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학습 상담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연구
Enhancing Expertise as Math Academic Counselor : Self-study for Math Teach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2, 2016년, pp.225 - 249  

이희연 (분당중앙고등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수학학습 상담을 하면서 학습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을 어떻게 키워 나가는지에 대해 자기연구(Self-study)의 방법을 활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사의 수학 학습 상담의 과정과 상담의 내용, 수학학습 상담자로서의 교사의 자기 성찰의 내용과 전문성 신장 과정에 대한 자기관찰을 실시하였다. 교사는 수학 학습 상담에 맞는 상담 모형을 개발하여 총 5회의 상담을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의 수학 학습 상담 과정의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연구자는 상담 자료 분석과 자신의 상담 내용을 토대로 자기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상담 과정을 반성하였다. 또한 상담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상담 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역할과 개선할 점에 대한 조언을 얻어 상담에서 필요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위의 두 과정을 거쳐 연구자는 수학 학습 상담자로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파악하여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개선해 나가면서 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학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자기연구 과정을 통해 교사는 스스로 변화되는 모습을 겪으며 학생과 함께 변화하고 수학 학습 상담에 필요한 실천적인 지식을 습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expertise as a study advisor for mathematic teacher in field based on self-study method. By advising math study with students in schoo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process & content of mathematic study method advisement', 'process & content of the self-questioning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각 시도교육청에서 배치한 상담전문교사의 한계점은? 황매향(2009)에 의하면 많은 학생들이 학업과 관련하여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고 싶어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들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상황이 갖추어지지 않은 실정이라 한다. 현재 각 시도교육청에서 학생 상담을 위해 각 학교마다 상담전문교사를 배치하고 있지만, 학업 문제에 대한 상담보다는 주로 학교폭력 및 심리, 정서적인 문제가 있는 위기 학생들을 위주로 상담하고 있다(전인식 외, 2015). 실제로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상담에서 학생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교과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삭제) 교과 교사에게 상담을 의뢰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수학교사인 연구자가 상담 단계의 과정과 학습전략 등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연구자는 그동안 상당히 많은 학생들과 상담을 했지만, 행해왔던 수학 학습 상담은 보통 1~2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상담 내용은 학생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고 고민하기보다는 학생이 수업시간에 보이는 모습과 수학 성적 등으로 학생을 판단하고 연구자가 가진 경험적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학생들은 수학 학습 전문가인 교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점을 상담자와 함께 고민하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전략을 찾아 수학 학습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수학 학습 상담에 임한다. 따라서 수학교사인 연구자는 수학학습 상담을 통해 학생들에게 좀 더 현실적으로(학생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해 체계적인 상담 단계의 과정과 학습 전략 및 상담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교사의 역할은? 교사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교육현장의 전문가로서 각 교과의 지식을 전달하고 교과학습 중에 생기는 학생의 어려움을 진단하며 학생의 학습력 증진을 위해 적절한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황매향(2009)에 의하면 많은 학생들이 학업과 관련하여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고 싶어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들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상황이 갖추어지지 않은 실정이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호경.양길석.이환철 (2015).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4), 723-743. (Ko, H., Yang, K., & Lee, H. (2015).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Worksheet for Mathematics Academic Counsel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4), 723-743.) 

  2. 김동일.신을진.이명경.김형수.김계현.김창대 (2011). 학습상담. 서울: 학지사. (Kim, D., Shin, E., Lee, M., Kim, H., Kim, G., & Kim, Chang. (2011). Academic counseling and educational therapy. Seoul: Hakjisa.) 

  3. 김상미 (2008). 교사의 자서전을 통한 수학수업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8(4), 435-453. (Kim, S. (2008). Autobiographies of Teachers as Qualitative Inquiry on the Teaching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8(4), 435-453.) 

  4. 박선환.박숙희.우지향 (2013).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공동체. (Park, S., Park, S., & Woo, J. (2013). Guidancd and Counseling. Seoul: Kongdongche) 

  5. 박순득.천성문 (2009). 단기 학교 개인상담 모형 개발과 적용. 상담학연구, 10(1), 501-516. (Park, S., & Cheon, S.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hort-Term School Individual Counseling Model.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501-516.) 

  6. 박영은 (2015).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연구를 통한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ark, Y. (2015). A Study on Enhancing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Self-Study. doctori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Republic of Korea.) 

  7. 서제희 (2015). 자기연구(self-study)를 통한 미술교육 연구에의 적용 및 가능성. 미술과 교육, 16(1), 90-103. (Seo, J. (2015). The Possibility on the Use of "Self-Study" in Art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Art and Education, 16(1), 90-103.) 

  8. 손은령 (2010). 상담자 교육 관점에서 본 예비교사 교육의 과제. 상담학연구, 11(4), 1469-1482. (Son, E. (2010). A Study on the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or Educ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4), 1469-1482.) 

  9. 양명희.이경아 (2012).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검토. 교육과학연구, 43(2), 174-195. (Yang, M., & Lee, K. (2012). A longitudinal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3(2), 174-195.) 

  10. 이동성 (2011). 한 교사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14(2), 61-90. (Lee, E. (2011). An autoethnography on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Anthropology of Education, 14(2), 61-90.) 

  11. 이재규.김종운.김현진.박혜숙.백미숙 (2013). 학습상담. 서울: 학지사. (Lee, J., Kim, J., Kim, H., Park, H., & Beak, M. (2013). Counseling and consulting for learning. Seoul: Hakjisa.) 

  12. 이혁규.심영택.김남수.이현명 (2011).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교육문화연구, 18(2), 5-43. (Lee, H., Sim, Y., Kim, N., & Lee, H. (2011). An Inquiry into the Rationale for Self-study of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18(2), 5-43.) 

  13. 이혜정 (2010).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 18(3). 77-102. (Lee, H. (2010). Exploring Way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 for Internal Stability of Public Education, centered on Teacher's Opinion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8(3). 77-102.) 

  14. 장현덕 (2014). 효율적인 상담의 기술 기법. 상담과 지도, 49. 151-165. (Jang, H. (2014). Effective counseling skills techniques. The Korean Counselors Association, 49. 151-165.) 

  15. 전인식.김인규.이기용.김소아.김민향 .(2015). 학생상담지원센터(WEE센터) 운영 내실화를 위한 직무기준 및 평가체제 구축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Jeon, I., Kim, I., Lee, K., Kim, S., & Kim, M. (2015). Research for the job standards and evaluation system construction proposals for the enhancement of student consultation support center operations. KEDI Research Report.) 

  16. 허명연 (2010). 일반계 고등학생의 상담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 아주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Huh, M. (2010).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need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 Republic of Korea.) 

  17. 황매향 (2009). 학업문제 유형분류의 탐색. 상담학연구, 10(1), 561-581. (Hwang, M. (2009). Exploring the Taxonomy of Academic Achievement Problem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561-581.) 

  18. 황혜영 (2013). 한국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셀프 연구(self-study)의 도입.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59-80. (Hwang, H. (2013). Self-study for the Korean Teacher Educato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1), 59-80.) 

  19. LaBoskey, V. K. (2007). The methodology of self-study and its theoretical underpinnings. In J. Studying Loughran, M. Hamilton, V. LaBoskey, & T. Russel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817-869). The Netherlands: Springer Publishers. 

  20. Lassonde, C.A., Galman, S., & Kosnik, C. (2009). Self-study research methodologies for teacher educators.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21. Samaras, A. P.(2002). Self-study for teacher educators: Crafting a pedagogy for educational change. New York : Peter Lang. 

  22. Samaras, A. P., & Freese.A. R. (2006). Self-study of Teaching Practices. NY; Peter Lang Pub Inc. 유정애, 오수학 역(2012). 교육과 자기연구. 서울: 대한 미디어. 

  23. Samaras, A. P.(2011). Self-study Teacher research ; improving your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inquire. CA: SAGE Pub Inc. 임칠성, 서혁, 정영아, 전희옥, 신혜영, 최진희 역(2014). 더 나은 수업을 위한 자기스터디. 서울: 대한미디어. 

  24. Stark, S. (2006). Using action lear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Action Research, 14(1), 23-43. 

  25. Turner, S. A. (2010). Teaching research to teachers: A self-study of course design, student outcomes, and instructor learning.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0(2). 60-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