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적 흥미 이론이 수학교육에 주는 의미 고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s of Educational Interest Focused on Mathematics Learning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1, 2020년, pp.1 - 23  

최지선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흥미에 관한 교육 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수학 흥미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기초를 세우고 수학교육에서 흥미를 어떻게 발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흥미 이론에 관한 Dewey의 이론,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의 구분, 그리고 수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흥미'를 개인이 수학적 대상에 대해 더 알아볼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개인적인 경험의 총체로 정의하고, 흥미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수학 흥미가 발달되도록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수학 흥미를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로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흥미를 구성하는 요소를 정서, 인지, 가치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흥미 함양의 원리로 활동의 원리, 긍정적 정체성의 원리, 그리고 점진적 확장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흥미 함양을 위해서, 수학적 구조와 활동이 유기적으로 조직되어 학습자에게 수학의 가치와 활동의 목적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과제 개발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ize the conceptualizations of educational interest focused on mathematics learning an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This study reconsiders the interest theory of Dewey, classification of situational interest and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wey은 무엇을 흥미에 수반하는 현상으로 해석하였는가? 아동이 성장하면 자기표현 활동이 복잡해지고 시야가 넓어지면서 활동과 목적 사이의 거리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활동의 목적에 이르기 위하여 아동은 활동의 수단에도 흥미를 느끼게 되고, 어려움에 부딪히면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을 더 기울이거나,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하는 등의 사고를 기울이게 된다. Dewey는 이와 같이 가치있는 목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즐거움, 노력, 사고 등을 흥미에 수반하는 현상으로 해석하였다. 더불어 가치있는 목적은 사회적으로 그리고 도덕적으로도 건전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pp.
Dewey는 진정한 흥미를 어떻게 정의하였나? Dewey는 진정한 흥미를 ‘자아와 대상이 통합되어가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1913/2015, p.33).
흥미의 대상이 개인의 활동과 관련되는 대상만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흥미는 객관적 대상 그 자체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아의 자기표현 활동의 방향이 모아질 때에 그대상과 관련되는 것이다. 즉, 대상 자체가 흥미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자아의 활동의 수단 혹은 활동의 목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자아가 인지하는 경우에 흥미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주변에 존재하는 수많은 대상 중에서 개인의 활동과 관련되는 대상만이 흥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미선, 이종희(2016).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 개발과 분석. 학교수학, 18(3), 667-689.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교육부(2017). 2017 수학교육 종합 계획. 교육부(2017.3.16.). 

  4.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5. 김성일, 윤미선(2004).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디자인. 교육방법연구, 16(1), 39-66. 

  6.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7. 김윤민, 이종희(2014).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체계 및 중심신념요인 분석. 학교수학, 16(1), 111-133. 

  8. 박경미, 박선화,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신동관 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9. 박선화, 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10. 박주현, 강양구, 한선영(2019). 수학 학습 흥미 하위요인별 검사 도구 개발과 적용. 학교수학, 21(2), 319-346. 

  11. 박인용, 이광상, 임해미, 서민희, 김부미, 전경희(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규준 및 지표 산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14. 

  12.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3. 신종석, 표용수(2011). 수학교구를 활용한 수업의 흥미도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2), 117-139. 

  14. 오영수, 전영주(2018). 문제제기 활동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541-552. 

  15. 우연경(2012). 흥미 연구의 현재와 향후 연구 방향. 교육심리연구, 26(4), 1179-1199. 

  16. 우연경, 송주연(2018). 수학에서의 기대-가치 프로파일에 따른 인지적 참여 차이. 교육방법연구, 30(4), 559-581. 

  17. 이민희, 임해미(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18. 이종희, 김선희, 김수진, 김기연, 김부미, 윤수철, 김윤민(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 50(2), 247-261. 

  19. 이환철, 김형원, 백승근, 고호경, 이현숙(2017).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과 모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 31(2), 187-201. 

  20. 최지선, 상경아(2019).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2), 163-182. 

  21. Conley, A. M. (2012). Patterns of motivation beliefs: Combining achievement goal and expectancyvalue perspectiv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1), 32-47. 

  22. Cobb, P. (2002). Modeling, symbolizing, and tool use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In K. P. E. Grave meijer, R. Lehrer, B. van Oers & L. Verschaffel (Eds.),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71-196).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Chang. Y. (2017). JUST DO MATH Project. ShiDa Institute for Mathematics Education.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www.sdime.ntnu.edu.tw/files/archive/137_10bf126c.pdf. (2017.10.11. 검색) 

  24. Dewey, J. (2015).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조용기 역). 서울: 교우사. (원서출판: 1913). 

  25. Frenzel, A. C., Goetz, T., Pekrun, R., & Watt, H. M. (2010). Development of mathematics interest in adolescence: Influences of gender, family, and school contex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0, 507-537. 

  26. Gravemeijer, K. & Stephan, M.(2002). Emergent models as an instructional design heuristic. In K. P. E. Gravemeijer, R. Lehrer, B. van Oers & L. Verschaffel (Eds.),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45-169).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 111-127. 

  28. Hidi, S., Renninger, K. A., & Krapp, A. (2004). Interest, a motivational variable that combines affectiv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D. Y. Dai & R. J. Sternberg (Ed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Integrative perspectives o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pp. 89-115).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9. Hogheim, S., & Rebe, R. (2015). Supporting interes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through context personalization and example choic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2, 17-25. 

  30. Immordino-Yang, M. H. (2019). 정서와 학습 그리고 뇌. (황매향 역). 서울: 바수데바. (원서출판 2016). 

  31. Krapp, A., Hidi, S., & Renninger, K. A. (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K. 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 3-25). NJ: Erlbaum. 

  32. Krapp, A. (2007). An educational-psychological conceptualisation of Interes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7(1), 5-21. 

  33. Lawless, K. A., & Kulikowich, J. M. (2006). Domain knowledge and individual interest: The effects of academic level and specialization in statistics and psycholog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1, 30-43. 

  34. Leder, G., & Grootenboer, P. (2005). Affect and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2), 1-8. 

  35. Lin, F-L. (2018) 대만의 수학교육 공정: 수학을 잘 배우자(Just do math). 2018 국제수학교육컨퍼런스 2018.8.6.-8. 기조강연자료. Retrieved 2018. 10. 01. from http://2018imec.com/bbs/board.php?bo_tabledata&wr_id54&page2 

  36. Linnenbrink-Garcia, L., Durik, A. M., Conley, A. M., Barron, K. E., Tauer, J. M., Karabenick, S. A., & Harackiewicz, J. M. (2010). Measuring situational interest in academic domains. Educati 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0, 647-571. 

  37.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575-596).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8.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 Hooper, M. (2016). TIMSS 2015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2018. 10. 01. from http://www.timss.org/ 

  39. Renninger, K. A. (2009). Interest and identity development in instruction: An inductive model. Educ ational Psychologist, 44(2), 105-118. 

  40. Renninger, K. A., & Hidi, S. (2011).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generation of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ist, 46(3), 168-184. 

  41. Schoenfeld, A. H. (2014). What makes for powerful classrooms, and how can we support teachers in creating them? Educational Researcher, 43(8), 404-412. 

  42. Schraw, G., & Lehman, S. (2001). Situational interes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 23-52. 

  43. Schunk, D. H., Pintrich, P., & Meece, J. L. (2013). 학습동기: 이론, 연구 그리고 교육 (신종호, 서울 대학교 학습창의센터 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8). 

  44. Singer, F. M. (2007). Beyond conceptual change: Using representations to integrate domain-specific structural models in learning mathematics. Mind, Brain, and Education, 1(2), 84-97. 

  45.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1), 1-36. 

  46. Yeh, C. Y. C., Cheng, H. N. H., Chen, Z-H., Liao, C. C. Y., & Chan, T-W. (2019). Enhancing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Math-Island.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14(5), 1-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