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3차 의료기관 1개소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서울 소재 의료기관의 24개 간호단위,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11월에 수행되었으며,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간호단위 차원의 간호근무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요인으로 연령, 간호근무환경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23.0%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기관은 간호사의 병원운영 참여,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등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간호사의 확보수준 향상 및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with 267 nurses in 24 nursing units of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2013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nurse turnover intention is associated with the nurse practice environment at the unit level. In addition, the model including age,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explained 23.0% of the variance for nurse turnover intention. Hospital can improve nurse retention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by changing the nurse practice environment of unit, such as nurse participation in hospital affairs, improvement of the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국가 및 보건의료 정책 차원에서 관심의 대상 | 국가 및 보건의료 정책 차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것은 ? |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국가 및 보건의료 정책 차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며, 조직 차원에서 인력관리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즉, 의료기관 과반수 이상의 인원을 차지하는 간호사 조직의 원활하고 비용효과적인 운영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안전보장 및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 |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의 영향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 ? |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학력, 근무경력, 직무특성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업무소진 뿐 아니라[1, 2], 직장 내 괴롭힘[3] 등 다각적인 요인
간호사의 실제적인 이직률을 낮추고, 간호사가 이직의도를 갖은 채 환자간호에 임하지 않도록 조직차원에서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이러한 고민은 전세계 의료기관의 공통사항으로 여러 나라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 결과,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학력, 근무경력, 직무특성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업무소진 뿐 아니라[1, 2], 직장 내 괴롭힘[3] 등 다각적인 요인이 간호사 이직의 영향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환자 및 간호사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조직 운영에도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4]. |
간호사 이직률 |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미국의 대안은 ? |
간호인증센터 (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에서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으며,충분한 간호 인력 및 물적 자원의 확보 등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의료기관에 마그넷 간호서비스 인증(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을 제공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고 확보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대안으로 미국의 경우, 간호인증센터 (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에서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으며,충분한 간호 인력 및 물적 자원의 확보 등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의료기관에 마그넷 간호서비스 인증(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을 제공하고 있다[5]. 이러한 마그넷 병원의 특성에 대해서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5,6].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