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6, 2016년, pp.918 - 922
함현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박지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이병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최용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이춘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김욱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유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oats (Avena sativa L.).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were analyzed by Folin-Ciocalteu assa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귀리란 무엇인가? | 귀리(Avena sativa L.)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곡류로 오래전부터 오트밀 형태의 식품으로 섭취됐다. 귀리는쌀과 밀에 비해 소비가 적지만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으며 2~6%의 βglucan이 함유되어 식품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8,9). | |
곡물 중 귀리에만 존재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 귀리는쌀과 밀에 비해 소비가 적지만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으며 2~6%의 βglucan이 함유되어 식품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8,9). 귀리에는 곡류 중 특이적으로 귀리에만 존재하는 phenolic amide인 avenanthramides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항산화, 항염증 및 항증식 활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10). 최근 귀리의 기능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켜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12). | |
귀리 추출물의 추출용매에 따라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8%로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용매에 따라 귀리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추출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된 생리활성 물질, 특히 폴리페놀 화합물의 용해도 차이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 귀리에 관한 생리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귀리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
Ha TY.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Torre L, Siegel R, Jemal A. 2015. Global cancer facts & figures. 3rd ed. American Cancer Society Inc., Atlanta, GA, USA.
Biesalski HK. 2002.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5: 5-10.
Stadtman ER, Berlett BS. 1998. Reactive oxygen-mediated protein oxidation in aging and disease. Drug Metab Rev 30: 225-243.
Neergheen VS, Bahorun T, Taylor EW, Jen LS, Aruoma OI. 2010. Targeting specific cell signaling transduction pathways by dietary and medicinal phytochemicals in cancer chemoprevention. Toxicology 278: 229-241.
Aman P, Graham H. 1987. Analysis of total and insoluble mixed-linked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ic Food Chem 35: 704-709.
Boz H. 2015. Phenolic amides (avenanthramides) in oats - a review. Czech J Food Sci 33: 399-404.
Davidson MH, Dugan LD, Burns JH, Bova J, Story K, Drennan KB. 1991.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beta}$ -glucan in oatmeal and oat bran. A dose-controlled study. JAMA 265: 1833-1839.
Berg A, Konig D, Deibert P, Grathwohl D, Berg A, Baumstark MW, Franz IW. 2003. Effect of an oat bran enriched diet on the atherogenic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an increase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 controlled randomized lifestyle intervention study. Ann Nutr Metab 47: 306-311.
Tong L, Liu L, Zhong K, Wang Y, Guo L, Zhou S. 2014. Effects of cultivar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aked oat in China. J Integr Agric 13: 1809-1816.
Tapola N, Karvonen H, Niskanen L, Mikola M, Sarkkinen E. 2005. Glycemic responses of oat bran product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Nutr Metab Cardiovasc Dis 15: 255-261.
Chang HC, Huang CN, Yeh DM, Wang SJ, Peng CH, Wang CJ. 2013. Oat prevents obesity and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improves liver function in humans. Plant Foods Hum Nutr 68: 18-23.
Peng CH, Chang HC, Yang MY, Huang CN, Wang SJ, Wang CJ. 2013. Oat attenuate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obesity via inhibiting lipogenesis in high fat-fed rat. J Funct Foods 5: 53-61.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Sharma OP, Bhat TK. 2009. DPPH antioxidant assay revisited. Food Chem 113: 1202-120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or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Tatiya AU, Tapadiya GG, Kotecha S, Surana SJ. 2011. Effect of solvents on total phenolic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Bridelia retusa Spreng. stem bark. Indian J Nat Prod Resour 2: 442-447.
Stoner GD, Mukhtar H. 1995. Polyphenol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J Cell Biochem Suppl 22: 169-180.
Duthie GG, Duthie SJ, Kyle JAM. 2000. Plant polyphenols in cancer and heart disease: implications as nutritional antioxidants. Nutr Res Rev 13: 79-106.
Choupani M, Delouee SA, Alami M. 2014.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lemon verbena (Lippia citriodora) leaves. Int J Adv Biol Biomed Res 2: 1340-1346.
Oki T, Masuda M, Kobayashi M, Nishiba Y, Furuta S, Suda I, Sato T. 2002. Polymeric procyanidins as radical-scavenging components in red-hulled rice. J Agric Food Chem 50: 7524-7529.
Sultana B, Anwar F, Ashraf M. 2009. Effect of extraction solvent/techniqu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Molecules 14: 2167-2180.
Guo W, Nie L, Wu D, Wise ML, Collins FW, Meydani SN, Meydani M. 2010. Avenanthramides inhibit prolifera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Nutr Cancer 62: 1007-1016.
Meydani M. 2009.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avenanthramides of oats. Nutr Rev 67: 731-73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