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1, 2016년, pp.155 - 165  

이선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전선영 (국립공주병원) ,  김윤영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to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Methods : In this study, 273 data was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of K-university in South Korea from Sep. 2015 to Nov. 2015, and th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 존중감, 셀프리더십을 분석하여 변수 간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학년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셀프 리더십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최근 간호대학에서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에서 역량 있는 간호리더로서 전문직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간호교육의 4년제 일원화 및 간호교육 인증평가 등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간호교육의 최근 동향을 바탕으로 간호교육 성과 측정 개념의 하나인 비판적 사고와 이러한 비판적 사고의 바탕이 되는 자아존중감이 전문직 간호사의 기본적인 자질로 요구되는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자아존중감, 셀프 리더십의 관계를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교육성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역량 있는 간호리더 양성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스로가 가지는 비판적 사고경향과 자아존중감은 어떠한 역량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가치 있는 사람으로 지각하는 자아존중감[10]이 바탕이 될 때 비판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스스로가 가지는 비판적 사고경향과 자아존중감은 셀프리더십을 이끌어낼 수 있다. 즉 셀프리더십이 개인차원에서는 자기관리, 자아실현, 자아존중감 등 개인의 내적 특성과 관련 있으며, 조직차원에서는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과 연관이 있음을 고려할 때[11] 미래 간호리더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로 인한 자아존중감의 증가가 무엇을 초래하는가? 이러한 비판적 사고는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사고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새로운 경험에 대해 수용적이며, 자기 자신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할 뿐 만아니라 자신의 결정능력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도와주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증가하게 된다[5][6]. 더욱이 리더십의 원천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자신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므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개인은 스스로 리더로서 성장할 수 있다[7].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을 존중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가치 있는 사람으로 지각하는 자아존중감[10]이 바탕이 될 때 비판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스스로가 가지는 비판적 사고경향과 자아존중감은 셀프리더십을 이끌어낼 수 있다. 즉 셀프리더십이 개인차원에서는 자기관리, 자아실현, 자아존중감 등 개인의 내적 특성과 관련 있으며, 조직차원에서는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과 연관이 있음을 고려할 때[11] 미래 간호리더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J. Yune, S.J. Shin, E.Y. Lee(2007), A Study on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n Vocational Personali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19(2);206-218. 

  2. J.W. Park, C.J. Kim, Y.S. Kim, M.S. Yoo, H.R. Yoo, S.M. Chae, J.A. Ahn(2012), Original Article :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4(3);223-231. 

  3. N.C. Facione, P.A. Facione, C.A. Sanchez(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3;345-350. 

  4. K.R. Shin, J.Y. Ha, K.H. Kim(2005), The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2);382-389. 

  5. J.I. Lee(2009),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2);166-174. 

  6. A.S. Wafika, H. Jehad(2007), Critical Thinking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of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27;162-168. 

  7. A. Nelson(2000), A Nursing Theory for Nursing Leadership,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8;83-87. 

  8. C.L. Dolbier, M. Soderstrom, M.A. Steinhardt(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Psychology, Vol.135;469-485. 

  9. T. Diliello, J.D. Hohghton(2006), Maximizing Or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4);319-337. 

  10. B. Gray-Little, V.S.L. Williams, T.D. Hancock(1997),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the Rosenberg Self Esteem Sca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3;443-451. 

  11. Y,S. Kang, Y.J. Choi, D.L. Park, I.J. Kim(2010),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16(2);143-151. 

  12. H.J. Won(2015),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1);123-131. 

  13. H.J. Park(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2);227-236. 

  14. J. Yoon(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Unpublished of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pp.1-64. 

  15. C.H. Kim(1995), A Study on the Problem of Returnees's Adaptation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p.1-79. 

  16. C.C. Manz, H.P. Sims(1986), Leading Self-managed Groups : A Conceptual Analysis of a Paradox,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Vol.7;141-165. 

  17. H.S. Kim(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as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pp.1-83. 

  18. G.S. Jeong, K.A. Kim, J.A. Seong(2013),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3);413-422. 

  19. S.M. Park, I.G. Kwon(2007),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7(6);863-871. 

  20. S.A. Yang, D.Y. Jung(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16(1);156-165. 

  21. S.H. Yu, J.H. Kang(2015),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Disposition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6);197-203. 

  22. M.S. Kim(2011),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2);159-167. 

  23. H.K. Oh(2003),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15(2);278-286. 

  24. H.Y. Jung, J.O. Kwon(2013), A Study on the Stress, Self-Esteem, and Mental-Heal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191-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