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32 - 240  

지순일 (빛고을 전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유혜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G 광역시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근무하는 2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태도, 영적건강, 결혼유무, 총 임상경력 순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5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임종간호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affect their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 filled by 238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G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임종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하는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효율적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 정도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종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하는 임종간 호스트레스 정도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효율적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 및 임종간호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설명력을 규명하여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긍정적으로 증가시켜 임종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관리대책을 개발하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이란 무엇인가? 임종은 생명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 죽음이 임박한 시기를 의미하며 인간은 누구나 임종의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집에서 임종을 맞이하였으나 최근 가족구조의 핵가족화 및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함께 첨단의료장비와 생명연장 기술의 발전으로 의료기관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다(1,2) 이와 같이 임종이 가족과 친족에게서 전문가에게로 위임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임상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며 좀 더 질적인 임종간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3).
임종간호란 무엇인가? 임종간호는 죽어가는 과정에 있는 환자를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신체적으로 평안하고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죽음 후의 존재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돕는 것으로 임종간호 제공은 대상자의 전인적간호를 추구하는 간호사의 책임이라 할 수 있다(4). 그러나 간호사들은 임종환자를 발견하거나 간호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회피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5,6).
중환자실 간호사가 임종상황을 자주 맞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간호사들은 임종환자를 발견하거나 간호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회피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5,6). 특히, 중환자실의 경우 입실한 환자 대부분이 의식이 없거나 혼미한 상태로 증상이 심각하고 사망률 또한 높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다른 부서 간호사들보다 빈번하게 임종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임종간호와 관련하여 좌절, 분노, 슬픔, 무력감, 도덕적 고민 등과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SN, Kim HJ, Choi SO. Effect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 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54-63. 

  2.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facts & figures 2011. Goyang: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1. 

  3. Backer BA, Hannon N, Russell NA. Death and dying : Understanding and care. 2nd ed. Albany, N.Y.:Delmar.;1994. 

  4. Kim JH, Chun CJ, Kim BH.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2;4:5-16. 

  5. Stewart AE, Lord JH, Mercer DL.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 2000;24:611-3. 

  6.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04. Korean. 

  7. Hansen L, Goodell TT, DeHaven J, Smith M. Nurse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fter multiple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Am J Crit Care 2009;18:263-71. 

  8. Cho IH. A study on recognition of cancer patient - focused on nurses and doctors. Korean J Hosp Care 2001;2:58-74. 

  9. Yi MS.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61. 

  10. Jun JS.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mong nurses [master's thesis]. Busan:Busan Catholic Univ.; 2013. Korean. 

  11. Braun M, Gordon D, Uziely B.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2010;37:E43-9. 

  12. Cho YC.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eoul: Ajou Univ.; 2011. Korean. 

  13. Mallory JL. The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al component o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Prog Nurs 2003;19:305-12. 

  14. Chi KA, Kim EJ.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J Korean Acad Psyc hiatr Ment Health Nurs 2005;14: 285-91. 

  15. Lee KO, Yoon HJ.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caring of cancer patients. Med J Chosun Univ 2006;31:85-99. 

  16. Shin EJ. Influence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meaning in life,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Orien Neuropsychiatry 2011;22:65-74. 

  17.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33-41. 

  18. Kim JH, Lee HK.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205-11. 

  19. Lee HY, Lee YO, Choi EY, Park EY. A comparison i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J Korean Oncol Nurs 2007;7:26-35. 

  20. Tae YS, Choi GH, Jung YK, Kwon SH. Spiritual health and fatigue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reatment phases. Korean J Adult Nurs 2012;24:659-67. 

  21. Tae YS, Kim MY. Influencing factors on spiritual health in women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8;20:719-30. 

  22. Frommelt KH.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Am J Hosp Palliat Care 1991;8:37-43. 

  23.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 163-72. 

  24.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man D. eds. Loneliness :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1982. p.224-36. 

  25. Lee H, Choi WS. Correlation among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maturation of Christian belief. Korean J Hospice Care 2003;3:1-11. 

  26. Kim JH. The job stress, perception, and training needs on the end-of-life care among cancer unit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 2009. Korean. 

  27. Yoon YA.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Univ.; 2010. Korean. 

  28. Noh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29. Ryu HJ. Affect of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of death on the nurse's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7. Korean. 

  30. Chi KA. Influence of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death orientation on the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 2004. Korean. 

  31. Chung SY.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3.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