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철도관련 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ual Changes in Railway Organiz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9 no.2 = no.93, 2016년, pp.251 - 261  

이용상 (Department of Railroad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  정병현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Logistics, Woosong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관련 법과 조직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련 조직은 1906년부터는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시작하여 통감부 철도청, 일본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 1910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관방철도부, 경성철도관리국으로,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교통국으로 변화하여 교통전반을 관할하는 조직으로 확대 되었다. 또한 영업거리의 확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함께 철도종사원의 수도 증가하였고 충원을 위한 양성기관도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철도망의 변화와 철도노선의 건설시기 등을 살펴본 후 관련법과 철도조직의 변화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changes of railway-related organiz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studied indepth. The railway-related organizations were expanded from the Railway Management Bureau in 1906 (Residency-General). In 1910, this bureau changed to the General of Chosun Railway Bureau (Go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한다. 관련한 선행연구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철도의 특징연구에서 다루었지만 세부적인 조직 등에서는 언급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세부적인 조직변화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2].
  • 한편 영업거리의 확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함께 철도종사원의 수도 증가하였고 인력충원을 위한 양성기관도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일제강점기의 철도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철도망의 변화와 철도노선의 건설시기 등을 살펴본 후 관련법과 철도조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철도관련 법과 조직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련 조직은 1906년부터는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시작하여 통감부 철도청, 일본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 1910년 이후에는 조선총독부 철도국, 1917년 이후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이하 만철)운영 시에는 조선총독부 관방철도부, 경성철도관리국으로, 1926년 이후에는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변천하였다.
  • 예를 들면 일제강점기의 조직 구성과 관련된 제도가 미군정기 그리고 해방 후 우리철도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현재 우리철도를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 본 연구는 먼저 일제강점기의 철도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철도망의 변화와 철도노선의 건설시기 등을 살펴본 후 관련법과 철도조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한다. 관련한 선행연구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철도의 특징연구에서 다루었지만 세부적인 조직 등에서는 언급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세부적인 조직변화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처음 철도관련 조직이 등장한 시대는? 한편 조직의 변화를 살펴보면 중앙정부 차원에서 철도관련 조직은 정책조정과 기획, 그리고 집행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철도관련 조직이 등장하는 것은 대한제국 시대로서 1906년 통감부에 철도관리국을 두면서 여기에 임시철도건설부를 설치하였다. 즉 당시에 철도 관련 중앙조직은 철도의 건설을 관리하기 위한 조직으로 출발한 것이었다.
1930년대 후반에 철도망의 변화는 무엇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가? 8km로 1927년 보다 약 3,206km가 증가하였다. 아울러 1930년대 후반에는 복선화가 함께 진행되었는데 복선노선은 대륙과 연결되는 노선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전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 철도관련 조직의 변화 양상은?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관련 법과 조직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련 조직은 1906년부터는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시작하여 통감부 철도청, 일본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 1910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관방철도부, 경성철도관리국으로,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교통국으로 변화하여 교통전반을 관할하는 조직으로 확대 되었다. 또한 영업거리의 확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함께 철도종사원의 수도 증가하였고 충원을 위한 양성기관도 발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Korail(2010), Korea Railway Essential chronology, pp. 466-475. 

  2. Y.S. Lee, B.H. Chung (2013)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nd Manchuria railway systems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2), pp. 151-162. 

  3. Chosun Government General Railway (1940) Chosun Railway 40 years Brief History, pp. 578-579. 

  4. Senkyoukai (1986) Chosun Transort History, p. 8, pp. 181-184, pp. 579-585 

  5. Hakanoboru (1999) Japanese person information outline (Korea), Koseisha press, Tokyo. 

  6. Korail (2010) Korea Railway Essential chronology, pp. 466-4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