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3, 2016년, pp.763 - 772  

하태희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26일부터 2013년 11월1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D시 일개 대학생 30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SNS 중독경향성, 자기효능감, 성인애착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사용기간, 일평균 사용 시간, 주당 평균 접속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은 성인애착, 성인애착의 하위 영역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에서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사용 시간 및 기간이 짧을수록 감소하며, 불안애착이 클수록 증가하고, 자기효능감이 클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03 college students in Daegu completed the relate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0, 201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령대인 2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사용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SNS 사용 실태 및 중독경향 정도를 알아보고, 애착의 유형과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SNS 중독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 분석 한 결과는?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사용기간, 일평균 사용 시간, 주당 평균 접속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은 성인애착, 성인애착의 하위 영역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에서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사용 시간 및 기간이 짧을수록 감소하며, 불안애착이 클수록 증가하고, 자기효능감이 클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SNS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많은 사람들을 열광하게 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열풍일 것이다. SN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그리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이러한 SNS는 최근 스마트폰 및 인터넷 사용으로 쉽게 접속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세대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SNS 이용에 대한 분석 자료에 의하면 2015년 현재 전체 응답자 중 sns 사용률은 어떠한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SNS 이용에 대한 분석 자료에 의하면 2015년 현재 전체 응답자 중 43.1%가 SNS를 이용하며, 성별로는 남성 39.9%, 여성 43.1%, 연령별로는 20대가 75.6%로 가장 많이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16). 20대가 SNS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문화적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그 속에서도 관계적 교류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큰 세대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 Choi, H. S. and Ha, J. (2011). A study on the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437-448. 

  3. Choi, H. S., Lee, H. K. and Ha, J.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005-1015. 

  4. Fraley, R. C., Waller, N. G. and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350-365. 

  5. Joseph, F. H., Rolph, E. A., Ronald, L. T., Wiliam, C. B.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4th Ed., Prentice Hall College, New Jersey. 

  6. Julian, A. O., Sally, Q. and Rachel K. (2013). Attachment style, social skills, and facebook use amongst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1142-1149. 

  7. Jung, A. S.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8. Kim, S. H. (2004). Adaptation of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scale into Kore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approache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Kim, Y. H. (2016). Analysis of SNS utilization trends and usage patterns. KISDI STAT Report, 16, 1-9. Retrieved from https://www.kisdi.re.kr/kisdi/common/premium?file1%7C13868. 

  10. Kim, Y. H. and Cho, G. Y. (2014).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1075-1086. 

  11. Kong, J. H., Kim, S. R. and Oh, E. J. (2015).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SNS addiction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6, 99-115. 

  12. Lee, I. S. and Cho, J. Y. (2012).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o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2623-2633. 

  13. Min, S. K. (2015). Modern psychiatry, 6nd Ed., Ilchokak, Seoul. 

  1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3). Internet addiction diagnostic test (K-measures)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Retrieved from http://cfile214.uf.daum.net/attach/197D40495090DFA21D2A01. 

  15. Oh, Y. K. (2012).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Master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16. Seo, W. J., Kim, M. H., Kim, J. H., Chad, E. and Jo, I. S.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 497-512. 

  17.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and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18.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 237-244. 

  19. Yu, H. W. and Hong H. Y.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se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the tendency of SN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 977-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