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아동 및 청소년 난독증 진단을 위한 종합학습능력평가도구-읽기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the Comprehensive Learning Test-Reading for the Diagnosis of Dyslexia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7 no.2, 2016년, pp.109 - 118  

유한익 (서울뇌과학연구소) ,  정재석 (서울아이정신건강의학과의원) ,  이은경 (서울뇌과학연구소) ,  강성희 ((주)해피마인드) ,  박은희 ((주)해피마인드) ,  최인욱 (한동대학교 산업정보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uterized Comprehensive Learning Test-Reading (CLT-R) to evaluate the cognitive processes and achievements related to their basic reading ability and identify dyslex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We also obtained the normativ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면대면 검사보다는 반응속도를 예민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같은 목소리 자극을 사용할 수 있는 전산화 방식을 적용하였다.18)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난독증 진단 및 평가에 적합한 전산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국내 아동 및 청소년의 읽기성취도 및 읽기 관련 인지처리 능력의 규준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독증이란 무엇인가? 난독증은 학습장애의 한 아형으로 정확하고 유창한 단어 재인의 어려움, 해독 및 철자능력의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데, 해독 외에 독해나 구어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는 좁은 의미의 정의부터 읽기에 문제를 초래하는 다양한 상황을 모두 포괄하는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원인에 대해서도 다양한 가설이 있으나 현재는 음운처리이상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고, 뇌영상연구 결과 및 중재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정학습장애의 특징은 무엇인가? 특정학습장애는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으로 정확하고 유창한 읽기, 독해, 철자, 작문, 연산, 수학적 추론 같은 기초학습 기술의 습득 지연이 특징이다.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은 학습 기회나 지도가 충분히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뇌의 기능적인 이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학습능력을 발달시키지 못한다.
난독증의 진단에는 어떤 것들이 사용되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난독증의 진단은 지금까지 능력 성취 불일치 모델(discrepancy model)과 중재반응(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모델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불일치 모델은 기대 수준과 실제 수행 수준 간에 유의한 차이를 진단 근거로 삼는 모델이다. 즉 자신의 지적능력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성취 수준을 보이면, 학습장애로 진단하며, 5) 잠재적 지적 능력은 지능검사로 측정하고 학업성취 수준은 학습성취도검사를 통하여 측정한다.6) 중재반응 모델이란 적절한 교육적 중재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연속적으로 평가하여 학습장애를 진단하는 모델이다.7) 이 모델에 따르면 효과적인 중재에도 학습능력의 향상이 없어 결국 또래 아동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학습 수준을 보이는 경우에 학습장애로 진단한다. 이런 중재반응 모델에 근거한 진단은 교육적 측면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불일치 모델의 긍정적 대안으로 제시되었다.7) 하지만 불일치 모델은 지능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아동에서 진단이 어려운 약점이 있으며,8-10) 중재반응 모델은 제대로 된 중재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학습장애로 진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교육을 받고나서 진단을 내려야 하므로 치료적 접근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11-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Jung JS. Specific learning disorder. In: Cho SH, editor. Biological child psychiatry. Seoul: Sigmapress;2014. p.157-175. 

  2. Lee YS, Hong KY. A pilot study: specific reading disorder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 1985;24:103-110. 

  3.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dicators of Korea. Seoul: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2002. 

  4. Jung JS, Yoo HK. Specific learning disorder. In: Hong KY, editor. Child psychiatry. 2nd ed. Seoul: Hakjisa;2014. p.202-210. 

  5. Kim DI, Lee DS, Shin JH. Introduc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Seoul: Hakjisa;2003. 

  6. Hallahan DP, Lloyd JW, Kauffman JM, Weiss MP, Martinez EA. Learning disabilities: foundations,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teaching. 3r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2005. 

  7. Gresham FM.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In: Bradley R, Danielson L, Hallahan D, editor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2002. p.467-519. 

  8. Siegel LS. Evidence that IQ scores are irrelevant to the definition and analysis of reading disability. Can J Psychol 1988;42:201-215. 

  9. Lee DS. Diagnosing and screening learning disabilities: problems of the discrepancy criterion and roles of content-specific basic academic skills. J Emot Behav Disord 2001;17:19-41. 

  10. Hur SJ. Diagnosis and assessment of learning disabilities: problems of previous models and some suggestions. Korean J Learn Disabil 2005;2:31-53. 

  11. Rourke BP. Neuropsychology of learning disabilities: past and future. Learn Disabil Q 2005;28:111-114. 

  12. Scruggs RP 3rd. Robert Pickett Scruggs III, MD: a conversation with the editor. Interview by William Clifford Roberts. Proc (Bayl Univ Med Cent) 2002;15:391-402. 

  13. Kim YO. The ideals and pitfalls of the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model to identif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Korean J Spec Educ 2006;41:141-161. 

  14. Sousa DA. How the special needs brain learns. Thousand Oaks: Corwin Press;2006. 

  15. Kim DI, Jung KJ. Exploring an integrated model fo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beyond the discrepancy and responsiveness-to-intervention. J Emot Behav Disord 2008;24:133-161. 

  16. Bishop AG, League MB. Identifying a multivariate screening model to predict reading difficulties at the onset of kindergarten: a longitudinal analysis. Learn Disabil Q 2006;29:235-252. 

  17. Elliott JG, Grigorenko EL. The dyslexia debat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2014. 

  18. Kettler RJ. Computer-based screening for the new modified alternate assessment. J Psychoeduc Assess 2011;29:3-13. 

  19. Denckla MB, Cutting L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rapid automatized naming. Ann Dyslexia 1999;49:29. 

  20. Mauer DM, Kamhi AG. Factors that influenc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learning. J Learn Disabil 1996;29:259-270. 

  21. Chard DJ, Osborn J. Phonics and word recognition instruction in early reading programs: guidelines for accessibility. Learn Disabil Res Pract 1999;14:107-117. 

  22. Meisinger EB, Bloom JS, Hynd GW. Reading fluency: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n Dyslexia 2010;60:1-17. 

  23. Majsterek DJ, Ellenwood AE. Phonological awareness and beginning reading: evaluation of a school-based screening procedure. J Learn Disabil 1995;28:449-456. 

  24. Gathercole SE, Willis CS, Baddeley AD, Emslie H. The children's test of nonword repetition: a test of phonological working memory. Memory 1994;2:103-117. 

  25. Wolf M. Naming speed and reading: the contribution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s. Read Res Q 1991;26:123-141. 

  26. Ise E, Schulte-Korne G. Spelling deficits in dyslexia: evaluation of an orthographic spelling training. Ann Dyslexia 2010;60:18-39. 

  27. Grainger J, Ziegler JC. A dual-route approach to orthographic processing. Front Psychol 2011;2:54. 

  28. Bosse ML, Tainturier MJ, Valdois S. Developmental dyslexia: the visual attention span deficit hypothesis. Cognition 2007;104:198-230. 

  29. Lobier M, Zoubrinetzky R, Valdois S. The visual attention span deficit in dyslexia is visual and not verbal. Cortex 2012;48:768-773. 

  30. Sattler JM. Assessment of children: cognitive applications. 4th ed. San Diego: J.M. Sattler;2001. 

  31. Badian NA.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processing: their roles in reading prediction. Ann Dyslexia 2001;51:177-202. 

  32. Wolf M, Bowers PG. The double-deficit hypothesis for the developmental dyslexias. J Educat Psychol 1999;91:415-438. 

  33. Beneventi H, Tonnessen FE, Ersland L, Hugdahl K. Executive working memory processes in dyslexia: behavioral and fMRI evidence. Scand J Psychol 2010;51:192-202. 

  34. Kavale KA, Forness SR. What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y say and don't say: a critical analysis. J Learn Disabil 2000;33:239-256. 

  35. Klingberg T. Training and plasticity of working memory. Trends Cogn Sci 2010;14:317-324. 

  36. Klingberg T, Fernell E, Olesen PJ, Johnson M, Gustafsson P, Dahlstrom K, et al.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44:177-186. 

  37. Georgiou GK, Stewart B. Is rapid automatized naming automatic? Presch Prim Educ 2013;1:67-81. 

  38. Denckla MB, Rudel RG. R apid "automatized" naming ( R.A.N): dyslexia differentiated from other learning disabilities. Neuropsychologia 1976;14:471-479. 

  39. Kim DI.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Seoul: Hakjisa; 2000. 

  40. Ziegler JC, Goswami U. Reading acquisition, developmental dyslexia, and skilled reading across languages: a psycholinguistic grain size theory. Psychol Bull 2005;131:3-29. 

  41. Pennington BF, Lefly DL. Early reading development in children at family risk for dyslexia. Child Dev 2001;72:816-833. 

  42. Lervag A, Braten I, Hulme C. The cognitive and linguistic foundations of early reading development: a Norwegian latent variable longitudinal study. Dev Psychol 2009;45:764-781. 

  43. Baddeley A. Working memory. Curr Biol 2010;20:R136-R140. 

  44. Baddeley A. Working memory: theories, models, and controversies. Annu Rev Psychol 2012;63:1-29. 

  45. Baddeley AD. Verbal and visual subsystems of working memory. Curr Biol 1993;3:563-565. 

  46. Just MA, Carpenter PA. A capacity theory of comprehens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Psychol Rev 1992;99:122-149. 

  47. Swanson HL.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do both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academic achievement in children and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 Learn Disabil 1994;27:34-50. 

  48. Baddeley A.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n overview. J Commun Disord 2003;36:189-208. 

  49. Baddeley A, Gathercole S, Papagno C. The phonological loop as a language learning device. Psychol Rev 1998;105:158-173. 

  50. Georgiou GK, Das JP, Hayward DV. Comparing the contribution of two tests of working memory to reading in relation to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pid naming speed. J Res Read 2008;31:302-318. 

  51. Bednarek DB, Saldana D, Quintero-Gallego E, Garcia I, Grabowska A, Gomez CM. Attentional deficit in dyslexia: a general or specific impairment? Neuroreport 2004;15:1787-1790. 

  52. Ans B, Carbonnel S, Valdois S. A connectionist multiple-trace memory model for polysyllabic word reading. Psychol Rev 1998;105:678-7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