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for Influenza Infection Control by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2, 2016년, pp.161 - 171  

손정아 (예수병원 감염관리실) ,  양영란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influenz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in nurses, including knowledge about, and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68 nurses who worked at a hospital in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식, 이행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상관관계와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플루엔자 감염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인플루엔자 감염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식과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 간에는 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인플루엔자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인식, 지식 같은 변수가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이행정도를 3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유행 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인플루엔자 감염관리 관련 특성, 지식, 인식, 이행도로 구분하여, 각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병원 내 인플루엔자를 포함한 호흡기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감염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플루엔자는 어떤 질환인가?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기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11월부터 그 다음 해 4월까지 유행하며 특히 12월과 1월에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인플루엔자와 관련한 국내 역학 자료는 부족한 상태이나 인플루엔자와 폐렴으로 인한 초과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0.
의료기관 내에서의 인플루엔자 감염 비율은? 의료기관 내에서의 인플루엔자 감염은 입원환자 100명 당 평균 0.3에서 0.8의 비율로 발생한다[3-4]. 인플루엔자 집단유행이 발생한 의료기관에서는 인플루엔자 발병률이 0.
간호사의 인플루엔자 감염 위험이 높은 이유는? 의료 환경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환자와 환자 사이에서 뿐 아니라 의료종사자와 방문객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의료기관내에서의 인플루엔자 유행은 지역사회와 인플루엔자 유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플루엔자 유행시기가 되면 관련 증상이나 유사증상이 있는 환자들이 병원으로 몰려들게 되어, 이러한 환자들과 가장 먼저 접촉하고 간호하게 되는 간호사의 경우 감염 위험은 높을 수 밖에 없다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HJ, Chun BC, Hann HJ, Sohn JW, Kee SY, Kim SH, et al. Incidence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among school-based populations in Korea. Infection & Chemotherapy. 2012;44(6):431-438. http://dx.doi.org/10.3947/ic.2012.44.6.431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Weekly sentinel surveillance report 2016-6 [Internet]. Seoul: KCDC; 2016 Feb 11 [cited 2016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84&cid67132&ctype1. 

  3. Lee JS, Nsa W, Hausmann LR, Trivedi AN, Bratzler DW, Auden D, et al. Quality of care for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for pneumonia in the United States, 2006 to 2010.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ternal Medicine. 2014;174(11):1806-1814. http://dx.doi.org/10.1001/jamainternmed.2014.4501 

  4. Weinstock DM, Eagan J, Malak SA, Rogers M, Wallace H, Kiehn TE, et al. Control of influenza A on a bone marrow transplant unit.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00;21(11):730-732. http://dx.doi.org/10.1086/501726 

  5. Jones RM, Xia Y. Occupational exposures to influenza among healthcare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6;13(3):213-222. http://dx.doi.org/10.1080/15459624.2015.1096363 

  6. Munoz FM, Campbell JR, Atmar RL, Garcia-Prats J, Baxter BD, Johnson LE, et al. Influenza A virus outbreak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999;18(9):811-815. 

  7. Malavaud S, Malavaud B, Sandres K, Durand D, Marty N, Icart J, et al. Nosocomial outbreak of influenza virus A (H3N2) infection in a solid organ transplant department. Transplantation. 2001;72(3):535-537. 

  8. Baek JH, Seo YB, Choi WS, Kee SY, Jeong HW, Lee HY, et al. Guideline o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seasonal influenza in healthcare setting.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4;29(2):265-280. http://dx.doi.org/10.3904/kjim.2014.29.2.265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terim guidance on infection control measures for 2009 H1N1 influenza in healthcare settings, including protection of healthcare personnel. [Internet]. Atlanta: CDC; 2010 July 15 [cited 2016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1n1flu/guidelines_infection_control.htm.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Epidemic-prone & pandemic-prone acute respiratory diseas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August [cited 2016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sr/resources/publications/WHO_CDS_EPR_2007_8/en/.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Epidemic-prone & pandemic-prone acute respiratory diseases-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health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April [cited 2016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sr/resources/publications/aidememoireepidemicpandemid/en/. 

  12. Macintyre CR, Seale H, Yang P, Zhang Y, Shi W, Almatroudi A, et al. Quantifying the risk of respiratory infection in healthcare workers performing high-risk procedures. Epidemiology and Infectection. 2014;142(9): 1802-1808. http://dx.doi.org/10.1017/S095026881300304X 

  13. Yang NY, Choi JS. Influenza A (H1N1) regional base hospital nurse's knowledg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6):593-602. 

  14. Park GS. The study on the health center avian influenza work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al skills about management of avian influenza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06. 

  15. Park YS. A perceived level of preparedness amongst healthcare workers for pandemic influenz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16. Choi JS, Choi JS, Park SM. Relationship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an influenza A (H1N1) base-zon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85-94. 

  17. Choi JS, Yang NY. Perceived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preventive behavior on influenza A (H1N1)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3):250-259. 

  18. Ma X, He Z, Wang Y, Jiang L, Xu Y, Qian C, et 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care workers in Chinese intensive care units regarding 2009 H1N1 influenza pandemic. BioMed Central Infectious Diseases. 2009;11(24):1471-2334. http://dx.doi.org/10.1186/1471-2334-11-24 

  19. Evirgen O, Savas N, Koksaldi Motor V, Onlen Y, Yengil E. An evaluation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an H1N1 influenza pandemic. Journal of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2014;8(5):561-569. http://dx.doi.org/10.3855/jidc.3400 

  20. Yap J, Lee VJ, Yau TY, Ng TP, Tor PC.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s pandemic influenza among cases, close contacts, and healthcare workers in tropical Singapore: a cross-sectional survey.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2010;10(442):1471-2458. http://dx.doi.org/10.1186/1471-2458-10-442 

  21. Gralton J, Tovey E, McLaws ML, Rawlinson WD. The role of particle size in aerosolised pathogen transmission: a review. Journal of Infection. 2011;62(1):1-13. http://dx.doi.org/10.1016/j.jinf.2010.11.010 

  22. Gralton J, Rawlinson WD, McLaws ML. Health care workers' perceptions predicts uptak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3; 41(1):2-7. http://dx.doi.org/10.1016/j.ajic.2012.01.019 

  23. Dominguez A, Godoy P, Castilla J, Soldevila N, Toledo D, Astray J, et al.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influenza vaccination in healthy primary healthcare workers in Spain, 2011-2012. PLoS One. 2013;8(11):e8120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81200 

  24. Cha KS, Yoo SY, Kim KM, Wie SH, Shin WS. Healthcare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fluenza vaccination at th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5:10(2);87-95. 

  25. Park KY.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Seoul: Hakjisa; 2007. 

  26.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2):175-183. 

  27. Rukmanee N, Yimsamran S, Rukmanee P, Thanyavanich N, Maneeboonyang W, Puanqsa-art S, et al.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regarding influenza A (H1N1) among a population living along Thai-Myanmar border, Ratchaburi province, Thailand.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4;45(4):825-833. 

  28. Hines L, Rees E, Pavelchak N. Respiratory protection policies and practices among the health care workforce exposed to influenza in New York State: evaluating emergency preparedness for the next pandemic.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4;42(3):240-245. http://dx.doi.org/10.1016/j.ajic.2013.09.013 

  29. Siegel JD,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7;35(10 Suppl 2):S65-164. http://dx.doi.org/10.1016/j.ajic.2007.10.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