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수학교사의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 탐색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2, 2016년, pp.269 - 285  

박경미 (홍익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발하게 탐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PCK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에 주목하고, 예비수학교사들의 KCS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로부터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을 자유응답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답변을 기술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한 학습자의 전형적인 오류, 학습자의 내용 이해, 학습자의 발달 계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수학적 관점 혹은 교육적 관점을 갈등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혹은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in the field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 in general.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 characterize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he distin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rom neighboring disciplines, PCK is one of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승현이 제시한 PCK의 4가지 측면은 무엇인가? 박선영, 강완(2012)은 설문조사와 수업 관찰을 통해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3명의 PCK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최승현(2007)이 제시한 PCK의 네 가지 측면인 수학 내용 지식,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 하고 초등학교 교사의 PCK를 조사하였으며,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해 설문조사의 한계를 보완 하였다. 전미현, 김구연(2015)은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KT) 수준을 검증 하는 문항 개발을 확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등 예비수학교사 54명을 대상으로 MKT 수준을 측정하였다.
PCK가 학계에 등장한 것은 언제인가? 실제 PCK는 수학 교육학(박선영, 강완, 2012; 박경미, 2009; 임미인, 장혜원, 2015; 전미현, 김구연, 2015; 최승현, 2007; 최승현, 황혜정, 2008 등)과 과학교육학(곽영순, 2007; 조희형, 고영자, 2008 등) 뿐 아니라 일반 교육학(양미경, 2009 등)에서도 관심을 가져왔다. PCK가 학계에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중반이다. 1985년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의 회장인 Shulman은 연례학회에서 강연을 했고 이를 정련한 논문 Shulman(1986, 1987)에서 내용과 무관한 기술(content-free skill)과 순수한 내용 지식(mere content knowledge) 사이에 누락된 패러다임(missing paradigm)을 지적 하고, 이를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으로 명명 했다.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는 질문3의 ‘직선’과 같이 여러 영역에서 다면적으로 다루어지는 수학 개념에 대한 해석의 문제이다. 예비교사들로부터 여러 해석이 제기되기는 했지만, 각각의 교사로 국한한다면 다양한 관점에서 직선의 방정식을 바라보고 있지는 못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그리고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도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곽영순(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I 2007-3-3. 

  2. 도종훈(2008). 직선의 대수적 표현과 직선성(直線性)으로서의 기울기. 수학교육 논문집, 22(3), 337-347. 

  3. 박경미(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수학교육, 48(1), 97-109. 

  4. 박선영, 강완(2012).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4), 295-515 

  5. 양미경(2009).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과제. 교육원리연구, 14(2), 45-64. 

  6. 이연숙(2006).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및 그 표상(PCKr)의 개념적 정의와 분석도구 개발: 예비 과학교사의 '힘과 에너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7. 이용숙, 김영천(1999).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8. 임미인, 장혜원(2015). 수 $\div$ 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5(4), 657-673. 

  9. 전미현, 김구연(2015).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91-715. 

  10.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11. 최승현(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I 2007-3-2. 

  12. 최승현, 황혜정(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 (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13. Buchholtz, N., Leung, F. K. S., Ding, L., Kaiser, G., Park, K., and Schwarz, B. (2013). Futur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of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ZDM, 45. 103-120. 

  14. Cochran, K. F., DeRuiter, J., King, R.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15.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16. Klein, F. (1932).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 Algebra, Analysis (Vol. 1, 3rd ed., E. R. Hedrick & C. A. Noble, trans). New York: Macmillan. 

  17. Schmidt, W. H., Tatto, M. T., Bankow, T. K., Blomeke, S., Cedillo, T., Cogan, L., Han, S. I., Houang, R., Hsieh, F. J., Paine, L., Santillan, M., Schwille, J. (2007). The Preparation Gap: Teach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Six Countries. MSU Center for Research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1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1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