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도의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 of Service of Sidewalk and Satisfaction of Pedestrian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3, 2016년, pp.129 - 145  

권완택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상엽 (전북연구원 도시공간교통연구부) ,  최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태호 (국토교통부 수자원정책국 하천계획과) ,  장영수 (LH토지주택대학교 건설기술학과) ,  김진섭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보행량이 많은 서로 다른 6개 지역에 위치한 도로의 보도 서비스수준을 측정하고 보행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를 위해 각 분석 대상 지점에서 기하구조 조사, 교통량 조사 및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도의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 도로 이용자의 보행특성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수준과 보행자 만족도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결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보행자 만족도 변화에 따른 보행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서비스수준 평가에서는 기존의 방법보다 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해 MMLOS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MMLOS를 이용한 평가 방법이 실제 보행자 만족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다 발전한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을 감안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공되는 결과는 향후 보도 설계에 있어 보행자 만족도를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and compared the servi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he sidewalks in collector roads from 6 different location, which has a lot of volume of pedestrians. For the study, it performed an investigation of road geometry, flow, research about satisfaction of walking and video record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 만족도를 물리적 환경 요소만으로 평가 하는 것이 무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보행자들은 여러 보행환경 요소들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통합적인 현상 혹은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를 기준으로 보행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4] 보행 만족도를 물리적 환경 요소만으로 평가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보행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선 정성적인 변수들을 추가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국내 도로 설계에서 유일한 보행 환경 평가에 대한 기술적 지침은 무엇인가? 보행환경 조성이 이뤄지기 위해서 어떠한 보행환경이 좋은 보행환경인지에 대한 판단 근거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 도로 설계에서 보행 환경 평가에 대한 기술적 지침은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KHCM)이 유일하다[1, 2]. 이 지침에서는 보행자와 운전자가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유효 보도폭과 보행교통량을 기준으로 보도 서비스수준을 판단하도록 제시 하고 있다[3].
보도 서비스수준 판단에는 보다 복합적인 요인 및 신뢰할 수 있는 기준 설정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 도로 설계에서 보행 환경 평가에 대한 기술적 지침은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KHCM)이 유일하다[1, 2]. 이 지침에서는 보행자와 운전자가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유효 보도폭과 보행교통량을 기준으로 보도 서비스수준을 판단하도록 제시 하고 있다[3].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한 LOS는 실제 보행자 만족도와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선행 연구에서 밝혀졌다. 때문에 보도 서비스수준 판단에는 보다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S. K. et al.(2011), "Evaluation of Pedestrian Road Level of Service by Survey and DGPS,"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pp.179-184. 

  2. Kim S. Y. et al.(2014), "Personal space, evasive movement and pedestrian level of service," Journal of advanced transportation 48, pp.673-684. 

  3. Kim S. Y. et al.(2010), "Determining the Sidewalk Pavement Width by Using Pedestrian Discomfort Levels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5, pp.883-889. 

  4. Handy S. et al.(2006), "Self-Se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72, no. 1, pp.55-74. 

  5. Lim J. K.(2004), "New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Trip Purpose and Walkway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24, no. 5-D, pp.723-728. 

  6. Kim K. H. et al.(2006),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26, no. 2-D, pp.241-250. 

  7. Kim S. H. et al.(2006), "Research on LOS Estimation Standard in the Mixed Traffic Stree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4, no. 3, pp.63-71. 

  8. Kim E. C. et al.(2015), "A Study on Enhancement Methods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3, no. 1, pp.29-39. 

  9. Frank L. D. et al.(2005), "Linking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with Objectively Measured Urban Form Findings from Smartraq,"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28(2S2), pp.117-125. 

  10. Alfonzo M. A. et al.(2008), "The Relationship of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Features and Adult Parents' Walking," Journal of Urban Design, vol. 13, no. 1, pp.29-51. 

  11. Sung H. G. et al.(2011), "A Study on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for Walking Environment Planning Element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The case of Jongno and Kangnam Area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6, no. 5, pp.275-288. 

  12. Baek G. T.(2012), Analysi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Contentment of The Seoul Cheongyecheon Roa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3. Kim D. Y.(2013),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Walking Satisfaction and Walking Behavior of Pangyo Techno-valley Office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Lee S. G. et al.(2014), "An Analysis of Street Environment Affecting Pedestrian Walking Satisfaction for Different Age Group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9, no. 8, pp.91-105. 

  15. Saker S.(2003),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fort Needs in Urban Walkways In Major Activity Centers, TRB Annual Meeting. 

  16. Moudon A. V. and Lee C.(2003), "Walking and bik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8, no. 1, pp.21-37. 

  17. Methorst R. and Horst R.(2010), Pedestrian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alk21 Conference, Hague, Netherlands. 

  18. Wang W. et al.(2012), "Exploring Determinants of Pedestrians Satisfaction with Sidewalk Environments: Case Study in Korea,"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vol. 138, no. 2, pp.166-172. 

  19. Manaugh K. and El-Geneidy A.(2011), "Validating Walkability Indices: How do Different Households Respond to the Walkability of Their Neighborhood," Transportation Research, vol. D, no. 16, pp.309-315. 

  2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3),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21. Dowling R. G. and Reinke D.(2008), Multimodal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Urban Streets.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2), A Survey of Floating population. 

  23. Jang G. Y. et al.(2015), "A comparison analysis of factors to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land-use type using Seoul Pedestrian Survey dat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4, no. 2, pp.39-53. 

  24. Jung H. J. et al.(2007), "A study on pedestrian moving algorithm using CA model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2007, no. 1, pp.124-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