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당뇨병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와 지역 특성과의 관계 분석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1, 2016년, pp.30 - 38  

조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서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regional variables. Methods: The unit of analysis wa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city gun gu. Dependent variable was the age- and sex- adjusted diabetes prevalence rates and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질병 발생과 지역 특성 요인 간 존재하는 관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6,13,14], 이는 당뇨병과 지역 특성 요인 간 관련성의 크기 및 방향 또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간 특성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이용하여 당뇨병 유병률과 지역 특성 변수 간 관계를 명확히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별 당뇨병 유병률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특성 요인과 당뇨병 유병률 수준 간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2012년 우리나라 시·군· 구 지역별 당뇨병 유병률의 분포를 분석하고 둘째, 당뇨병 유병률과 지역 단위의 변인들 간 관련성을 공간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가정하의 전역적 모델(global model)인 OLS와 공간적 위치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는 국지적 모델(local model)인 GWR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지역 단위 연구를 할 때 공간들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며 인근 지역끼리 유사성을 갖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있거나 지역과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공간적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 이 있을 경우 다중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을 하게 되면 과소추정이나 과대추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7].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는 GW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WR은 Brunsdon 등[38]이 제안한 공간분석 방법으로 지역별로 회귀계수를 산출되기 때문에 지역 특성 요인들 간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만성질환 중 당뇨병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역 요인들의 특성이 지역적으로 서로 자기상관성이 있음을 밝혀낸 Moran’s I의 결과를 기반으로 GWR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당뇨병의 유병률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지역적 요인을 제시하였고, 향후 당뇨병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에 필요한 예산 편성 및 분배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성질환 중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의 지역별 유병률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특성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5세 이상 인구 수 비율이 높을수록, 지역의 재정자립도가 낮을수록, 당뇨병 유병률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그리고 지역에 따라 회귀계수 값에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당 건강보험료, 재정자립도, 1인당 자동차는 어떻게 계산하여 사용하였는가?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학적 요인의 지표가 될 수 있는 1인당 건강보험료, 재정자립도, 1인당 자동차 등록 대수를 변수로 선정하였다. 1인당 건강보험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역별 의료이용통계에서 제시된 지역 전체 건강보험료를 지역의 총 인구 수로 나누어 1인당 건강보험료로 환산하였으며 천 원 단위로 절삭하여 사용하였다. 재정자립도는 지역의 경제적 자립 수준을 나타내는 대리지표로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식은 {(지방세+세외수입)/자치단체예산규모}×100이다. 1인당 자동차 등록 대수는 지역의 경제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대리 지표로 국토교통부의 시·도 통계연보와 함께 주민등록인구 수를 사용하였다. 이때 자동차의 정의는 자가용과 영업용을 합산한 것이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이러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는 평생관리를 수반하는 만성질환인 당뇨병을 가진 인구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2]. Guariguata 등[3]은 219개 국가를 대상으로 2013년과 2035년의 당뇨 발생률의 증가를 분석한 결과 영국(-7.
제1형 당뇨병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연령과 성별을 표준화한 당뇨병 유병률이며 상병코드 E11–E14로 정의하였다. 당뇨병(E10–14) 중 제1형 당뇨병(E10)은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하는 인슐린 의존성(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질환으로 주로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하는데 이는 선천적 요인으로 발병되기 때문에[16]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Oct 20].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2. Amos AF, McCarty DJ, Zimmet P. The rising global burden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estimates and projections to the year 2010. Diabet Med 1997;14 Suppl 5:S1-S85.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6-9136(199712)14:5+3.3.co;2-i. 

  3. Guariguata L, Whiting DR, Hambleton I, Beagley J, Linnenkamp U, Shaw JE.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3 and projections for 2035. Diabetes Res Clin Pract 2014;103(2):137-149. DOI: http://dx.doi.org/10.1016/j.diabres.2013.11.002. 

  4. Park YL, Kim HS, Jeon MY, Jin CJ. A study on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among adults in the urban communities.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2003;17(1):144-152. 

  5. Green C, Hoppa RD, Young TK, Blanchard JF. Geographic analysis of diabetes prevalence in an urban area. Soc Sci Med 2003;57(3):551-560.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2)00380-5. 

  6. Grubesic TH, Miller JA, Murray AT. Geospatial and geodemographic insights for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Appl Geogr 2014;55:117-126. DOI: http://dx.doi.org/10.1016/j.apgeog.2014.08.017. 

  7. Macintyre S, Ellaway A, Cummins S.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 Sci Med 2002;55(1):125-139.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1)00214-3. 

  8. Schulz AJ, Zenk S, Odoms-Young A, Hollis-Neely T, Nwankwo R, Lockett M, et al. Healthy eating and exercising to reduce diabetes: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rameworks within the context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diabetes prevention. Am J Public Health 2005;95(4):645-651. DOI: http://dx.doi.org/10.2105/ajph.2004.048256. 

  9. Kim SA, Song M. The relation between glucose control, self-care and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with diabetes. Perspect Nurs Sci 2012;9(2):94-101. 

  10. Kim HS, Ro YJ, Kim NC, Yoo YS, Young JS, Oh JA.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of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0;30(6):1479-1487. 

  11. Lee TY, Ko LH, Kim KH. Factors affecting on impaired blood glucose and diabetes in residents of a rural area. J Korea Acad-Ind Coop Soc 2008;9(5):1374-138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8.9.5.1374. 

  12. Chun JD, Ryu SY, Han MA, Park J.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38(3):182-194. DOI: http://dx.doi.org/10.5393/jamch.2013.38.3.182. 

  13. Yang B, Hwang C. Spatial dependency and heterogeneity of adult diseases: in the cases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e U.S.A. J Korean Assoc Reg Geogr 2010;16(5):610-622. 

  14. Jayasekara JM, Dissanayake DM, Adhikari SB, Bandara P.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of unknown origin in North Central Region of Sri Lanka. Ceylon Med J 2013;58(1):6-10. DOI: http://dx.doi.org/10.4038/cmj.v58i1.5356. 

  15. Dever GE. Community health analysis: global awareness at the local level. 2nd ed.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1991. 

  16. Noh NY, Nam SY, Kang HS, Lee JE, Lee SK.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18(2):101-111. 

  17. Bocquier A, Cortaredona S, Nauleau S, Jardin M, Verger P. Prevalence of treated diabetes: geographical variations at the small-area level and their association with area-level characteristics: a multilevel analysis in Southeastern France. Diabetes Metab 2011;37(1):39-46. DOI: http://dx.doi.org/10.1016/j.diabet.2010.07.004. 

  18. Connolly V, Unwin N, Sherriff P, Bilous R, Kelly W. Diabetes preval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a population based study showing increased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deprived area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3):173-177. DOI: http://dx.doi.org/10.1136/jech.54.3.173. 

  19. Geraghty EM, Balsbaugh T, Nuovo J, Tandon 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o assess outcome disparit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hyperlipidemia. J Am Board Fam Med 2010;23(1):88-96. DOI: http://dx.doi.org/10.3122/jabfm.2010.01.090149. 

  20. Agardh E, Allebeck P, Hallqvist J, Moradi T, Sidorchuk A. Type 2 diabetes incidence and socio-economic posi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Epidemiol 2011;40(3):804-818. DOI: http://dx.doi.org/10.1093/ije/dyr029. 

  21. Cox M, Boyle PJ, Davey PG, Feng Z, Morris AD. Locality deprivation and type 2 diabetes incidence: a local test of relative inequalities. Soc Sci Med 2007;65(9):1953-1964.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7.05.043. 

  22. Dijkstra A, Janssen F, De Bakker M, Bos J, Lub R, Van Wissen LJ, et al. Using spatial analysis to predict health care use at the local level: a case study of type 2 diabetes medication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change and socioeconomic status. PLoS One 2013;8(8):e72730.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72730. 

  23. Brown AF, Ettner SL, Piette J, Weinberger M, Gregg E, Shapiro MF, et 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among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pidemiol Rev 2004;26(1):63-77. DOI: http://dx.doi.org/10.1093/epirev/mxh002. 

  24. Mennis J, Mason MJ. People, places,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integrating activity space and social network data for analyzing health behavior. Ann Assoc Am Geogr 2011;101(2), 272-291. DOI: http://dx.doi.org/10.1080/00045608.2010.534712. 

  25. Kim EJ, Kang MG.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 KRSA 2011;27(3):27-42. 

  26. Barker LE, Kirtland KA, Gregg EW, Geiss LS, Thompson TJ. Geographic distribution of diagnosed diabetes in the U.S.: a diabetes belt. Am J Prev Med 2011;40(4):434-439. DOI: http://dx.doi.org/10.1016/j.amepre.2010.12.019. 

  27. Frank LD, Sallis JF, Conway TL, Chapman JE, Saelens BE, Bachman W. Many pathways from land use to health: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active transportation, body mass index, and air quality. J Am Plan Assoc 2006;72(1):75-87. 

  28. Owen N, Cerin E, Leslie E, duToit L, Coffee N, Frank LD, et al.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he walking behavior of Australian adults. Am J Prev Med 2007;33(5):387-395. DOI: http://dx.doi.org/10.1016/j.amepre.2007.07.025. 

  29. Sallis JF, Saelens BE, Frank LD, Conway TL, Slymen DJ, Cain KL, et al.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and income: examining multiple health outcomes. Soc Sci Med 2009;68(7):1285-1293.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9.01.017. 

  30. Sundquist K, Eriksson U, Kawakami N, Skog L, Ohlsson H, Arvidsson D. Neighborhood walkability,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behavior: the Swedish Neighborhood and Physical Activity (SNAP) study. Soc Sci Med 2011;72(8):1266-1273.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1.03.004. 

  31. Lee HY. GIS: geomatics. Paju: Bupmunsa; 2003. 

  32. Moran PA.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s. J R Stat Soc Series B Stat Methodol 1948;10(2):243-251. 

  33. Lo CP, Yeung AK. Concepts and techniqu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7. 

  34. Lee HY, Shim JH. GIS geomatics. 2nd ed. Paju: Bupmunsa; 2012. 

  35. Choi HW, Park JM, Kim HW, Kim YO.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and Pearson's r. Ocean Polar Res 2007;29(4):391-400. DOI: http://dx.doi.org/10.4217/opr.2007.29.4.391. 

  36. Seok HS, Kang SH. A study on the regional variation factor of hypertension prevalence. Health Soc Welf Rev 2013;33(3):210-236.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3.33.3.210. 

  37. Lee KS, Choi YJ.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imary care organization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the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method. Product Rev 2013;27(2):193-214. DOI: http://dx.doi.org/10.15843/kpapr.27.2.201306.193. 

  38. Brunsdon C, Fotheringham AS, Charlton M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 method for exploring spatial nonstationarity. Geographical analysis 1996;28(4):281-298. DOI: http://dx.doi.org/10.1111/j.1538-4632.1996.tb00936.x. 

  39. Jo DG. 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the survey research of small areas. Survey Res 2009;10(3):1-19. 

  40. Sohn J.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patial agglomeration pattern among the Korean cities. J Korean Geogr Soc 2013;48(1):56-71. 

  41. Griffith DA. Spatial-filtering-based contributions to a critique of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Environ Plann A 2008;40(11):2751-2769. DOI: http://dx.doi.org/10.1068/a38218. 

  42. Anselin L, Getis A.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n Reg Sci 1992;26(1):19-33. DOI: http://dx.doi.org/10.1007/bf01581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