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기술수준 및 기업역량 평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nterprise Assessment Model for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153 - 163  

김태일 (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  송주영 (비즈니스전략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의 지속적인 R&D투자로 논문, 특허 등의 지적성과는 증가하였지만 경제적인 성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 간에 개발기술 및 기업역량에 대한 정보의 공유 부재와 비대칭성 문제가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술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R&D 연구성과에 대한 평가모델 및 평가지표항목을 발굴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공 및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개발기술과 기업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핵심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술의 사업화 적합성 및 기업의 사업화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술사업화 평가모델은 공공기술의 이전 및 창업, 정부의 기술사업화사업(R&BD) 평가 시에 대상기술과 대상기업을 평가하는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기초원천기술의 사업화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특정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일부 지표는 해당 기술에 대한 평가자의 역량에 의해 주관적 해석이 발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향후 평가모델에 대한 실제 적용을 통해 현 모델의 보완점을 검토하고, 기술의 단계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모델로 고도화 하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llectual output, such as research papers and patents, has increased due to the consistent investment of the government R&D budget, however, the economical outcome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se unsatisfactory results originate from the lack of information sharing about the technology's busi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기술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R&D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모델 및 평가지표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표항목을 검토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공 및 실패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개발기술과 기업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핵심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술의 사업화 적합성 및 기업의 사업화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여 기술사업화 추진여부를 결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기술사업화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양한 요인이 기술을 활용한 기업에서의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기존 기술사업화 여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다수 활용되거나 언급되어온 평가모델 및 지표에서 검토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술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공공기술개발 성과물에 대한 정보 및 기술사업화 주체에 대한 정보를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가 합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내고, 이를 최대한 객관적이면서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에 대한 명확한 정의에 대한 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활용되는 핵심지표를 발굴하며, 이를 활용한 공공기술의 기술사업화 적합성 및 기업의 기술사업화 참여 역량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술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공공기술개발 성과물에 대한 정보 및 기술사업화 주체에 대한 정보를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가 합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내고, 이를 최대한 객관적이면서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에 대한 명확한 정의에 대한 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활용되는 핵심지표를 발굴하며, 이를 활용한 공공기술의 기술사업화 적합성 및 기업의 기술사업화 참여 역량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차원의 R&D 투자대상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R&D 투자대상은 민간기술과 공공기술로 양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민간기술은 개인 또는 기업의 목표 달성 및 경제적 이익 창출을 주요 목적으로 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과거 ‘창조적인 개인의 발명품’으로 받아들여졌던 기술개발은 현대에 들어 점차 ‘의도적으로 관리되는 지속적인 R&D 활동’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과거 노동 집약적 문화에서 기술과 자본 중심적 문화로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R&D에 대한 인식변화의 결과로 볼 수 있다[1].
정부의 R&D 투자로 인한 경제적인 성과가 미흡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의 지속적인 R&D투자로 논문, 특허 등의 지적성과는 증가하였지만 경제적인 성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 간에 개발기술 및 기업역량에 대한 정보의 공유 부재와 비대칭성 문제가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술의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R&D 연구성과에 대한 평가모델 및 평가지표항목을 발굴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성공 및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개발기술과 기업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핵심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술의 사업화 적합성 및 기업의 사업화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rk Jong Sik(1994), "Changing technology environment and R&D strategies of the company", Cheil Worldwide,226, pp.14-17. 

  2. Park Byung Kwon(2004), "Social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public technology", Science Times. 

  3. Han Sung Ho(2014),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the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the policy", KISTEP. 

  4. Lee Kil Woo(2013), "A Study on Improving Strategies for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R&D in Korea", KISTEP. 

  5. Ku Bon Chul.Nam Sang Sung(2015), "The Importance Analysis of Critical Factors that Facilit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AHP", Korea Management Engineers Society, 20(1), pp.45-63. 

  6. Park Ji Won.Yun Su Jin.Park Bum Soo(2015),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s of Transfer Technology from Public R & D and Enhancing Performanc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8(1), pp.28-48. 

  7. Act on the Promo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8. Chesbrough, H. (2003), "The Logic of Open Innovation: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5(3), pp.33-58. DOI: http://dx.doi.org/10.2307/41166175 

  9. Lockett, A. and Wright, M.(2005), "Resources, Capabilities, Risk Capital and the Creation of University Spin-out Companies", Research Policy, 34(7), pp.1043-1057. DOI: http://dx.doi.org/10.1016/j.respol.2005.05.006 

  10. Wonglimpiyarat, J.(2010),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of Technology: Lessons from Silicon Valley",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35(2), pp.225-236. DOI: http://dx.doi.org/10.1007/s10961-009-9117-3 

  11. Li, Chia-Ying(2012),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Moderating Roles of Technological Turbulence and Integration",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6(1), pp.370-387. 

  12. Park Jong Bok(2008),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sue paper, KIET. 

  13. Suh Sang Hyuk(2012),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 Innovative Firm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5(4), pp.862-880. 

  14. Choi jong in.Hong gil pyo.Jang Seung Kwon.Bae Yong Gu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Institute Company: A case of the KAERI's HemoHi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7(2), pp.129-140. 

  15. Choi Yoon Jung(2013), "Promotion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Networking of SMEs", 1st Technical Commercialization Evangelist Forum, KISTI 

  16. Kim Lee kyung(2014), "A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olicy of cooperative Research with Industry-University", KISTEP. 

  17. Kim Joo hee(2014), "Characteriz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rategic promotion plan", KISTEP. 

  18. Park Jin Sup(2009) "Study on Technical indicators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for commercialization",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pp.649-662. 

  19. KISTI(2007), "Build innovative SMEs information support system". 

  20. Choi Gyung Hyun(2013),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es of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for Public R&D", KISTEP. 

  21. KIPA(2006), "Technical Details Public Assessment Manual". 

  22. KIPO(2013), "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Practice Guide for intellectual property mortgage". 

  23. Yoo Hyoung Sun(2010),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index for improved technology evaluation of SMEs", KIST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