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영유아 김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of Laver Attributes for Infants Using Conjoin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6, 2016년, pp.894 - 902  

이호진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민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경 ((주)베베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영유아(0~36개월) 김의 선택 속성과 수준을 조사 및 분석하고 최적의 영유아 김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유아 식품 시장에서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형태의 예비 조사를 통해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선택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조사를 통해 영유아 김 최적 모형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도출된 영유아 김의 속성은 '인증 종류', '기름 종류', '식감', '조미 종류', '김 장당 사이즈', '풍미'로 구성되었으며, 속성 중 '인증 종류'는 '유기농 인증'과 'HACCP'으로 수준을 구분하였으며, '기름 종류'는 '들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3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속성 중 '식감'은 '부드러운 식감', '중간 식감', '질긴 식감' 3개의 수준으로 부드러움의 정도를 표시하였으며, '조미 종류'는 '간장', '소금', '무조미' 3개의 수준으로 간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속성 중 '김 장당 사이즈'는 '기존 사이즈'와 '1/2 사이즈'로 수준을 구분하였으며, '풍미' 는 '일반 풍미', '당근 풍미', '양파 풍미' 3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총 6개의 속성과 16개의 수준을 바탕으로 18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여 본 조사를 한 결과 N모델(유기농, 참기름, 부드러운 식감, 무조미, 1/2 사이즈, 일반 풍미)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김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조미 종류', '풍미', '식감', '기름 종류', '사이즈', '인증'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조미 종류' 는 '무조미', '간장 조미', '소금 조미'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일반 풍미', '양파 풍미', '당근 풍미' 순이며, '식감'의 경우 '부드러운 식감', '중간 식감', '질긴 식감' 순으로 선호하였다. '기름 종류' 에 대한 효용값은 '들기름', '올리브유', '참기름' 순이며, '사이즈'는 '1/2 사이즈', '기존 김 사이즈' 순이고, '인증 종류' 에 대한 효용값은 '유기농', 'HACCP' 순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최적 영유아 김 수준을 도출한 결과 '무조미', '일반 풍미', '부드러운 식감', '1/2 사이즈', '유기농', '들기름'으로 영유아 김 선호 예측 점수는 77.71점,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53.7 %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판매되는 대표적인 영유아 김의 속성 결합은 '간장 조미', '일반 풍미', '중간 식감', '기존 사이즈', 'HACCP', '참기름'을 바탕으로 구성된 모형을 바탕으로 선호 예측 점수는 67.78점,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46.3%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조사 대상자는 '무조미' 김에 대한 요구도가 '간장 조미' 김보다 높았으나, 도출된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한 사후적 시장 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군집 1은 현재 판매되는 대표적인 영유아 김의 특징인 '간장 조미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군집 2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구성한 최적의 영유아 김의 특징인 '무조미 김'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후적 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ributes considered as important by parents in the selection of laver for infants through conjoint analysis techniques. A total of 91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January 2016, of which 211 were completed (23.0%).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조사 대상자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별 선택 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여 사후군집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사후세분화(post-hoc segmentation) 방법을 적용하였으며(28), 초이스 시뮬레이션(choice-simulation)을 통해 시장점유율도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프로파일을 제시하고, 향후 영유아 식품 시장에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영유아 김 구매 시 부모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김 속성을 파악하고 이상적인 컨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별 선택 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여 사후군집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사후세분화(post-hoc segmentation) 방법을 적용하였으며(28), 초이스 시뮬레이션(choice-simulation)을 통해 시장점유율도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영유아(0~36개월) 김의 선택 속성과 수준을 조사 및 분석하고 최적의 영유아 김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유아 식품 시장에서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김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속성과 수준을 파악하는 데 어려운 상황이므로, 영유아 김을 구매하는 소비자인 부모들을 대상으로 FGI 형태로 예비 조사를 시행하여 본 조사에서 사용할 속성과 수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속성과 수준으로 바탕으로 본 조사의 영유아 김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는 어떤 시기이며 이 시기에 성장의 중요 요소는? 영유아기는 정서적 발달과 함께 신체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균형 잡힌 식생활과 적절한 영양공급이 성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영유아기의 잘못된 식습관 형성은 비만, 소아 당뇨와 같은 성인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5), 부모들은 올바른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영유아가 먹을 식품에 대해 더 까다롭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6).
영유아기의 잘못된 식습관의 문제점은? 영유아기는 정서적 발달과 함께 신체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균형 잡힌 식생활과 적절한 영양공급이 성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영유아기의 잘못된 식습관 형성은 비만, 소아 당뇨와 같은 성인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5), 부모들은 올바른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영유아가 먹을 식품에 대해 더 까다롭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6). 최근 영유아 전용 식품은 과자나 우유 등 가공품부터 맞춤형 된장, 김 등 식품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영유아를 둔 부모들은 아이들이 입고 만지는 의류, 장난감뿐만 아니라 먹거리까지 ‘유기농’, ‘국산’, ‘무첨가’ 식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6,7).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두부의 유기농과 원산지표시의 상대적 가치 분석 연구 결과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주로 이용하는 식품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을 사용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인 대상의 친환경 농산물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18)에서는 ‘가격’, ‘유통경로’, ‘브랜드’ 순으로 선택 속성의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두부 제품의 속성별 가치 추정 연구(19)에서는 ‘콩의 원산지’, ‘포장 여부’, ‘콩의 친환경 인증 여부’ 순으로 선택 속성의 중요도가 나타났다. 더불어 두부의 유기농과 원산지표시의 상대적 가치 분석 연구(20)에서는 ‘원산지’, ‘유기농 여부’, ‘가격’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자녀를 양육하는 응답자에게서 ‘유기농 여부’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이 섭취할 초콜릿 구매 시 부모가 고려하는 요소에 대한 연구에서는‘감미료 종류’의 속성 중요도가 ‘브랜드’, ‘유기농’, ‘첨가물’,‘지방 함량’ 등에 비해 높았으며, 부모들은 보존제 등을 넣지 않은 ‘all natural label’이 표시된 초콜릿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4. Annual report on statistics of birth: 2015.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 PageDetail.do?idx_cd1428 (accessed Apr 2016). 

  2. Shin YW, Noh JY, Kim JK, Koh AR. 2012. A qualitative study on infant clothing consumption of gold-mom. J Consum Stud 23: 23-44. 

  3. AC Nielsen. 2015. Oh, baby! trends in the global baby food and diaper markets. http://www.nielsen.com/us/en/insights/ reports/2015/oh-baby-trends-in-the-global-baby-food-and-dia per-markets-august-2015.html (accessed Apr 2016). p 1-47. 

  4.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3. Annual report on production performance of food and food additives: special nutritious food.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5&tblIdTX_14503_A060&vw_cdMT_OTITLE&list_id145_14503_003_005_00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accessed Apr 2016). 

  5. Ha AW, Yoo KS, Kim JW. 2008. The characteristics of obese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dietary habi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927-938. 

  6. Choi KY, Kang KO. 2015. Survey on the purchasing status and perceptions of housewife with young children on foodnutrition labeling of organic food. FoodService Industry J 11: 29-38. 

  7. Yoo DK, Hwang JH, Kwon HJ. 2010. A study on the barriers and vitalization strategies of developing new markets for organic products. Korean J Org Agric 18: 463-487. 

  8. Jeong YH, Yoon JS, Park DY. 2006. Mothers' perceptions on preschool children's food preference, efforts in improving food intake and their beliefs in food sele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1: 714-724. 

  9. Song HJ, Choi SY. 2013. A study on intake and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 among adolescents. Korean J Culinary Res 19: 230-243. 

  10. Mitchell VW, Kiral RH. 1998. Primary and secondary storeloyal customer perceptions of grocery retailers. Br Food J 100: 312-319. 

  11. Peppers D, Rogers M, Dorf B. 1999. Is your company ready for one-to-one marketing?. Harv Bus Rev 77: 151-160. 

  12. Loebnitz N, Loose SM, Grunert KG. 2015. Impa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process attribute uses for food purchases. Food Qual Prefer 44: 84-91. 

  13. Green PE, Srinivasan V. 1990. Conjoint analysis in marketing: new developments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 Marketing 54: 3-19. 

  14. Ahn SS, Lee HY. 2009. A study on measuring restaurant customer's utility using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J Foodservice Manag Soc Korea 12: 33-52. 

  15. Green PE, Krieger AM. 1992. An application of a product positioning model to pharmaceutical products. Marketing Sci 11: 117-132. 

  16. Lim BH, Ahn KH, Park UY. 2006.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predictability among traditional and choice-based conjoint analyses in the choice of service products. J Glob Acad of Mark Sci 16: 39-54. 

  17. Louviere JJ, Islam T. 2008. A comparison of importance weights and willingness-to-pay measures derived from choicebased conjoint, constant sum scales and best-worst scaling. J Bus Res 61: 903-911. 

  18. Song YE, Lee SB. 2009. Research on market segmentation of th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conjoint analysis. Korean J Hosp & Tour 18: 257-274. 

  19. Choi SH, Kim TK, Choi JH, Cho JH. 2011. Consumption behavior and value estimation by environmental attributes of bean curd products. Korean J Org Agric 19: 3-21. 

  20. Yang SB. 2014. Analyzing the relative value of food labelling on organic and origin of tofu. Korean J Orgnic Agri 22: 229-240. 

  21. Li XE, Lopetcharat K, Drake M. 2014. Extrinsic attributes that influence parents' purchase of chocolate milk for their children. J Food Sci 79: S1407-S1415. 

  22. Yi BS. 2007. Comparative analysis on meal and food preference between non-obese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Food Cult 22: 482-491. 

  23. Lee KH, Song SH, Jeong IH.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ean J Fish Soc 20: 408-418. 

  24. Lim HJ, Kim JI. 2002. An assessment of dietary fiber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7: 167-176. 

  25. Cho SM, Kim BM, Han KJ, Seo HY, Han Y, Yang EH, Kim DS. 2009.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processed laver market and manufacturers. Food Science and Industry 42(1): 57-70. 

  26. Jeon YS, Park SJ, Choi MK, Kang MH. 2008. Oxidation stability of lavers made with garlic-salt and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3-89. 

  27. Jeon YS, Kang MH, Choi MK. 2015. Manufactur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onion seasoned lav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 146-152 

  28. Kim SH. 1998. Market segmentation in conjoint optimal product positioning models. Korean Marketing Review 13: 103-118. 

  29. Chae IS, Lee MA, Shin SY, Yang IS, Cha JA. 2002. A conjoint-based approach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brand choice attributes: pizza restaurant cases. Korean J Community Nutr 7: 354-360. 

  30. Jung SY, Chung L. 2013.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based on the level of involvement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 Food Cook Sci 29: 553-562. 

  31. Yoo SR, Sung HJ, Ko JY. 2015.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beer using conjoint analysis. J Tour Leis Res 27: 341-360. 

  32. Kim HY. 2011. Activation of nutrition labeling in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for sodium reduction. Food Science and Industry 44(1): 28-38. 

  33. Park HS, Cho HY, Shin JK. 2015. A study of sodium reduction effect in foods using fermented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68-473. 

  34. Lee KB. 2015. Industrialization trend of natural ingredient with clean label focusing on ingredion clean label produc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0: 11-14. 

  35. Seo HY, Jung BM. 2007.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14-1319. 

  36. Kim SH, Ahn JB, Nam HW, Kwon DH.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he chewing skills for normal infants and young children between Korean and foreign food texture. J Korean Soc Occup Ther 18: 1-12. 

  37. Kim YJ, Park YS. 1996. A conjoint measurement of brand equity with interaction effect. Korean Management Review 25: 6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