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나무 열매 isoflavonoid 화합물에 대한 정량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Isoflavonoid Compounds from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6년, pp.337 - 349  

윤순영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김석주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심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 및 정제한 isoflavonoid 성분에 대하여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을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를 methanol로 추출하여 n-hexane, ethyl acetate, 물 순으로 분액 후, ethyl 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컬럼과 sephadex LH-20 컬럼을 사용하여 4종의 isoflavonoid들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4종의 isoflavonoid들은 기기분석(UV-Vis spectroscopy, ESI-MS, $^1H\;NMR$, $^{13}C\;NMR$)을 통하여 alpinumisoflavone, 6,8-diprenyl orobol, 6,8-diprenyl genistein, 4'-O-methylalpinumisoflavone으로 확인 및 동정하였다. 이 성분들을 2% acetic acid 용액(용매 A)과 2% acetic acid가 함유된 MeOH 용액(용매 B)을 기울기 이동상으로 하여 $C_{18}$ 컬럼이 장착된 UPLC로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I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가이드라인에 기술된 선택성, 직선성, 정량한계, 검출한계, 정확성 및 정밀성을 측정하여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열매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숙과는 7월과 8월에 각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9월에는 감소하였고, 성숙과의 경우 9월 미숙과 보다 각 성분들이 전반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nalytical method to evaluate the quality of isoflavonoid compounds purified and isolated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s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The fruits of C. tricuspidata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은 모두 콩류를 사용한 식품을 기준으로 한 규정으로, 꾸지뽕 나무 열매에 대한 함량기준에 관한 규정은 없기 때문에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함량기준에 관한 규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함량분석법의 개발 및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각지에서 재배되며 민간에서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꾸지뽕나무 열매의 성분 함량기준에 관한 규정이 없는 점에 착안하여 주성분인 isoflavonoid 성분을 분리 동정하고, UPLC-PDA를 이용 다성분 함량분석을 실시하여 꾸지뽕나무 열매에 대한 성분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검증한 후, 시기별 함량을 조사하여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 기존 문헌 조사에서는 구지뽕나무 가지에 대한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개발(Seo, 2012)이 있으나 꾸지뽕나무 열매에 대한 지표성분 분석은 찾을 수 없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성분들에 대한 시기별 함량을 제시함으로 꾸지뽕나무 열매를 이용한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꾸지뽕나무 열매의 지표 성분 설정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 지표성분 설정을 위해서는 지역별, 시기별 꾸지뽕나무 열매의 함량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 열매의 성분을 밝히고 각 성분의 함량 분석을 위한 method validation 행하여 동시분석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문헌 조사에서는 구지뽕나무 가지에 대한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개발(Seo, 2012)이 있으나 꾸지뽕나무 열매에 대한 지표성분 분석은 찾을 수 없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꾸찌봉 나무로 부터 isoflavonoid 성분을 어떻게 분리했는가?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 및 정제한 isoflavonoid 성분에 대하여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을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를 methanol로 추출하여 n-hexane, ethyl acetate, 물 순으로 분액 후, ethyl 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컬럼과 sephadex LH-20 컬럼을 사용하여 4종의 isoflavonoid들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4종의 isoflavonoid들은 기기분석(UV-Vis spectroscopy, ESI-MS, $^1H\;NMR$, $^{13}C\;NMR$)을 통하여 alpinumisoflavone, 6,8-diprenyl orobol, 6,8-diprenyl genistein, 4'-O-methylalpinumisoflavone으로 확인 및 동정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 및 정제한 성분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 및 정제한 isoflavonoid 성분에 대하여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을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를 methanol로 추출하여 n-hexane, ethyl acetate, 물 순으로 분액 후, ethyl 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컬럼과 sephadex LH-20 컬럼을 사용하여 4종의 isoflavonoid들을 분리하였다.
꾸지뽕나무는 어떤 나무인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 (Moraceae)에 속하며 동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낙엽 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는 식품원료로써 사용가능하고 한방에서는 잎, 열매, 줄기 등이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암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Choi 등, 2012; Jung 등, 2013; Koh 등, 2014; Kim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S.R., You, D.H., Jang, I., Ahn, M.S., Song, E.J., Seo, S.Y., Choi, M.K., Kim, Y.S., Kim, M.K., Choi, D.G. 2012.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3): 153-158. 

  2.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 115-120. 

  3. Collison, M.W. 2008. Total soy isoflavones in dietary supplements, supplement ingredients, and soy foods.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91(3): 489-500. 

  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ICH). 2005.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Q2 (R1). http://www.ich.org/fileadmin/Public_Web_Site/ICH_Products/Guidelines/Quality/Q2_R1/Step4/Q2_R1__Guideline.pdf 

  5. Jeong, C.H., Choi, G.N., Kim, J.H., Kwak, J.H., Jeong, H.R., Kim, D.O., Heo, H.J. 2010. Protec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9(4): 1119-1117. 

  6. Jung, G.T., Ju, I.O., Choi, S.R., You, D.H., Noh, J.J. 2013.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0(3): 330-335. 

  7. Kim, H.J. 2012.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8. Kim, S.J., Lee, K.-T., Youe, W.-J., Lee, S.-S., Kim, Y.S. 2014. Structure analysi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unripe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740-746. 

  9. Koh, B.S., Park, H.J., Kim, S.R., Moon, I.J., Leem, D.W., Park, K.H., Lee, J.H., Park, J.-W. 2014. Adverse drug reactions after taking the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5): 387-390.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8. Guide on standardiza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 developer. KFDA. Korea. pp. 40-47. 

  1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14.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FDA. Korea. pp. 340-347. 

  12. Lee T.H., Kwon, J.Y., Lee, D.H., Mar, W.C. 2015.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and its active compound, 5,7,3',4'-tetrahydroxy-6,8-diprenylisoflavone, on the high-affinity IgE receptor-mediated activation of Syk in mast cell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y 63: 5459-5467. 

  13. Mauricio A.R., Miguel P., Carmelo G.B. 2003.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soy isoflavone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012: 119-128. 

  14. Mauricio A.R., Miguel P., Carmelo G.B. 2005. Solid-phase extraction of soy isoflavone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076: 110-117. 

  15. Qizhen D., Zhonghua L., Yoichiro I. 2001. Preparative separation of isoflavone components in soybeans using high-speed conter-current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923: 271-274. 

  16. Radka M., Petr H., Pavel H., Vojtech A., Sona K., Ladislav H., Marie S. 2007. Determination of isoflavon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Acta Chimica Slovenica 54: 92-97. 

  17. Seo, M.J., Kang, B.W., Park, J.U., Kim, M.J., Lee, H.H., Kim, N.H., Kim, K.H. Rhu, E.J., Jeong, Y.K. 2013. Effect of fermented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on the generation of the cytokines in mouse spleen cells. Journal of Life Science 23(5): 682-688. 

  18. Seo, J.Y. 2012. Simultaneous analysis of main compoun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stem by HPLC.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19. Uddin, G.M., Lee, H.J., Jeon, J.S., Chung, D.H., Kim, C.Y. 2011. Isolation of prenylated iso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that inhibit A2E photooxidantion. Natural Product Sciences 17(3): 206-211. 

  20. USP Monograph. 2011. USP32-NF29; Soy isoflavones.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pp. 1236. 

  21. Xiang, H.H., Hong, S.S., Hwang, J.S., Heong, S.H., Hwang, J.H., Lee, M.H., Lee, M.K., Lee, D.H., Ro, J.S., Hwang, B.Y. 2005. Monoamine oxidas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8(12): 1324-1327. 

  22. Xiang, H.H., Hong, S.S., Qinghao, J., Dayu, L., Kim, H.K., Lee, J., Kwon, S.H., Lee, D.H., Lee, C.K., Lee, M.K., Hwang, B.Y. 2009. Prenylated and benzylated flavonoids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Journal of Natural Products 72(1): 164-167. 

  23. Youn, K.S., Kim, J.W. 2012.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subjec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10): 1388-1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