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과 간호서비스 질
Person-centered Ca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309 - 318  

사공혜 (광안참사랑요양병원) ,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centered care (PCC)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4 nurses working in 8 long-term care hospitals. Instruments for evaluating PCC and nursing service quality were us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인간중심돌봄 제공이 장기요양기관에서의 돌봄의 질을 향상시킨다면[20], 일차적으로 요양병원에서 주 돌봄 제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인식과 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서비스 질과의 상관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돌봄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서비스 질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추후 요양병원에서의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중심돌봄의 핵심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인간중심돌봄의 개념을 병원에서는 ‘환자중심돌봄(patient centered care)’, 요양시설에서는 ‘거주자 중심돌봄(resident centered care)’으로 장소에 따라 다르게 명명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인간중심돌봄’으로 통칭하고 있다[7]. 인간중심돌봄의 핵심적인 요소는 환자의 신체적 ․ 사회적 ․ 정서적 ․ 영적인 부분을 모두 고려한 총체적인 돌봄과 개개인의 요구에 맞춘 개별적 돌봄, 환자 스스로 결정권을 가지도록 존중하는 것과 자율성 및 자신감을 심어주는 임파워먼트 등이다[7]. 이는 단순히 환자가 원하는 바를 해주거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선호도와 가치, 가족관계, 사회적 상황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기관 내의 사람들이 함께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다[8].
인간중심돌봄은 단순히 환자가 원하는 바를 해주거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간중심돌봄의 핵심적인 요소는 환자의 신체적 ․ 사회적 ․ 정서적 ․ 영적인 부분을 모두 고려한 총체적인 돌봄과 개개인의 요구에 맞춘 개별적 돌봄, 환자 스스로 결정권을 가지도록 존중하는 것과 자율성 및 자신감을 심어주는 임파워먼트 등이다[7]. 이는 단순히 환자가 원하는 바를 해주거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선호도와 가치, 가족관계, 사회적 상황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기관 내의 사람들이 함께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다[8]. 장기요양기관에서 인간중심돌봄의 실천은 직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 향상 등으로 돌봄의 질을 높여 주었으며[9], 거주자에게는 무력감 감소 및 기능의 향상 등으로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10].
우리나 요양병원 수는 2004년부터 10년 간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우리나라 요양병원은 2004년 113개에서 2016년 3월 1,383개[1]로 약 10년 만에 12배 이상 증가하였다. 급속한 요양병원의 수적 증가는 서비스 수급자들의 접근성을 높여 주었으나[2], 경쟁적인 환자 유치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쟁점을 유발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us classes of medical care institutions in reg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March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MIRE01&vw_cdMT_ZTITLE&list_id354_MT_DTITLE&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Lee YK, Kim SJ.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long-term care (LTC).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2;32(4):66-93. 

  3. Lee MJ. Plan of securing long-term care insurance's public character [Internet]. Seoul: Monthly Welfare Report. 2009 [cited 2016 March 13]. Available from: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667122 

  4. Lee MJ. A study on measurement issues of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Social Welfare Policy. 2011;38(1):141-165. http://dx.doi.org/10.15855/swp.2011.38.1.141 

  5. Yoon JY, Roberts T, Bowers BJ, Lee JY. A review of person-centered care in nursing home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2;32(3):729-745. 

  6. Crandall LG, White DL, Schuldheis S, Talerico KA. Initiating person-centered care practic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7;33(11):47-56. 

  7. Morgan S, Yoder LH. A concept analysis of person-centered care.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2;30(1):6-15. http://dx.doi.org/10.1177/0898010111412189 

  8. de Silva D. Helping measure person-centred care [Internet]. London, UK: The Health Foundation. 2014 [cited 2015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health.org.uk/publication/helping-measure-person-centred-care 

  9. Edvardsson D, Fetherstonhaugh D, Nay R, Gibson S. Development and initial testing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0;22(1):101-108. http://dx.doi.org/10.1017/S1041610209990688 

  10. Brownie S, Nancarrow S. Effects of person-centered care on residents and staff in aged-care facilities: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3;8:1-10. http://dx.doi.org/10.2147/cia.s38589 

  11. Kwon SM, Kim HS, Won JW, Lee JY, Kim H.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field survey and insurance data analysis.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October. Report No: EM014523. 

  12. Tak YR, Woo HY, You SY, Kim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 45(3):412-419. http://dx.doi.org/10.4040/jkan.2015.45.3.412 

  13. Edvardsson D, Innes A. Measuring person-centered care: A critical comparative review of published tools. The Gerontologist. 2010;50(6):834-846. http://dx.doi.org/10.1093/geront/gnq047 

  14. Lee SM.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and nurses of perception of customer-oriented core values for quality nursing servic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161 p. 

  15. Lee MA. A study of th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gap perceived by consum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225-234. 

  16. Kim HK, Kwak MS.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leadership skills and nursing services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21-31. 

  17. Kim KS, Ha EH.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intention to revisit as perceived by hospitalized patients and nurses in medium sized urb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103-114. 

  18. Lee SH.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servic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3):409-42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409 

  19. Sohn MS, Choi MK. Association between efficiency and quality of health care in South Korea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trix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4):418-427. http://dx.doi.org/10.4040/jkan.2014.44.4.418 

  20. Edvardsson D, Fetherstonhaugh D, McAuliffe L, Nay R, Chenco C. Job satisfaction among aged care staff: Exploring the influence of person-centered care provision.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1;23(8):1205-1212. http://dx.doi.org/10.1017/s1041610211000159 

  21.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status in region.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2015 [cited 2015 October 5].Available from: http://www.koiha.kr/member/kr/certStatus/certList.do 

  22.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988;64:12-40. 

  23. Sjogren K, Lindkvist M, Sandman PO, Zingmark K, Edvardsson 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wedish version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2;24(3):406-415. http://dx.doi.org/10.1017/s1041610211002 02x 

  24. Rokstad AM, Engedal K, Edvardsson D, Selbaek G.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Norwegian version of the person-centred care assessment too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2;18(1):99-105.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11.01 998.x 

  25. Martinez T, Suarez-Alvarez J, Yanguas J, Muniz J. Spanish validation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 Aging & Mental Health. 2016;20(5):550-558.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5.1023768 

  26. Jang RJ.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49 p. 

  27. Kim JH, Lee IS. The differences in quality perceptions, expectation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for nursing service between patients and nurses: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243-1254. 

  28. Lee MA. A study of the perception gap on nursing service between consumers and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5):871-884. 

  29. Lim ES. How to find a right nursing hospital. Shin Dong-A. 2013 September 24:504-5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