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중증도 분류 간호사의 의사결정과정에 나타난 사고전략: 소리내어 생각하기
Thinking Strategies of Triage Nurses' Decision Ma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nk Aloud Study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9 no.1, 2016년, pp.15 - 26  

문선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inking strategies in the complicated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real patient-based data of triage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think aloud' method to collect data from 8 triage nurses from one general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실제 환자에 대한 중증도 분류 경험을 소리내어 생각하기 방법으로 조사한 후 이를 각 단계별로 구조화하여 그 가운데 드러난 사고전략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간호사의 전문가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도 분류란? 중증도 분류는 간호사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여러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이다. 국내외 선행연구에 의하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간호사, 환자 및 환경적 영역으로 구분된다.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중 환자 영역에서는 어떤 인자가 의미 있다고 알려져 있나? 국내외 선행연구에 의하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간호사, 환자 및 환경적 영역으로 구분된다. 환자 영역에서는 주소, 기저질환, 활력징후, 이송방법, 외양, 알러지, 통증, 병력, 등이 의미 있는 요소로 보고되었고(Arslanian-Engoren, 2009; Castner, 2011), 간호사 영역에서는 경험, 지식, 신념, 의사소통 능력, 직관, 비판적 사고능력이 영향을 주었으며(Arslanian-Engoren, 2009; Cone & Murray, 2002), 환경 영역에서는 응급실과밀화, 의료자원 및 다른 의료진과의 관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Janssen et al., 2012;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Committee, 2015).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중증도 분류는 간호사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여러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이다. 국내외 선행연구에 의하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간호사, 환자 및 환경적 영역으로 구분된다. 환자 영역에서는 주소, 기저질환, 활력징후, 이송방법, 외양, 알러지, 통증, 병력, 등이 의미 있는 요소로 보고되었고(Arslanian-Engoren, 2009; Castner, 2011), 간호사 영역에서는 경험, 지식, 신념, 의사소통 능력, 직관, 비판적 사고능력이 영향을 주었으며(Arslanian-Engoren, 2009; Cone & Murray, 2002), 환경 영역에서는 응급실과밀화, 의료자원 및 다른 의료진과의 관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Janss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ersson, A. K., Omberg, M., & Svedlund, M. (2006).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a qualitative study of the factors which nurses consider when making decisions. Nursing in Critical Care, 11(3), 136-145 . 

  2. Arslanian-Engoren, C. (2005). Patient cues that predict nurses' triage decisions for acute coronary syndromes. Applied Nursing Research, 18(2), 82-89. 

  3. Arslanian-Engoren, C. (2009). Explicating nurses' cardiac triage decision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4(1), 50-57. 

  4. Castner, J. (2011). Emergency department triage: What data are nurses collec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7(4), 417-422. 

  5. Chen, S.-S., Chen, J.-C., Ng, C.-J., Chen, P.-L., Lee, P.-H., & Chang, W.-Y. (2010).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uracy of triage nurses' judgement in emergency departments. Emergency Medicine Journal, 27(6), 451-455. 

  6. Cioffi, J. (1999). Triage decision making: Educational strategies. Accident Emergency Nursing, 7(2), 106-111. 

  7. Cone, K. J., & Murray, R. (2002). Characteristics, insights, decision making, and preparation of ED triage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8(5), 401-406. http://dx.doi.org/10.1067/men.2002.127513 

  8. Croskerry, P., & Nimmo, G. R. (2011). Better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reducing diagnostic error. Journal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41(2), 155-162. doi:10.4997/jrcpe.2011.208 

  9. Fonteyn, M. E. (1998). Thinking strategies for nursing practice. Chicago, Illinoi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 Fonteyn, M. E., Kuipers, B., & Grobe, S. J. (1993). A description of think aloud method and protocol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3(4), 430-441. 

  11. Fossum, M., Alexander, G. L., Goransson, K. E., Ehnfors, M., & Ehrenberg, A. (2011). Registered nurses' thinking strategies on malnutrition and pressure ulcers in nursing homes: A scenario-based think-aloud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18), 2425-2435. 

  12. Fry, M., & Stainton, C. (2005). An educational framework for triage nursing based on gatekeeping, timekeep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3(4), 214-219. http://dx.doi.org/10.1016/j.aaen.2005.09.004 

  13. Garbez, R. O. (2008). Level 2 and level 3 patients in a 5-level triage system: Factors related to acuity assignment and trajectory of the emergency department experience. Ann Arbor, Michigan: ProQuest. 

  14. Gobet, F., & Chassy, P. (2008). Towards an alternative to Benner's theory of expert intuition in nursing: A discussion paper.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1), 129-139. 

  15. Goransson, K. E., Ehnfors, M., Fonteyn, M. E., & Ehrenberg, A. (2008). Thinking strategies used by registered nurses during emergency department triag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2), 163-172. doi:10.1111/j.1365-2648.2007.04473.x 

  16. Janssen, M. A. P., van Achterberg, T., Adriaansen, M. J. M., Kampshoff, C. S., Schalk, D. M. J., & Mintjes-de Groot, J.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guideline triage in emergency departments: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4), 437-447. doi:10.1111/j.1365-2702.2011.03921.x 

  1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Committee. (2015).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manual(Version 2.0). Seoul: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KTAS Committee. 

  18. Kuiper, R. A. and D. J. Pesut (2004). Promot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flective reasoning skills in nursing practice: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4), 381-391. 

  19. Lundgren-Laine, H., & Salantera, S. (2010). Think-aloud technique and protocol analysis in clinical decision-making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4), 565-575. 

  20. McCutcheon, H. H., & Pincombe, J. (2001). Intuition: An important tool in the practice of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5(3), 342-348. 

  21. Nationa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2014, November). Role of the triage nurse. Retrieved July 1, 2015, from http://nena.ca/role-of-the-triage-nurse/ 

  22. Noon, A. J. (2014). The cognitive processes underpinning clinical decision in triage assessment: A theoretical conundrum?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2(1), 40-46. 

  23. Paley, J., Cheyne, H., Dalgleish, L., Duncan, E. A., & Niven, C. A. (2007). Nursing's ways of knowing and dual process theories of cogni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6), 692-701. doi:10.1111/j.1365-2648.2007.04478.x 

  24. Park, J., Choi, H., Kang, B., Kim, C., Kang, H., & Lim, T. (2014).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ystems and scales; A first step towards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5(5), 499-508. 

  25. Van Someren, M. W., Barnard, Y. F., & Sandberg, J. A. (1994). The think aloud method: A practical guide to modelling cognitive processes (Vol. 2). London: Academic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