010. Food science. Gyo-moon Publishers, Gyeonggi, Korea. pp 314-370. 

  5. Choi YM, Lim HO, Woo SH, Lim HS, Jong SK, Lee JS. 2007. Lutein contents of soybeans (Glycine max L.)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9(5):580-583. 

  6. Go JH, Kim JK, Kim HS, Nam SH, Park YH, Park HJ, Song E, Song SC. 2009. Functional foods. Bo-mun-gak, Seoul, Korea. pp 117-155. 

  7. Hong EH, Kim SD, Kim YH, Chung KW. 1990. Protein and content amino acid composition of soybean cultivars. Korean J Crop Sci 35(5):403-412. 

  8. Hong JY, Shin SR, Kong HJ, Choi EM, Woo SC, Lee MH, Yang KM. 2014.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small black bean. Korean J Food Preserv 21(3):404-411. 

  9. Jeon SH, Lee KA, Byoun KE. 2005. Studies on changes of isoflavone and nutrient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varieties. Korean J Hum Ecol 14(3):485-489. 

  10. Jung SJ, Yoon JY, Lee SR. 1991.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Kongjaban prepared under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4):490-497. 

  11. Kim DM, Yoon HH, Kim KH. 1990. Protein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386-392. 

  12. Kim KS, Kim MJ, Lee KA, Kwon DY.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335-341. 

  13. Kim MJ, Kim KS. 2005. Function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Hwanggumkong, Yakong and Huktae. Korean J Food Cook Sci 21(6):844-850. 

  14. Kim SH, Kwon TW, Lee YS, Choung MG, Moon GS. 2005.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73-77. 

  15. Kim YH. 2002. Current achievement and perspective of seed quality evaluation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7(S):95-106. 

  16. Kim YH, Yun HT, Park KY. 2004. Biological effects of black colored soybean. Korean J Plant Resour 7(3):195-199. 

  17. Kim YO, Jung HO, Rhee CO. 1990. Changes of texture, soluble solids and protein during cooking of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2):192-198. 

  18. Lee HJ, Do WN, Kim YH. 2010.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nthocyanin crude extracts from black soybean. Korean J Crop Sci 55(1):65-69. 

  19. Lee KH, Kim MJ, Kim AJ. 2014.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ynchosia nulubilis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5):675-681. 

  20. Lee KJ, Lee SY, Kim YR, Park JW, Shim JY. 2004. Effect of dry heating on the pasting/retrograda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starch-soy protein mix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568-573. 

  21. Lim SY. 2010. Comparison of effect of various types of soybean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J Life Sci 20(10):1532-1537. 

  22. Moon HK, Lee SW, Moon JN, Kim DH, Yoon WJ, Kim G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2):215-221. 

  23.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309-315. 

  24. Seol HG, Ko YJ, Kim EJ, Lee GL, Kim DG, Lee JO, Ahn KM, Ryu CH. 2012. Allergenicity change of soybean proteins by thermal treatment methods. J Life Sci 22(4):524-531. 

  25. Seoung JH, Heo D. 2010. Soybean supply and demand trends and outlook.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4(19):556-576. 

  26. Sin MK, Han SH. 2001.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Phaseolus vulgari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113-116. 

  27. Son DY, Kim YJ. 2010. Allergenicity of soybeans depending on their varie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627-631. 

  28. Son DY, Lee BR, Shon DW, Lee KS, Ahn KM, Nam SY, Lee SI. 2000. Allergenicity change of soybean proteins by thermal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959-963. 

  29.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764-768. 

  30. Wikipedia(R). 2016. About soybean.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BD%A9. Accessed May 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