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355 - 362  

이영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서문경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3차 의료기관 1개소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서울 소재 의료기관의 24개 간호단위,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11월에 수행되었으며,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간호단위 차원의 간호근무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요인으로 연령, 간호근무환경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23.0%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기관은 간호사의 병원운영 참여,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등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간호사의 확보수준 향상 및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with 267 nurses in 24 nursing units of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간호근무환경을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 중 3가지 하위요인(간호사의 병원운영 참여,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간호사와 의사의 관계)이 이직의도에 중요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조직 차원에서의 간호근무환경 인식에 대한 차이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간호사의 이직의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변수로 간호근무환경을 가정하고, 그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단위별로 이직관리의 우선순위가 높은 집단을 선별하고, 간호사의 이직률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단위 차원에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으로 간호근무환경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결과적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간호근무환경이 중요한 예측변수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단위 차원에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으로 간호근무환경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를 탐색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조직 차원에서의 간호근무환경 인식에 대한 차이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간호사의 이직의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변수로 간호근무환경을 가정하고, 그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이직 의도에 차이를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좋은 간호단위에 소속된 간호사의 이직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다른 나라에서 보고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9].
  • 이에 본 연구는 간호 인력 관리를 위한 조직 차원의 접근을 시도해 봄으로써 간호와 경영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해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 차이를 탐색하고,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및 보건의료 정책 차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것은 ?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국가 및 보건의료 정책 차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며, 조직 차원에서 인력관리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즉, 의료기관 과반수 이상의 인원을 차지하는 간호사 조직의 원활하고 비용효과적인 운영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안전보장 및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의 영향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 ? 간호사의 실제적인 이직률을 낮추고, 간호사가 이직의도를 갖은 채 환자간호에 임하지 않도록 조직차원에서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이러한 고민은 전세계 의료기관의 공통사항으로 여러 나라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 결과,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학력, 근무경력, 직무특성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업무소진 뿐 아니라[1, 2], 직장 내 괴롭힘[3] 등 다각적인 요인이 간호사 이직의 영향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환자 및 간호사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조직 운영에도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4].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미국의 대안은 ?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고 확보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대안으로 미국의 경우, 간호인증센터 (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에서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으며,충분한 간호 인력 및 물적 자원의 확보 등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의료기관에 마그넷 간호서비스 인증(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을 제공하고 있다[5]. 이러한 마그넷 병원의 특성에 대해서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I. Park, K. Lee. "The effects of Social Intellig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325-336, 2016. 

  2. B.-M. Bang, S. Y. Lee, J. O. Cheong.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205-213, 2015. 

  3. H.-J. Kim, D. Park.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 pp.241-252, 2016. 

  4. C. M. Duffield, M. A. Roche, C. Homer, J. Buchan, S. Dimitrelis. "A comparative review of nurse turnover rates and costs across countries". J Adv Nurs. Vol. 70, No. 12, pp.2703-2712, 2014. Epub 2014/07/24. doi: 10.1111/jan.12483 

  5. A. Kutney-Lee, A. W. Stimpfel , D. M. Sloane, J. P. Cimiotti, L. W. Quinn, L. H. Aiken, "Changes in patient and nurse outcomes associated with magnet hospital recognition", Medical Care. Vol. 53, No. 6, pp.550-557, 2015. 

  6. C. R. Friese, R. Xia, A. Ghaferi, J. D. Birkmeyer, M. Banerjee, "Hospitals in 'Magnet' program show better patient outcomes on mortality measures compared to non-'Magnet' hospitals", Health Affairs. Vol. 34, No. 6, pp.986-992, 2015. 

  7. E. T. Lak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25, No. 3, pp.176-188, 2002. 

  8. S. Wang, Y. Liu, "Impact of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nurses' work engagement: tes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3, No. 3, pp. 287-96. 2015. 

  9. O. Petit Dit Dariel, J. P. Regnaux. "Do Magnet(R)-accredited hospitals show improvements in nurse and patient outcomes compared to non-Magnet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JBI Database System Rev Implement Rep. Vol. 13, No. 6, pp.168-219, 2015. Epub 2015/10/13. doi: 10.11124/jbisrir-2015-2262 

  10. L. Claudia, B. Luk, M. Trevor, D. Gilles, H. de Jesus Elvio, S. Walter, et al. "Work environment issues and intention-to-leave in Portuguese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Health Policy. Vol. 119, No. 12, pp. 1584-1592. 2015. 

  11. R. AbuAlRub, F. El-Jardali, D. Jamal, N. Abu Al-Rub,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of jordanian nurses in underserved areas", Applied Nursing Research. Vol. 31, No. 3, pp. 19-23. 2016. doi: 10.1016/j.apnr.2015.11.014. 

  12. B. Head, K. Washington, J. Myers, L. Earnshaw,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work improvements as perceived by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assistants (TH330-C)",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 2, No. 45, pp.352-353, 2013. 

  13. M. Flinkman, "Young registered nurses' intent to leave the profession in Finland-a mixed-method study", 2014. 

  14. R. Redknap, D. Twigg, D. Rock, A. Towel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 strategy for mental health nurse re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Vol. 24, No. 3, pp.262-271, 2015. 

  15. H. Arslan Yurumezoglu, G. Kocaman, "Predictors of nurses' intentions to leave the organisation and the profession in Turke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 doi: 10.1111/jonm.12305. 

  16. K. Liu, L. M. You, S. X. Chen, Y. T. Hao, X. W. Zhu, L. F. Zhang,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work environment and nurse outcomes in Guangdong, China: a nurse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1, No. 9, pp.1476-1485, 2012. 

  17. C. Ma, D. M. Olds, N. E. Dunton, "Nurse work environment and quality of care by unit typ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2, No. 10, pp.1565-1572, 2015. 

  18. E. T. Lake, S. G. Hallowell, A. Kutney-Lee, L. A. Hatfield, M. Del Guidice, B. B. Alan, et al. "Higher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associated with better NICU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 31, No. 1, pp.24-32, 2015. 

  19. E. Cho, D. L. Chin, S. Kim, O. Hong, "The relationships of nurse staffing level and work environment with patient adverse ev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 an official publication of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Honor Society of Nursing / Sigma Theta Tau. Vol. 48, No. 1, pp.74-82, 2016. doi: 10.1111/jnu.12183. 

  20. S. Y. Kang, Y. R. Um, S. S. Han,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Taehan Kanho Hakhoe Chi. Vol. 35, No. 2, pp.353-361, 2005. 

  21. M. Y. Han, M. S. Lee, J. Y. Bae, Y. S. Kim,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21, No. 2, pp.193-202. 2015 

  22. E. Cho, M. Choi, E-Y. Kim, I. Y. Yoo, N. J. Le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3, pp.325-332, 2011. 

  23. J. O. Kwon, E-Y. Kim,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4, pp.414-423, 2012. 

  24. L. H. Aiken, D. M. Sloane, S. Clarke, L. Poghosyan, E. Cho, L. You, et al., "Importance of work environments on hospital outcomes in nine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 23, No. 4, pp.357-364, 2011. 

  25. E. Cho, D. M. Sloane, E-Y. Kim, Kim S, Choi M, Yoo IY, et al. "Effects of nurse staffing, work environments, and education on patient mortality: An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2, No. 2, pp.535-542, 2015. 

  26. L. H. Aiken, S. P. Clarke, D. M. Sloane, E. T. Lake, T. Cheney,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8, No. 5, pp. 223-229, 2008. 

  27.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1992. 

  28. T. E. Becker,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5, No. 1, pp. 232-244, 1992. 

  29. M-R. Kim,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335-344, 2007. 

  30. K. Han, A. M. Trinkoff, A. P. Gurses, "Workrelated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the current job among United States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4, No. 21-22, pp. 3224-3232, 2015. 

  31. S. H. Kim, M-A. Le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333-342, 2014. 

  32. S. J. Moon, S. S. Han,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5, pp.633-641, 2011. 

  33. H. S. Seok,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tntention of hospital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3, pp.361-371, 2013. 

  34. N. E. Warshawsky, D. S. Havens, "Nurse manager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Nursing economics$. Vol. 32, No. 1, pp.32-3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