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산 대산항-위해항 카페리 항로의 물동량 추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reight volume of car ferry route between Seosan-Daesan Port and Weihai Port activation plan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6 no.1, 2020년, pp.91 - 104  

이정욱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윤경준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산 대산항은 국내 무역항 중 물동량 6위의 항만이며, 항만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항만 인프라 확장, 정기항로 개발, 해외 마케팅, 항만인센티브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중국 위해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정기노선개설을 계획 중인 상황으로 이에 대한 수요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산 대산항의 대 중국(위해시)카페리 항로 개설 타당성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제공을 목표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항로는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에 개설되어 있으며, 연도별로 약간의 등락은 있으나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서산 대산항에서 위해시로 가는 카페리 항로가 개설될 시 창출 가능한 물동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산 대산항이 위치한 충청남도 지역으로부터 국내 각 항이 위치한 지역으로의 국내 화물물동량을 분석한 후, 국내 각 항에서 위해시로 카페리를 통해 운송되는 물동량을 파악하여 서산 대산항에서 중국 위해항으로 운송될 수 있는 카페리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2020년 기준 여객 약 76,000명, 화물 약 5만톤 정도의 물동량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책제언으로 카페리 여객 활성화를 위한 전략, 카페리 화물물동량 확보를 위한 전략 및 항만인센티브제도의 도입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san-Daesan Port is the sixth largest port in Korea, and it promotes port infrastructure expansion, regular route development, overseas marketing, and port incentive systems for continuous growth. In addition, the port is planning to open a regular car ferry line to Weihai, China. This study ai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산 대산항이 위해항 카페리 항로 개설시 향후 창출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물동량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급변하는 국제 여객 및 화물 수요의 흐름을 고려하여 서산 대산항이 더욱 경쟁력을 지닌 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산 대산항이 위해항 카페리 항로 개설시 향후 창출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물동량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급변하는 국제 여객 및 화물 수요의 흐름을 고려하여 서산 대산항이 더욱 경쟁력을 지닌 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화물물동량과 항만의 카페리 수송실적을 이용하여 향후 서산 대산항에서 카페리 운항이 시작될 시 창출 가능한 물동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한국교통연구원의 국가교통DB자료를 이용하여 충청남도(대산항)와 서해안 타 항만(인천항, 평택ㆍ 당진항, 군산항)이 위치하는 지역 간 물동량을 추출하였다. 분석에는 카페리의 주요 수입원으로 예상되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산출된 물동량 중 일부를 향후 서산 대산항에서 창출할 수 있는 잠재물동량으로 가정하였다.
  • 둘째, Port-mis에서 제공하는 항만 품목별 물동량 자료를 이용하여 대산항 및 기타 항만의 물동량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산 대산항에서 카페리 운항이 시작되면 인천항, 평택ㆍ당진항, 군산항의 항만 카페리 물동량 수요 중 일부를 서산 대산항으로의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 충청남도에서 수출을 위해 타 항만으로 이동하는 국내 화물물동량과 반대로 타 항만에서 수입되어 충청남도로 이동하는 화물물동량 OD를 분석하였다. 충청남도에서 타 항만이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수출 화물로 가정하고, 반대로 타 항만이 위치한 지역에서 충청남도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수입 화물로 가정하였다. 유출 컨테이너 물동량의 경우 충청남도에서 평택시로의 이동이 68만 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광역시, 군산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산 대산항의 특징은 무엇인가? 서산 대산항은 국내 무역항 중 물동량 6위의 항만이며, 항만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항만 인프라 확장, 정기항로 개발, 해외 마케팅, 항만인센티브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중국 위해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정기노선개설을 계획 중인 상황으로 이에 대한 수요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국내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항로는 어디에 있는가? 본 연구는 서산 대산항의 대 중국(위해시)카페리 항로 개설 타당성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제공을 목표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항로는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에 개설되어 있으며, 연도별로 약간의 등락은 있으나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서산 대산항에서 위해시로 가는 카페리 항로가 개설될 시 창출 가능한 물동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산 대산항이 위치한 충청남도 지역으로부터 국내 각 항이 위치한 지역으로의 국내 화물물동량을 분석한 후, 국내 각 항에서 위해시로 카페리를 통해 운송되는 물동량을 파악하여 서산 대산항에서 중국 위해항으로 운송될 수 있는 카페리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대산항에서 위해시로 가는 항로의 물동량 창출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카페리 항로는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에 개설되어 있으며, 연도별로 약간의 등락은 있으나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서산 대산항에서 위해시로 가는 카페리 항로가 개설될 시 창출 가능한 물동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산 대산항이 위치한 충청남도 지역으로부터 국내 각 항이 위치한 지역으로의 국내 화물물동량을 분석한 후, 국내 각 항에서 위해시로 카페리를 통해 운송되는 물동량을 파악하여 서산 대산항에서 중국 위해항으로 운송될 수 있는 카페리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2020년 기준 여객 약 76,000명, 화물 약 5만톤 정도의 물동량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정은.오진호.우수한. 유류 화물 항만물동량 예측모형 개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8. 34(1), 81-98. 

  2. 박근식."한중 카페리 선사의 컨테이너 운송의 경쟁력에 대한 연구." 국제상학, 2013: 115-137. 

  3. 박성은.안승범.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수도권항만 카페리 선사의 발전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8. 34(1), 111-132. 

  4. 우수한.오진호.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제주항 물동량 예측". 2018. 한국물류학회지, vol. 28, pp.29-40. 

  5. 원양연.김도근, "부산항.광양항 인센티브제도의 문제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집, 제1호, 2013. 23-45. 

  6. 유주영.김운수.한종길. "한-중-일 카페리를 이용한 Korea Mini Land Bridge 복합운송의 잠재화물 연구 -인천항을 중심으로-".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2 :401-423. 

  7. 윤경준.김성영.안승범, "서산 대산항 국제여객선 취항에 따른 지역경제 유발효과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8. 제34집, 제2호, 17-30. 

  8. 윤경준.안승범, "우리나라 항만 인센티브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8 한국항만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9. 윤경준.안승범.이향숙, "AHP를 이용한 서산 대산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2018.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4집, 제4호, 39-52. 

  10. 이아영.,김동진, "한 . 중 카페리 항로의 항만경쟁력에 관한 연구: 환황해권 항만을 중심으로" 2019. VOL.15 NO.3 :713-729. 

  11. 인천대학교, 한.중 해운회담 20년 한.중 해운협력 성과 및 향후 발전방안 연구 2012. 

  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센티브 지급 개선방안 수립 연구, 2013. 

  13. 하명신.김철민.장병기, "항만인센티브제도의 효과에 대한 전략적 분석: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1. 제27집, 제2호, 355-372. 

  14. 한국교통연구원 KTDB. 

  15.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서산 대산항이 서산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17. 

  1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광양항 인센티브제도 개선용역, 2010. 

  17. 해양수산부 통계자료. 

  18.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PORT-M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