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위생사들의 치과공포감 및 관련요인
Dental fear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using analysis on dental fear survey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3, 2016년, pp.347 - 353  

이재라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홍선화 (전남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황갑운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서연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ntal fear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using dental fear survey.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79 dental hygienists from January 15 to March 28, 2015. The study instrument was dental fear survey.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환자들의 치과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기 위한 긍정적인 협조자[11]이면서 치과의료서비스의 제공자인 치과위생사가 환자가 느끼는 치과공포감을 본인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환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치과공포를 최소화 시키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DFS)척도를 이용하여 치과치료 시 경험하는 공포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과 공포감이란 무엇인가? 먼저, 공포감은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별한 정서적 구 조와 어떤 불안정에 대한 민감의 정도에 따른 내적 지각으로[1] 이미 알려져 있거나 개인이 의식적으로 인식한 외적 변화 혹은 위험에 대한 정서반응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2]. 또한 불안과 공포감은 기쁨, 분노, 슬픔과 함께 일차적인 정서로서 의식적으로 인지된 특수한 위험에 대한 회피정서라고 정의 할 수 있다[3].
우리나라 국민들의 구강건강 상태는 현재 어떠한가? 우리나라 201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4]에 의하면 만 12세에서 우식경험구치 지수는 2.1개로 2003년 조사된 3.3개 보다는 감소 추세를 보이긴 했으나 치아건강수준을 비교 할 수 있는 국제지표로 서구 선진국수준(2.0개 미만)에 못 미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국민들의 구강건강 상태가 개선되지 못하는 원인을 심 등[5]은 치과 공포라고 하였으며, 실제 치과치료에 대한 두려움 즉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으로 인해 국민의 10명 중 4명이 지난 1년간 단 한 번도 치과를 내원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치과치료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Kleinknecht 등[9]은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자에게 공포를 유발하는 통증은 통증 그 자체보다는 치과의사가 환자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고 한 바 있으며, 김 등[10]은 치과치료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치과의사의 역할과 더불어 치료 외적인 부분에서 환자와 더 많은 시간 접촉되는 치과위생사의 태도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도 문 등[11]은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하고 치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기 위한 가장 긍정적인 협조자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이며, 이는 환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과 효과적인 대처기술을 훈련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isher AB, Schaefer BA, Watkins MW, Worrell FC, Hall 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ear survey schedule for children-II in trinidadia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nxiety Disord 2006; 20: 740-59. 

  2. Muris P, Merckelbach H, Mayer B, Prins E. How serious are common childhood fears? Behav Res Ther 2000; 38(3): 217-28. http://dx.doi.org/10.1016/S0005-7967(98)00204-6. 

  3. Lee HY, Na MH, Lee YH.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dental fear.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1): 57-65.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year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109-11. 

  5. Shim YS, Kim AH, An SY. Dental fear and anxiety of juveniles in some areas of Gyeonggi province. J Korean Acad Pediatric Dent 2011; 38(4): 362-7. http://dx.doi.org/10.5933/JKAPD.2011.38.4.362. 

  6. Choi SS, Song KB, Kim HG. Effect of dental treatment fear and distrust of dentist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Korea. J Dent Hyg Sci 2011; 11(4): 367-73. 

  7. Doerr PA, Lang P, Nyquist LV, Ronis DL.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nxiety. J Am Dent Assoc 1998; 129(8): 1111-9.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1998.0386. 

  8. Klingberg G, Berggrin U, Carlsson SG, Noren JG. Child dental fear; cause-related factor and clinical effects. Eur J Oral Sci 1995; 103(6): 405-12. http://dx.doi.org/10.1111/j.1600-0722.1995.tb01865.x. 

  9. Kleinknecht RA, Klepac RK, Alexander LD.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fear of dentistry. J Am Dent Assoc 1973; 86(4): 842-8. 

  10. Kim JY, Hong SS, Jeong SH, Choi YH, Song KB.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validity of CFSS-DS for dental fea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 29(2): 131-40. 

  11. Moon PS, Heo YW, Kim DE, Lee KH. Effect of dental experience on attitude of children toward the dentist and dental treatment. J Dent Child 1996; 23(2): 461-76. 

  12. Hong SH, Oh JS. A relevant factor analysis on dental treatment fear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4): 741-9. 

  13. Hong SH, Park J, Han MA. Analysis of a relevant factor on dental treatment fear using dental fear survey in college women.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1): 98-104. 

  14. Kwon SJ, Choi YJ. Impact of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on the dental fear of adolesc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J Korean Content Assoc 2010; 10(2): 277-85. 

  15. Yoon HS, Park JH.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dental fear in dental clinic patients. J Korean Content Assoc 2012; 12(6): 371-79. http://dx.doi.org/10.5392/JKCA.2012.12.6.371. 

  16. Moore R, Berggren U, Carlsson SG. Reliabil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psychometric measures in a self-referred population of odontophobia. Commu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ilogy 1991; 19: 341-51. 

  17. Choi SS, Kim JY, Song KB, Lee SK.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of dental fear among teenagers in private dental clinic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4; 28(4): 495-504. 

  18. Lee HJ, Jeon ES, Lee BH. A study on the fear in privat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2007; 7(3): 193-6. 

  19. Kim JY. Relationship between dental fear and beliefs toward dental personnels among middle 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7; 31(3): 407-15. 

  20. Kim KW, Lee KS. Workers'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other factors. J Korean Acad Dent Edu 2010; 10(1): 65-79. 

  21. Oh AY, Kim JY, Lee HS, Choi YH, Song KB. Original Article :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fear and OHRQoL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 35(1): 93-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