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질 평가 및 복원 가이드라인 수립
Evaluation of Ecological quality and establish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guideline in landscape level of Mt. Moodeung National Park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4, 2016년, pp.296 - 307  

임치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박용수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안지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정성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남경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적 복원은 온전한 자연의 체계와 기능을 모방하여 인간이 훼손시킨 자연을 치유함으로써 다양한 생물들에게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인류의 미래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생태기술이다. 이러한 생태적 복원은 복원대상에 대한 다각적 측면의 진단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수립된 복원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등산국립공원의 훼손된 산림의 생태적 질을 평가하고,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경관수준의 복원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자연적 요소(지형, 기후, 식생 분포)와 인위적 요소(토지이용, 선형 경관요소의 분포)를 고려하여 무등산국립공원에 성립해 있는 산림의 생태적 질을 진단하였다. 이와 더불어, 선형 경관요소에 의해 구획된 각 권역의 기하학적 속성 및 토지이용 강도에 근거하여 온전성 정도를 평가한 후 이를 점수화하였다. 분석 결과, 무등산국립공원의 거시적 지형은 모암의 풍화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양상이었으며, 식생대는 해발고도의 수직적 구배에 따라 난온대상록활엽수림대, 난온대낙엽활엽수림대 및 냉온대낙엽활엽수림대로 구분되었다. 토지이용유형에서 무등산국립공원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및 혼합림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경관파편화를 유발하는 경관요소로서 탐방로는 총 97개소로 파악되었다. 경관의 질 점수는 평균 $69.86{\pm}11.41$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결과, 무등산국립공원 내 산림의 생태적 질은 인간활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그 영향 정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무등산국립공원은 산 중심으로 설정된 국립공원 경계와 모암의 풍화 특성에 의해 공원구역 내 수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변 지역과의 생태네트웍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단평가 결과에 바탕을 두고 무등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restoration is an eco-technology, which heals the nature damaged by human activity by imitating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the integrate nature and thereby provide an inhabitable space for diverse organisms. Such an ecological restoration has to be carried out by applying restoration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간에 의한 이용 강도가 높은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림의 질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요소 (지형, 기후, 식생)와 인위환경요소(토지이용, 선형 경관요소)의 공간분포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등산국립공원의 경관 파편화가 심각한 원인은 무엇인가? 무등산국립공원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인 수달 (Lutra lutra), 구렁이 (Elaphe schrenckii), 삵 (Felis bengalensis euptilura), 노란목도리담비 (Martes flavigula) 등을 포함하여 총 3,668 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주상절리, 단애, 암괴원과 같은 지형이 잘 발달하여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어 (Korea National Park, 2012), 2013년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여 탐방객에 의한 높은 탐방압에 노출되어 있고,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된 탐방로, 샛길, 임도, 군사도로 등의 선형 경관요소에 의해 경관의 파편화가 심각하다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더욱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에 형성된 농경지, 주거지, 상업시설 등의 인위적 토지피복요소 역시 산림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5).
도시 인근에 위치한 산림지역이 단기간 내에 급속한 생태계 변화를 초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 인근에 위치한 산림지역은 일반적인 산림지역과 비교해 다양한 형태의 인위적 교란에 기인한 생태적 완충 지역의 소실과 서식지 파편화가 심하고 (Cho, 2009), 이러한 변화는 자연적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변화보다 속도가 빠르고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급속한 생태계 변화를 초래한다 (Bell, 1994).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피복의 변질과 서식지 파편화는 종의 번식 및 확산 능력 (Kurki et al.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피복의 변질과 서식지 파편화가 초래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도시 인근에 위치한 산림지역은 일반적인 산림지역과 비교해 다양한 형태의 인위적 교란에 기인한 생태적 완충 지역의 소실과 서식지 파편화가 심하고 (Cho, 2009), 이러한 변화는 자연적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변화보다 속도가 빠르고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급속한 생태계 변화를 초래한다 (Bell, 1994).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피복의 변질과 서식지 파편화는 종의 번식 및 확산 능력 (Kurki et al., 2000; Bélisle et al., 2001), 포식 비율 (Bergin et al., 2000), 먹이 자원 확보 (Mahan and Yahner, 2000)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장자리 면적 증가로 인한 서식지 안정성 감소 등 다양한 교란을 초래하여 생태계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인위적 교란에 의한 산림의 훼손과 훼손된 산림의 회복은 도시생태계 관리의 핵심 주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K.S. 2010.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2): 109-121. 

  2. Belisle, M., A. Desrochers and M.J. Fortin, 2001. Influence of forest cover on the movements of forest birds: a homing experiment. Ecology 82(7): 1893-1904. 

  3. Bell, N. 1994. The ecological effects of increased aerial depos it-ion of nitrogen. British Ecological Society. Ecological Issues, pp. 5-36. 

  4. Bergin, T.M., L.B. Best, K.E. Freemark and K.J. Koehler. 2000. Effects of landscape structure on nest predation in roadsides of a midwestern agroecosystem: a multiscale analysis. Landscape Ecology 5(2): 131-143. 

  5. Cho, Y.H. 2009. A study on the human impact on suburban vegetation adjacent Daegu, Korea.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Kyungbuk, Korea. 

  6. Dudley, N., R. Schlaepfer, W. Jackson, J.P. Jeanrenaud and S. Stolton. 2006. Forest quality: Assessing forests at a landscape scale. The Earthscan Forest Library. Eartscan. New York, USA. 

  7. Fahrig, L. 2003.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o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4: 487-515. 

  8. Fahrig, L., T. Rytwinski. 2009. Effects of roads on animal abundance: an empirical review and synthesis. Ecology and Society 14: 21. 

  9. Feng, J., J. Wang, S. Yao and L. Ding. 2016. Dynamic assessment of forest resources qu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using AHP and cluster analysis.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24: 184-193. 

  10. Forman, R.T.T. and L.E. Alexander. 1998. Roads and their major ecological effec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9: 207-231. 

  11. Hwang, K.W. and K.W. Lee. 1998. Landscape evaluation based on ecologic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Moodeu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1): 14-21. 

  12. Hwang, K.W. and S.W. Park. 2003.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 69-77. 

  13. Jang, H.L., S.H. Min and W.Y. Joo. 2015. A study on the forest landscape assessment method including soundscape d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7(2): 21-35. 

  14. Jerina, K, 2012. Roads and supplemental feeding affect homerange size of Slovenian red deer more than natural factors. Journal of Mammalogy 93: 1139-1148. 

  15. Joly, M., P. Bertrand, R.Y. Grangou, M.C. White, J. Dub and C. Lavoie. 2011. Paving the way for invasive species: road type and the spread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Environmental Management 48: 514-522. 

  16. Kim, M.A., J.Y. Choi and S.H. Lee. 2013.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by considering forest fra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4): 53-63. 

  17. Kim, N.S. and C.S. Lee. 2014. Prediction for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and prediction for change of vegetation distribution due to it in the Korean peninsula, p. 102-112. In: Series of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7. Present and future of ecosystem due to climate change (Kang, S.J., D.S. Park, M.S. Park, H.G. Song, C.S. Lee, S.J. Joo, N.S. Kim and G.S. Kim, ed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18. Kint, V., W. Aertsen, J. Wouters and B. Muys. 2009. Stem and wood quality assessment in national forest inventories. Proc of the IUFRO Division 4: 1-5. 

  1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ecological metho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20. Korea National Park. 2012. A study on validity to designate as a Moodeu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oul. 

  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Study for stabilizing of wildlife habitat in Mt. Moodeung.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2.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5. Strategic planning for restoring the degraded ecosystem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3. Kurki, S., A. Nikula, P. Helle and H. Linden. 2000. Landscape fragmentation and forest: composition effects on grouse breeding success in boreal forest. Ecology 81: 1985-1997. 

  24. Kwon, O.S., J.H. Ra, J.N. Ku and J.H. Kim 2015. Temporal-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diversity using FRAGSTA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3): 39-50. 

  25. Lee, G.G. and C.W. Park 2012. A zoning method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visual quality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 148-157. 

  26. Mahan, C.G. and R.H. Yahner. 2000. Effects of forest fragmentation on behaviour patterns in the eastern chipmunk (Tamias striatu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7(12): 1991-1997. 

  27. Meunier, G. and C. Lavoie. 2012. Roads as corridors for invasive plant species: new evidence from smooth bedstraw (Galium mollugo). Invasive Plant Science and Management 5: 92-100. 

  28. Nagendra, H. and D.K. Munroe, J. Southworth. 2004. From pattern to process: landscape fragmentation and the analysis of land use/land cover change.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101(2): 111-115. 

  2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5. The geography of Korea: Jeollanam-d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30. SERI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on Ecological Restoration. www.ser.org & Tucson: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31. Temperton, V.M., E. Higgs, Y.D. Choi, E. Allen, D. Lamb, C.S. Lee, J. Hariis, R.J. Hobb and J.B. Zedler. 2014. Flexible and adaptable restoration: an example from South Korea. Restoration Ecology 22(3): 271-278. 

  32. Trombulak, S.C. and C.A. Frissell. 2000. Review of ecological effects of roads on terrestrial and aquatic communities. Conservation Biology 14:18-30. 

  33. WWF/IUCN. 2000. Forests Reborn: A workshop on forest restoration. July 3-5 2000. Segovia, Spain. 

  34. Yim, Y.J. 1977, IV.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269-278. 

  35. Yoo, S.H., K.S. Lee and C.H. Park. 2012.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 (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 (DMZ)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2): 247-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