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2, 2016년, pp.154 - 162  

김원순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조헌하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권수혜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 among geriatric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 nurses'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mpleted by 212 geriat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교육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수행의 효율적인 증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사를 위한 임종간호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수행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임종간호스트레스에는 죽음불안, 임종간호수행뿐 아니라 임종간호태도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해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간호란 무엇인가? 임종간호란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보는 총체적 돌봄(holistic care)으로 환자가 인간의 존엄성을 가지고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 정서, 사회, 영적으로 도와주는 과정으로(4), 간호사의 체계적인 임종간호수행은 환자와 그 가족에게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며 환자의 남은 삶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그러므로 간호사는 체계적인 임종간호수행으로 환자가 임종과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간호사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스트레스를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직업의 특성상 다른 의료인들과 달리 간호사는 대상자의 죽음과 삶을 직접 자주 목격하며, 많은 시간을 환자와 보내면서 감정적 개입 등으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임종환자의 돌봄 과정에서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간호수행업무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스트레스를 경험한다(6). Lee 등(7)은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 할애의 어려움, 업무량 과중,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등으로 분류하였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것이라고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간호사의 죽음불안은 임종 환자의 죽음을 회피하게 할 정도로 심각하게 나타나며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또한 간호사는 죽음불안을 느낄 때 임종간호 수행과정 중 환자 및 보호자와 의사소통이 어렵고 임종간호수행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8). 그러므로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불안은 만성적으로 누적이 되어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유발하게 하여 임종간호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The life expectancy of 2013, Information Service Dept, Statistical Information and Data Management Bureau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Mar 2]. Available for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 

  2. The nationwide status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2014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cited 2016 Mar 2].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o/search.do?collectionALL&query. 

  3. The deep analysis on the survey of patients in 2011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6 Mar 2].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4. Noh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and death. 2nd ed. Seoul:Hyunmoon Publishers;1997. 

  5. Detering KM, Hancock AD, Reade MC, Silvester W. The impact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 of life care in elderly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10;23: 340:c1345. 

  6. Munley A. Sources of hospice staff stress and how to cope with it. Nurs Clin North Am 1985;20:343-55. 

  7. Lee HY, Lee YO, Choi EY, Park YM.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J Korean Oncol Nurs 2007; 7:26-35. 

  8. Deffner JM, Bell SK. Nurses' death anxiety, comfort level during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families regarding death, and exposure to communication education: a quantitative study. J Nurs Staff Dev 2005;21:19-23. 

  9. Solomon S, Greenberg J, Pyszczynski T. A terror management theory of social behavior: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selfesteem and cultural worldviews. Adv Exp Soc Psychol 1991;24: 93-159. 

  10.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33-41. 

  11.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2. Chung SY.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3. Korean. 

  13. Kim JH, Lee HK.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205-11. 

  14. Jung JS. Influencing factors of performance on terminal care in term care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Kwangju: Kwangju Women's Univ.; 2014. Korean. 

  15. Oh JH.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5. Korean. 

  16. Park S.J, Choi SH.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6;3:285-97. 

  17. Collett LJ, Lester D. The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 Psychol 1969;72:179-81. 

  18. Son SW. A study on death anxiety of children and adolescent [master's thesis]. Seoul: Seoul Women's Univ.; 1999. Korean.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Princeton Univ. Press:1965. 

  20.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974;11:107-30. 

  21. Han YM. Spiritual needs of hospice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0;3:39-48. 

  22. Kim KG, Yong JS.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s among nurses working in a cancer hospital.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264-73. 

  23. Choi YE. Predictors of burnout among hospice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 2013. Korean. 

  24.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63-72. 

  25. Kwon SH, Yang SK, Park MH, Choe SO. Assessment for the needs to develop hospi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147-55. 

  26. Park EK, Na YK.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damages and self-esteem of operating room nurse. Korean J Sci Crim Invest 2015;9:266-74. 

  27. Kim HS, Yim HW, Lee JY, Cho HJ, Jo SJ, Lee WC.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Stati of Some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 Environ Med 2007;19:125-34. 

  28. Marshall VW. Last chapters, a sociology of aging and dying. Monterey, Calif:Books/Cole Pub. Co.;c1980. 

  29. Choi AS. The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dying patients in new nurses [master's thesis]. Gangneung: Kwandong Univ.; 2003. Korean. 

  30. Lee MO, Ryu SY, Byun IG, Park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Medical J Chosun Univ 2004;29:26-37. 

  31. Leou CS, Kim KK, Kim JH.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nurses working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45-51. 

  32. Kim, HJ, Lee HR, Choi SO. Resilience to burnout,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Geron Nurs 2013;15:218-26. 

  33. Kim DH, Lee HJ. Effects on long-term care hospital staff mixing level after implementing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staffing grades. Korean Acad Nurs Adm 2014;20:95-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