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 금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 Stage to Stop Smoking of Patients at a Public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188 - 198  

곽미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  황은정 (세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N시에 소재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Prochaska와 Diclemente의 변화단계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적용한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금연동기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들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을 프로그램 전, 2주, 6주 후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다중반복 간헐적 시계열 설계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2011년 공공보건의료프로그램 중 금연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코칭프로그램은 6주동안 중재가 진행되며, 첫방문, 2주째 방문, 6주째 방문에 제공되며, 12주째 금연 유지 상태를 점검한다. 연구대상자의 교육 전과 교육 후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과 t-test로 비교하였다. 이 연구대상자는 총 47명이며, 남자는 44명(93.62%), 여자는 3명(6.38%)으로 대부분 남자였다. 금연동기단계별 대상자 수는 실천단계가 4명(8.51%), 준비단계는 43명(91.49%)이었다.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실천단계 집단은 대부분 프로그램 전과 후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0'상태를 유지하였다. 준비단계 집단은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가 프로그램 전과 6주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병원 현장에서의 금연코칭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프로그램은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인적 재정적 부담이 더 높다. 따라서 환자들의 금연을 위해 적극적인 인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motivation stage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stop the smoking of patients in terms of the amount of smoking, nicotine dependence, CO level, and urine cotinine. The study design was a multi-repeat multi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N시에 소재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이 연구는 일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금연 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금연클리닉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기 위함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몇 가지 금연프로그램 중재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Prochaska와 Diclemente의 변화단계모형 (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적용한 금연동기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들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 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을 프로그램 전, 2주 후, 6주 후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다중반복 간헐적 시계열 설계연구이다.
  • 이 연구는 일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금연 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금연클리닉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기 위함이었다.
  • 흡연 개비수가 많을수록 흡연량이 많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흡연량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 보고 형태로 조사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N시에 소재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환자의 흡연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더욱이 환자들에게 흡연은 더욱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술 환자의 흡연은 수술 전후 또는 수술 중 합병증의 발생 및 감염성 질환의 발현 유무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또한 관상동맥질환 자가 지속적으로 흡연한 경우 금연한 환자에 비해 유의 하게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Prochaska와 Diclemente의 변화단계모형에서는 흡연을 비롯한 습관성 물질에 의존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Prochaska와 Diclemente의 변화단계모형 (Transtheoretical Model, TTM)은 금연동기의 단계 및 그에 따른 전략을 제시하여 금연프로그램에 흔히 활용되고 있다. 이 모형에서 행태변화는 사건이 아닌 과정이라는 기본 전제하에, 흡연을 비롯한 습관성 물질에 의존성이 심한 환자들의 심리상태를 5단계 즉, 고려전기, 고려기, 준비기, 실천기, 유지기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10]. Prochaska에 의하면 변화단계모형에서 한 사람이 금연 동기의 어느 단계에 있느냐를 확인하고 그 단계에 따라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흡연은 건강에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흡연은 모든 암의 30%가량의 원인이며, 각종 호흡기질환과 관상동맥 질환, 고지혈증의 발병을 높이는 등 매우 위험한 건강위해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1]. 더욱이 환자들에게 흡연은 더욱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 J. Kim, The motivational change on smoking cessation after mass-education for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001. 

  2. Y. R. Kim, Effects of motivational enhancem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smoking behaviors,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and stage of change in the hospitaliz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12. 

  3. J. H. Kong, Y. M. Ha,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including telephone counseling and text messaging using stages of change for outpatients after a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4), p.557-567.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557 

  4. J. H. Lee Effects of bypass graft of atherosclerotic arterial obstruction in the lower extrem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012. 

  5. Y. Raymond. et al. The impact of physician's brief smoking cessation counceling: a MIRNET study. JFP, 31, p.625-629, 1991 

  6. World Health Organization. Manual and self-assessment form.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7. Y. R. Han, E. H. Ha, H. S. Park, B. E. Lee, Motivation of adolescents smoking cessation : use of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1). p.55-71. 2005. 

  8. Y. S. Ha, Y. H. Choi, The effectiveness of a autonomous regulation improvem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daily smoking, perceived motivatin, cotinine in saliva, and autonomous regulation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d.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p.6169-6179.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169 

  9. J. Prochaska, et al., Counselor and stimulus control enhancements of a stage-matched expert system intervention for smokers in a managed care setting. Preventive Medicine, 32, p.23-32. 2001. DOI: http://dx.doi.org/10.1006/pmed.2000.0767 

  10. K. Lee, M. Lee,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through a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program on expiratory CO concentration, BMI, blood pressur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in smoking cessation succes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2), p.234-246, 2008.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Public Health Program Guidelin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12. F. Faul, E. Erdfelder, A-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p.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3. K. O, Fagerstrom. Measur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y to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ive Behaviors, 3, p.235-241, 1978. DOI: http://dx.doi.org/10.1016/0306-4603(78)90024-2 

  14. T. F. Heatherton, L. T. Kozlowski, R. C. Frecker, K. O. Fagerstrom.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ence Questonnaire. Br J Addict, 86(9), p.1119-1127, 1991. DOI: http://dx.doi.org/10.1111/j.1360-0443.1991.tb01879.x 

  15. M. J. Jarvis, M. Belcher, C. Vesey, D. C. Hutchison, Low cost carbon monoxide monitors in smoking assessment. Thorax, 41(11), p.886-887, 1986. DOI: http://dx.doi.org/10.1136/thx.41.11.886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clinic program guidelin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7. L. E. Wagenknecht, G. L. Burke, L. L. Perkins, N. J. Haley, G. D. Friedman, Misclassification of smoking status in the CARDIA study : a comparison of self-report with serum cotinine levels. AJPH, 82(1), p.33-36, 1992. DOI: http://dx.doi.org/10.2105/AJPH.82.1.33 

  18. J. Y. Sim, N. Y. Han, Y. S. Cheong, S. M. Yoo, E. W. Park, Smoking cessation success associated factors in smoking cessation clinic.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3(3), p. 325-333, 2002. 

  19. J. T. Choi, Factors associated smoking cessation success among nicotine dependence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92. 

  20. C. H. Kim, H. G. Seo, Factors associated smoking cessation success of smokers visited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2(11), p.1603-1611. 2001. 

  21. K. H. Seo, S. M. Le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hort-term and long-term abstention following a smoking cess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1), p.137-151. 2004. 

  22. Y. S. Lim, M. S. Lee, J. Y. Hong, H. S. Kim, E. Y. Kim, Factors relating to success to quit smoking among citizens receiving smoking-cessation clinics services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8), p.5169-5175.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8.5169 

  23. Y. S. Ha, Effects of motivation interview smoking program on smoking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9. 

  24. T. M. Song, J. Y. Lee K. S. Choi,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2), p.19-30, 2008. 

  25. A. E. J. M. Cavelaars, A. E. Kunst, J. J. M. Geurts, R. Crialesi, L. Grotvedt, U. E. Helmert, E. Lahelma, O. Lundberg, J. Matheson, A. Mielck, N. Kr. Rasmussen, E. Regidor, M. do Osario-Giraldes, T. H. Spuhler, J. P. Mackenbach. Educational differences in smoking: international comparison. BMJ, 320(7242), p.1102-1107, 2000. DOI: http://dx.doi.org/10.1136/bmj.320.7242.1102 

  26. M. Bobak, M. J. Jarvis, Z. Skodova, & M. Marmot. Smoke intake among smokers is higher in lower socioeconomic groups. Tob Control, 310-312, 2000. DOI: http://dx.doi.org/10.1136/tc.9.3.310 

  27. E. Fernandez, A. Schiaffino, M. Garcia, J. M. Borras. Widening social inequalities in smoking cessation in Spain, 1987-1997.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5, 729-730, 2001. DOI: http://dx.doi.org/10.1136/jech.55.10.729 

  28. B. Galobardes, M. C. Costanza, M. S. Bernstein, C. Delhumeau, A. Morabia, Trends in risk fact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by socioeconomic position in Geneva, Switzerland, 1993-2000: health inequalities persis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 1302-1309, 2003. DOI: http://dx.doi.org/10.2105/AJPH.93.8.1302 

  29. C. Michael, E. Thomas, P. John, J. Evridiki, M. Kantilal, & M. Ronald.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JAMA. 261(1), p.49-55, 1989. DOI: http://dx.doi.org/10.1001/jama.1989.03420010059033 

  30. E. Kim, H. Choi, Effects of a smoking cession program using telephone counselling and text messaging for patients after ischemic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p.7248-7258,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7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