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Care Activity in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1, 2016년, pp.12 - 19  

강정미 (춘해보건대학교) ,  박정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nursing activitie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were 194 nurses who have provided nursing ser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재활전문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안전간호활동 수행 증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간호사는 낙상, 충분한 설명, 감염, 소방안전, 의료기기 관리, 구두처방, 투약간호, 수혈간호 등의 안전간호활동을 수행하고, 오류를 확인하고 걸러낼 수 있는 마지막 의료전달자로서(Hughes & Clancy, 2005)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Lee, 2012).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경영자의 태도, 병원환경 등의 인식과 관련된 것들이 있으며(Lee, 2011), 개인적 요인으로 임상경력과 조직적 요인으로 하향적 커뮤니케이션, 안전 분위기 등이 있으며(Lee, 2012),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Jeong, Seo, & Nam, 2006) 제시된바 있다.
안전간호활동은 무엇인가? 안전간호활동은 진료의 과정 중에 발생, 또는 발생 가능한 문제를 찾아내어 개선하고 예방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말하며,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을 마련하고, 안전간호활동의 적용과 효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Lee, 2011). 간호사는 낙상, 충분한 설명, 감염, 소방안전, 의료기기 관리, 구두처방, 투약간호, 수혈간호 등의 안전간호활동을 수행하고, 오류를 확인하고 걸러낼 수 있는 마지막 의료전달자로서(Hughes & Clancy, 2005)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Lee, 2012).
재활전문병원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만성질환 환자 및 후천적 장애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질환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의료재활의 요구도가 증가됨에 따라(Jeong & Hwang, 2009), 기존 병원들을 재활병원으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Kim & Kim, 2012). 재활전문병원은 각종 질병 및 후천적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정 진료과목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을 말하며, 입원 환자들은 불구상태, 회복 불가능한 병리적 병변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재활 치료를 필요로 한다(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그러나 재활 환자는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자가 간호 수행능력이 떨어지며 인지 장애가 동반된 경우 일상 수행능력도 저하되어 보호자나 간병사가 24시간 동반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인 안전간호활동이 재활전문병원 간호사들의 가장 중요한 업무가 되고 있다(So, Kim, & Park,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Retrieved at March 10, 2008, from http://www.ahrq.gov/qual/hospculture.pdf 

  2.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3. Cooper, M. D. (2000). Toward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2), 111-136. 

  4. Eom, J. Y. (2012).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geriatric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5. Hughes, R. G., & Clancy, C. M. (2005). Working conditions that support patient safet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4), 289-292. 

  6. Jeong, E. G., & Hwang, Y. S.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rehabilitation's hospital lobby spac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4(2), 71-78. 

  7. Jeong, J., Seo, Y. J., & Nam, E. W.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1), 91-109. 

  8. Kim, H. Y., & Kim, H. S.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13-422. 

  9.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10. Kim, K. S., Lim, N. Y., Cho, B. H., So, H. Y., Chon, M. Y., & Park, S. J. (2005). Roles and functions of the rehabilitational nurse practitioner expected by nurses and dortors in rehabilitation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ion Nursing, 18(2), 85-93. 

  11. Kim, T. G., & Kim, T. H. (2012). Preliminary research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uccess management indicators in rehabilitation hospit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147-159. 

  12. Kizer, K. W. (1999). Large system change and culture of safety. In Scheffler, A. & Zipper, M. A. (Eds).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IL;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13. Korea Consumer Agency. (2006). A field survey on the medical disputes related to the hospital's safety management. Eumseong: Author.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8).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Cheongju: Author.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 Walfare. 

  16. Lee, D. I. (2012). Level of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7. Lee, N. J., & Kim, J. H.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473. 

  18. Lee, Y. J. (2011).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9. Nam, M. H., & Kang, S. H. (2010). The cognition level on the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8, 197-221. 

  20. Park, S. J. (2008).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1. So, H. Y., Kim, J. W., & Park, J. W. (2011). Comparison of patient need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1), 4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