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Concept and Policy Developments on Eco-welfare of National Parks based on Ecosystem Servic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2, 2016년, pp.261 - 270  

박은하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대학원) ,  최수정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대학원)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정부희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  이나연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 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 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 교육적 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Eco-welfare emerg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y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eco-welfare policy real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since national parks are appro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복지의 개념을 국립공원에 도입하고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해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국립공원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통해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국립공원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요소 도출을 통해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립공원별 특성을 반영하여 생태계서비스 요소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가치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및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첫째, 국립공원 생태계복지를 강화한다. 기반서비스의 경우 다른 생태계서비스에 비해 높은 타당도를 보이며 모든 요소가 국립공원에 적합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에 대한 방문수요가 해마다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1). 또한 국민소득의 증가, 여가시간의 확대, 웰빙 선호도의 확산 등으로 인해 국립공원에 대한 방문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한 생태계로 인한 각종 개발압력에 시달리면서 보전과 이용의 가치가 갈등을 빚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Kim, 2012). 이러한 보전과 이용의 갈등을 해소하고 이들의 공생관계를 추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마련되고 있지만 그 갈등의 폭을 줄이지는 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공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립공원은 대체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의 카테고리 Ⅱ 보호지역에 해당한다. 생물종과 서식처, 생태계 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전체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자연 상태로 유지되는 대규모 지역으로 환경적, 문화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영적, 과학적, 교육 및 휴양 기회의 토대를 제공하는 지역이다. 또한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다른 토지이용 지역에 비해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특히 높은 지역으로 이러한 우수한 생태계의 보전을 목적으로 지정된 보호지역이다.
생태복지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생태복지의 개념은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는데 자연생태계에서 인간생태계로 제공되는 혜택 즉, 생태계서비스와 인간생태계에서 자연생태계로의 영향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생태복지는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생태계복지를 구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생태계로부터 얻어지는 생태계서비스 혜택 등 인간복지가 지속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보전을 위한 근간으로서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일련의 가치평가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2001년 국가복지를 평가하면서 인간복지 뿐만 아니라 생태계복지를 포함하여 생태계의 복지가 유지될 경우에만 인간복지가 실현될 수 있다는 면을 강조한 바 있다(Prescott-Alle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yant, B., (1995) Environmental Justice: Issues, Policies, and Solutions, Washington D.C: Island Press 

  2. Bullard, R.D. and G.S. Johnson(2000) Environmentalism and Public Policy: Environmental Justice: Grassroots Activism and its Impact on Public Policy Decision Making, Journal of Social Issues, 56(3): 555-578 

  3. English, J. M. and G. L. Kernan(1976) "The prediction of air travel and aircraft technology to the year 2000 using the delphi method." Transport Research. 10: 1-8 

  4. European Commission(EC) and German Ministry for the Environmen, BMU.(2008) the Economics of Ecosystem and biodiversity : an interim report 

  5. Im, E.A., K.C. Son, and J.K. Kam(2012) Development of Elem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 (HTEI) through Delphi Method, Kor. J. Hort. Sci. Technol. 30(3):308-32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u H.J., G.H. Kwon and S.H. Moon(2011) The Study on the Dynamic Efficiency of the Korean National Parks: Utilizing DEA & DEA-Window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1(1): 243-27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M.K. and S.J. Park(2014)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Leisure Addiction. Korean Society of Leisure and Recreation. 38(1):1-1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Y.W(2012) Study on National Park Visitors Consciousness on Nature Conserv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Eco-Tourism -Focusing on Buk Han 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5(6): 77-9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h, J. K. and H.S. Jeong(2013) Toward a Preliminary Conceptualization of Environmental Welfar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1(3) 23-5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 J.Y. and M.R. Jung(2006) Developing Evaluation Items on Sommelier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0(5): 133-1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orea Forest Service(2013) Forest Welfare comprehensive plan(in Korean) 

  12. Lawshe, C.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563-575 

  13. Lee J.S(2001) Delphi Method. (in Korean) 

  14. Lynn, M. R.(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5. MA(2005)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9) Framework and Conceptual Model of Korean Ecowelfare(in Korean) 

  17. Pops, Gerald M.(1997) Seeking Environmental Equity and Justice, KETRI, Environmental Ethics for the 21st Century, pp. 1-32 

  18. Prescott-Allen, R.(2001) The wellbeing of nations. Island Press 

  19. TEEB(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 Main streaming the Economics of Nature: A synthesis of the approach,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EEB 

  20. 戶田淸(1994) 環境的公正を求めて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