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 및 신체활동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on Fatigue among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260 - 268  

이은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은아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 노인의 피로, 우울 및 신체활동의 정도와 그 관계를 밝히고, 우울 및 신체활동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북지역의 3곳의 의료기관 외래를 방문한 500명의 만성질환 노인이었으며, 자료는 일반적 특성, 피로, 우울과 신체활동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NOVA, t-test,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hierarchi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자의 피로는 우울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신체활동 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과의 차이비교에서는 연령과 성별, 학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피로와 차이를 보인 연령, 성별 및 학력을 통제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연령, 성별 및 학력은 피로에 6%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2단계 모형에서는 우울과 신체활동은 만성질환 노인의 피로에 16%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성질환자 노인의 피로는 우울 및 신체활동에 영향을 받으므로 우울의 중재와 신체활동 향상를 위한 노력은 피로를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 대한 피로 중재에는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과 신체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함께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만성질환 노인의 피로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effects of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on fatigue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In total, 500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피로와 우울 및 신체활동의 정도와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우울과 신체활동이 피로에 미치는 정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이 효율적으로 피로를 조절하고 대처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감소된 신체활동의 감소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습니까? 노인의 감소된 신체활동은 TV 시청, 컴퓨터 혹은 직장에서 업무 수행 등 앉아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 패턴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여가시간이 많은 노인들은 주로 앉아서 TV를 시청하므로 TV 시청 시간과 관련성이 높다[13]. 노인의 이러한 생활패턴은 신체의 혈액순환을 저하시키고, 신체대사를 감소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14, 15], 대사성 질환이나 만성질환 등 여러 질병의 발병률을 높인다[16]. 따라서 노인 만성질환자들은 이러한 생활패턴을 수정하고 신체활동의 시간을 늘려야 만성질환 악화를 막고 피로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의 특징은 어떠합니까?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의 특징은 0~14세의 유소년 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2015년 현재 17.9%에서 2018년도 20.0%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후 2026년 31.4%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1].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됨에 따라 사회적 부양에 대한 부담도 증가될 수 있는데, 노인 1명당 생산 가능 인구는 2015년에 5.
만성질환을 악화시키는 관련 변수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습니까? 노인의 만성질환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노인들의 만성질환 악화와 관련된 변수들을 찾고 이를 관리하려는 노력 및 전략 개발이 중요한데, 선행연구에서는 피로를 포함하여 통증, 우울, 신체활동,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장애, 일상생활 활동 등을 만성질환을 악화시키는 관련 변수로 제시하고 있다[3-7]. 여기에서 특히 피로는 만성질환자들이 흔히 겪는 동반증상 중의 하나로 과도한 정신적, 신체적 활동으로 인한 전반적인 피곤함과 탈진의 주관적인 느낌의 지속을 의미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5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ited 2015 Sep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48565, (accessed Dec. 24, 2015) 

  2. Statistics Korea. 2014 Death cause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ited 2014 Jan 2]. Available from: http://meta.narastat. kr/metasvc /index.do?confmNo10154&inputYear2014, (accessed Dec. 24, 2015) 

  3. Y. S. Kim, H. S. Byun, "Effects of pain on memory, physical function, and sleep disturbance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6, No. 1, pp. 59-67, 2014. DOI: http://dx.doi.org/10.17079/jkgn.2014.16.1.59 

  4. N. S. Seo, S. J. Kang, J. H. Kim, et al.,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str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9, No. 2, pp. 285-297, 2013.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8.11 

  5. S. O. Jang, Y. J. Park, J. W. Yoon, "Study on relations of variables; Attributions of somatic symptoms, fatigue, chronic pai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1, pp. 26-33, 2003. 

  6. H. S. Jeong, O. S. Kim,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5, No. 2, pp. 35-46, 2013. 

  7. J. S. Kim, H. S. Hong, Y. K. Na, "A study of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4, No. 1, pp. 1-7, 2012. DOI: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1.1 

  8. M. G. Swain, "Fatigue in chronic disease", Clinical Science, Vol. 99, No. 1, pp. 1-8, 2000. DOI: http://dx.doi.org/10.1042/cs0990001 

  9. G. O. Park, S. J. Sh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tigue in th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3, No. 1, pp. 23-31, 2010. 

  10. B. J. Laird, A. C. Scott, L. A. Colvin, et al., "Pain, depression, and fatigue as a symptom cluster in advanced cancer",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Vol. 42, No. 1, pp. 1-11,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0.10.261 

  11. G. M. Kim, Y. M. Lee, S. O. Chang,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61-70, 2011.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1.20.1.61 

  12. T. Hajiro, K. Nishimura, M. Tsukino, et al., "Comparison of discriminative properties among disease-specific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Critical Care Medicine, Vol. 157, No. 3, pp. 785-790, 1998. DOI: http://dx.doi.org/10.1164/ajrccm.157.3.9703055 

  13. D. W. Dunstan, J. Salmon, N. Owen, et al., "Associations of TV viewing and physical activity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Australian adults", Diabetologia, Vol. 48, No. 11, pp. 2254-2261, 2005. DOI: http://dx.doi.org/10.1007/s00125-005-1963-4 

  14. L. Bey, M. T. Hamilton, "Suppression of skeletal muscl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during physical inactivity: A molecular reason to maintain daily low-intensity activity", Journal of Physiology, Vol. 551, No. 2, pp. 673-682,2003. 

  15. M. T. Hamilton, D. G. Hamilton, T. W. Zderic, "Exercise physiology versus inactivity physiology: an essential concept for understanding lipoprotein lipase regulation", Exercise, Sport Sciences Reviews, Vol. 32, No. 4, pp. 161-166, 2004. DOI: http://dx.doi.org/10.1097/00003677-200410000-00007 

  16. D. H. Lee, S. O. Bin, "Structure relationships for disease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 pp. 216-224,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16 

  17. M. S. Lee,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s, Vol. 27, No. 27, pp. 5-30, 2010. 

  18. Y. O. Yeo, E. K. Yoo,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ADL in the case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2, No. 6, pp. 676-686, 2010. 

  19. H. J. Lee, Y. J. Jee, "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Mal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3, No. 4, pp. 309-320, 2011. 

  20. W. J. Chodzko-Zajko,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Kinesiology Review, Vol. 3, No. 1, pp. 101-106, 2014. DOI: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1a0c95c 

  21. M. A. Choe, J. I. Kim, M. Y. Jeon, et al.,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K-PA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6, No.1, pp. 47-59,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47 

  22. B. N. Geri, "Measures of fatigue: The fatigue questionnaire, fatigue severity scal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scale, and short form-36 vitality (energy/fatigue) subscale of the short form health survey", Arthritis Care Research, Vol. 49. No. S5, pp. S175-S83, 2003. DOI: http://dx.doi.org/10.1002/art.11405 

  23. Y. Lee, "Factor associated with chronic pain in senior citizens residing in a certain distri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5. 

  24. B. S. Kee,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 35, No. 2, pp. 298-307, 1996. 

  25. R. A. Washburn, K. W. Smith, A. M. Jette, et al.,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 46, No. 2, pp. 153-162, 1993. DOI: http://dx.doi.org/10.3390/ijerph10093967 

  26. Y. J. Kim, J. H. Lee,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with telecoaching negotiation 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0, No. 4, pp. 391-402, 2009. 

  27. M. H. Kim, "Analysis of factor of relationship betwee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2010. 

  28. L. S. Acree, J. Longfors, A. S. Fjeldstad, et al.,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 4, No. 1, pp. 1-6, 2006. DOI: http://dx.doi.org/10.1186/1477-7525-4-37 

  29. B. K. Cha, C. S. Park, "A comparison of pain, pain interference and fatigu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2, No. 2, pp. 162-172, 2011.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2.162 

  30. Y. H. Lee, M. K. Choi, "Fear of falling,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3, No. 4, pp. 351-36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