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복지 역할 및 이념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and Ideological Development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1, 2015년, pp.69 - 81  

한소영 (서울연구원) ,  조한솔 (국립산림과학원)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원이 과거에서부터 시민들에게 꾸준히 혜택을 주고 있는 복지이념 수행의 장이었다는 것을 전제로, 그 실체는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복지수단으로서의 공원역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고, 공원복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념은 사회복지 이념과의 어떤 차별성을 띠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원 발달 과정에 있어 공원이 제공하는 복지혜택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공원의 발전 과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사회적인 상황과 맞물려 공원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복지 기능의 역할 및 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원복지 기능 및 요소의 전개과정에 따라 그 근간이 된 이념의 특성과 전개양상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제까지 공원이 수행한 공원복지 기능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료적(remedial) 기능으로,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직접적인 원호, 육성, 갱생에 기여하는 직접적 서비스 기능이다. 둘째, 예방적(preventive)기능으로, 이는 개인과 가정,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된 공원복지 기능이다. 셋째, 개발적(developmental)기능으로, 이는 공원이 사회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변화촉진체계로 기능함을 말한다. 공원복지 수혜 계층과 수혜 혜택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공원복지 대상이 빈민계층에서 일반국민으로 대상이 넓어졌으며, 공원의 혜택을 받는 실제 이용계층 역시 특수계층에서 일반 대중으로 평준화되고 있다. 둘째, 공원복지의 의미가 자전적 형태에서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동되었다. 셋째, 공원복지의 목적이 최저조건(min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에서 최적의 조건(opt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복지이념은 초창기에는 이념적 특성에만 그치는 자전적 성향이 컸으나, 시간이 흐르며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여러 사회적 이점을 만들면서 적극적인 복지이념을 발현하는 장이 되었다. 더불어 현 세대 공원과 복지는 참여와 삶의 보편적 웰빙을 위한 접점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 복지이념과 실천이 어떻게 연결되어 왔는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공원의 역할, 가치 및 이념을 조망하는 연구의 선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premise that parks have been a performing field of welfare ideology that benefits the citizen from the past,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a basic question on what substance a park has and how it has work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heoretic background that can explain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규모 공원들의 확충은 공원 복지의 수혜계층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후 시민들의 접근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다양한 소규모 공원들의 확충으로 평균규모가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Kye, 2003: 57). 소규모 공원들의 점적인 배치의 시작은 실제 공원복지 수혜 계층이 시민 중심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원이 시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장소라는 대중적 인식이 일반화 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단위 공원의 점적인 배치에서 탈피하여 도시공원과 도시공원들을 연결하는 한편, 폐선 철도부지와 같은 선형 도시공원의 확충으로 도시공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복지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복지란 국민들의 삶과 관련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국가가 나서 이를 해결하거나 혹은 사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있게끔 하는 제도로서, 개인이나 사회집단에서 요구하는 개인적 욕구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행위를 말한다4).
국가의 사회복지이념은 무엇인가? 국가의 사회복지이념은 평등(Equality), 자유(Freedom), 민주주의(Democracy), 공동체의식 혹은 연대의식(Solidarity), 안정과보장의가치(Security), 경제적효율성(Economic efficiency)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공원의 초창기 이념들도 이런 내용을 담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다(Kim, 2003). 대표적으로 옴스테드(Olmsted)가 센트럴파크를 조성할 당시 지향했던 공원의 이념은 사회복지와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도구로써의 장소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S. H.(201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Green Welfare Spac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Bachin, R. F.(2003) Cultivating Unity: the Changing Role of Parks in urban America, Place 15(3). Cambridge: College of Environmental Design, UC Berkeley. 

  3. Barker, R. L.(1999) The Social Work Dictionary(4th ed.). Washington D.C: NASW Press. 

  4. Barnett, J.(1988) "Urban Design", in F. So and J. Getzels (eds.). The Practice of Local Government Planning. Washington DC:ICMA. 

  5. Choi, J. C.(2009) Framework and Conceptual Model of Korean Ecowelfar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최재천(2009)생태복지의개념및적용모델개발. 보건복지부건강증진사업결과보고서.) 

  6. Choi, K. S.(1996) A study on the fistorical change of an urban park in terms of the style and concept in U.S.A.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Metropolitan Studies 22(1): 149-163. 

  7. Citizen, Public Landscape Architects Group, Seoul Metropolitan City(2014) Strategies for Declaration of Green City. (시민.공공조경가 그룹.서울특별시(2014) 푸른도시선언 전략계획.) 

  8. Cranz, G.(1982) The Politics of Park Design: A History of Urban Parks in American, London: MIT Press. 

  9. Cranz, G. and M. Boland(2004). Defining the sustainable park: A fifth model for urban parks. Landscape Journal,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3: 102-124. 

  10. Fisher, T.(2010) "Frederick Law Olmsted and the Campaign for Public Health," Design Observer. https://placesjournal.org/article/frederick-lawolmsted-and-the-campaign-for-public-health. (access: 2014.10.15) 

  11. George, V. and P. Wilding(1986) Ideology and Social Welfare, London R.K.P. 

  12. Godbey, G., A. Graefe, and S. W. James(1992) The Benefits of Local Recreation and Park Services: A Nationwid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the American Public. Ashburn, VA: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13. Grave, B.(2008) What is welfare?.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Policy 2: 50-73. 

  14. Hoff, M. and J. G. McNutt(eds.)(1994).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Social Work. Aldershot: Avebury. Forward by Mark Lusk. 

  15. Hong, S. T.(2009) Eco-crisis and generation justice - From a viewpoint of eco-welfare society. Economy and Society (81): 89-111. 

  16. Hwang, E. J.(1999) The social reform movement of Jane Addams with a Hull-House. Journal of Western History (21): 221-248. 

  17. Kim, H. S. and M. H. Lee(2006)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the U.S. city beautiful movement -Focused on the withdrawal and legacy-. Seoul Studies 7(3): 87-106. 

  18. Kim, J. H.(2003) On the Welfare State. Daegu: Daemyung. (김정헌(2003) 복지국가론. 대구: 대명.) 

  19. Kim, K. J.(2012) Welfare activation strategy for a urban park us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195-204. 

  20. Kim, S. B.(2004) The Policy of Park and Green Area. Seoul: Daemyung Munhwasa. (김수봉(2004) 공원녹지정책. 서울: 대명문화사.) 

  21. Kim, Y. G.(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76-89. 

  22. Koh, J. K., Y. J. Lee, J. I. Lee, M. Y. Song, D. Y. Kim, and S. J. Kang (2012) Environmental Welfare is the Future Welfare. Issue & Diagnosis: 3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3. Koh, J. K.(2012) Necessity and Direction of Policy for Environmental Welfare. Environmental Welfare: What are the Directions and tasks for?. Korea Institute of Policy Evaluation. pp.15-31. (고재경(2012) 환경복지 패러다임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환경복지, 방향과 과제는?. 한국정책평가연구원. pp.15-31. 

  24. Konijnendijk, C. C., A. Matilda, B. N. Anders, and M. Sreetheran (2013) Benefits of Urban Parks: A Systematic Review. A Report for IPFRA. IFPRA. 

  25. Kye, K. S.(2013) Creation and evolution of urban parks in Pari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4): 33-57. 

  26. Lawhon, L. L.(2009) The neighborhood unit: Physical design or physical determinism?. Journal of Planning History 8(2): 111-132. 

  27. Lee, H. G. and S. J. Sim(2010). A exploratory study on reconstruction of social indicator system. Korea Society 11(1): 47-78. 

  28. Lee, I. H.(2000) A study on the ideological domain of productive welfare policy and its paradigm.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1(2): 53-69. 

  29. Lee, J. H.(2006) Sports and Social Welfare. Seoul: DaehanMedia. (이정학(2006) 스포츠와 사회복지. 서울: 대한미디어.) 

  30. Mann, W. A.(1993) Landscape Architecture: An Illustrated History in Timelines, Site Plans and Biography.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Park, K. H., J. C. Kim, and T. W. Lee(2013). A Study on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Linear Parks based on the Concept of 'Park Welfar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2. Peschardt, K. K.(2014) Health Promoting Pocket Parks in a Landscape Architectural Perspective. PhD Thesis, Department of Geosciences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Denmark. 

  33. Romanyshin, J. M.(1971) Social Welfare, Charity to Justice. NY: Random House. 

  34. Schuyler, D.(1986) The New Urban Landscape: The Redefinition of City Form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London: Johns Hopkins. 

  35. SNU R&DB Foundation(2013) The Strategic Plan for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Welfar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2013) 환경복지 실현을 위한 구상안 마련. 환경부.) 

  36. Song, I. J.(2013) A Study on Creation of Eco-welfare City through Park and Green Space. The Seoul Institute. 

  37. Stanton, R.(2000) The Forgotten Olympic Art Competitions(1st ed.). Victoria: Trafford Publishing. 

  38. Taylor, D. E.(1999) Central park as a model for social control: Urban parks, social class and leisure behavior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1(4): 420-477. 

  39. Thompson, C. W.(1998) Historic American parks and contemporary needs. Landscape Journal,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7(1): 1-25. 

  40. Thompson, C. W. (2002)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New York: Elsevier Science 60: 59-72. 

  41. Walker, C.(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a Broader View of Urban Parks. Washington: The Urban Institute. 

  42. Williams, R.(1976)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Glasgow: Fontan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